open access
메뉴2012년 김민예숙 여성주의상담연구실 연구원들을 중심으로 창립되어 여성주의상담 이론을 발전시키고 교육․연구․상담 활동을 꾸준히 펼쳐 온 한국여성심리학회 산하 여성주의상담연구회가 2022년 창립 10주년을 맞이하였다. 10주년을 기념하며 한국보다 앞서 여성주의상담을 발전시켜온 미국 여성주의상담 역사를 살펴보고 그 전망을 알아보기 위하여 특별 대담 ‘김민예숙, 로라 브라운과 여성주의상담을 이야기하다’를 마련하였다. 본 고는 참가자들에게 감동을 주었던 특별 대담의 내용을 그대로 전함으로써 상담심리학 내에서의 여성의 목소리 그리고 여성주의상담을 말하는 생생한 목소리를 들려주고자 한다. 대담은 김민예숙 여성주의상담연구회 이사가 질문하고 로라 브라운 박사가 답변하는 형식으로 2022년 8월 27일 Zoom으로 진행되었다. 김민예숙 이사는 여성주의상담이론을 연구, 교육하며 여성주의상담연구실, 여성주의상담연구회 등을 통해 여성주의상담 영역을 개척해온 한국 여성주의상담 2세대이며 『여성주의상담 구조화 모델(2013)』의 저자이다. 로라 브라운 박사는 미국 여성주의상담자이자 외상 생존자 전문상담자로 미국 여성심리학회장을 역임하였으며 국내에는 『여성주의상담의 전복적 대화(2012)』,『여성주의상담 이론과 적용(2020)』등의 저자로 널리 알려져 있다. 대담에서 우리는 1970년대 초, 중반 로라 브라운과 김민예숙의 여성주의상담자로서의 정체성 출발과 미국 여성주의상담의 전개 과정 그리고 한국과 미국 내 여성주의상담의 위치 차이를 엿보게 된다. 뿐만 아니라 50여 년 여성주의상담과 트라우마 치료에 매진한 한 상담자의 굳은 신념과 가치를 느끼게 된다. 이는 여성주의상담자에게든 다른 상담이론에 근거를 둔 상담자에게든 또는 여성심리 연구자에게든 각자의 위치에서 큰 울림이 될 것이 분명하다.
Celebrating the 10th anniversary of its foundation, the Feminist Counseling Research Society under the Korean Society of Woman Psychology organized a special talk, “KimMin Yea-sook, Have a dialogue with Laura Brown about feminist counseling”, to examine the history and the vision of feminist counseling in the U.S. that has developed ahead of Korea. By conveying the contents of this special talk that impressed the participants as it is, this paper aims to present women’s voices and the position of feminist counseling within counseling psychology in a real voice. KimMin Yea-sook is one of the second generation of Korean feminist counselors and a pioneer who has led Korean feminist counseling through the feminist counseling lab and the feminist counseling research society, and is the author of『A Structured Model of Feminist Counseling(2013)』. Dr. Laura Brown is an American feminist counselor and trauma survivor counselor who has served as chairman of the Society for the Psychology of Women in the U.S. and is widely known in Korea as the author of『Subversive Dialogue(1994)』 and『Feminist Therapy(2018)』. In the talk, we can see how Laura Brown and KimMin Yea-sook have become feminist counselors in the early and mid 1970s, the development of feminist counseling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sition of feminist counseling in Korea and that of in the United States. In addition, we can sense the firm belief and value of a counselor who has devoted herself to feminist counseling and trauma therapy for more than 50 years. It is clear that this will be a great echo not only to feminist counselors, but also to counselors who has other theoretical background and woman psychology researchers.
본 연구는 기혼여성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이 매개하는지 살펴보고, 배우자지지가 이러한 매개효과를 조절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24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방식을 사용하여 불안정 성인애착, 내면화된 수치심, 배우자지지, 결혼만족도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정 성인애착, 결혼만족도, 내면화된 수치심, 배우자지지의 관계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모두 유의한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불안정 성인애착과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를 배우자지지가 조절하는지 검증한 결과, 내면화된 수치심과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에 대한 배우자지지의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넷째, 배우자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의 검증결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내면화된 수치심을 경유하여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배우자지지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는 의의와 한계,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internalized shame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marriage satisfaction in married women, and to verify whether spouse support modulates this mediating effect. For this purpose, we measured unstable adult attachment, internalized shame, spousal support, and marriage satisfaction using an online questionnaire for 241 people nationwide, and analyzed mediating effects, mediating effects,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s between unstable adult attachment, marriage satisfaction, internalized shame, and spousal support, all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th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stable adult attachment and marriage satisfaction.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marriage satisfaction was controlled by spousal support, the moderating effect of spous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marriage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 Fourth, as a result of testing the mediating effect of spouse support, it was found that the indirect effect of unstable adult attachment on marriage satisfaction through internalized shame was regulated by spouse support.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자기대상화는 여성이 자신 스스로를 활용되는 대상으로 인식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2개의 연구를 통해 문화성향(평등성 추구 vs. 권위 추구)이 자기대상화 및 성적 객체화된 여성에 대한 암묵적 태도와 연관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1에서는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토대로 문화성향, 성차별과 연관된 시스템 합리화경향 및 자기대상화 성향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직적 집단주의성향이 높을수록 시스템합리화 경향과 자기대상화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수평적 집단주의경향은 시스템합리화경향과 자기대상화경향과 부적 상관관계에 있었다. 연구 2에서는 수평적 또는 수직적 집단주의성향이 성적 객체화된 여성에 대한 암묵적 태도와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암묵적 연합검사를 토대로 성적 객체화된 남성 자극 또는 여성 자극이 동물의 속성과 더 수월하게 연관되는 비인간화의 경향이 나타나는지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연구참가자의 수평적 집단주의성향이 높을수록 성적 객체화된 여성에 대한 암묵적 비인간화가 감소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 결과는 문화성향이 자기대상화, 시스템 합리화경향 및 성적 객체화된 여성에 대한 암묵적 태도와 연관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Self-objectification occurs when women view themselves as objects for use. Two studies investigated whether individual differences in cultural disposition (valuing equality vs. authority) relate to the extent of self-objectification and implicit dehumanization of other sexualized women. Study 1 employed a survey methodology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cultural disposition, the trait of gender specific system-justification, and the trait of self-objectification.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with greater vertical collectivism (accepting inequality) exhibited stronger system-justification and self-objectification. In contrast, the higher tendency of horizontal collectivism (valuing equality)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system justification and self-objectification. Study 2 tested whether the increasing tendency towards horizontal vs. vertical collectivism was related to implicit dehumanization of other sexualized males and females. To examine the dehumanizing perceptions of objectified men and women, an implicit association test (IAT) was introduced which compared objectified male and female targets in eliciting associations with humans and animals. According to the results, female participants with greater horizontal collectivism reported decreasing scores of implicit dehumanization toward other sexualized wome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dividual differences in cultural disposition might be associated with the trait of self-objectification, the extent of rationalizing the gender status and implicit dehumanization toward other objectified females.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결혼이민자들이 일상생활에서 지각하는 차별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차별로 인한 우울을 완화시키는 조절변인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A 광역시에 거주하는 여성결혼이민자 1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결혼이민자가 일상생활에서 지각하는 차별감은 우울 수준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는 지각된 차별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차별을 높게 지각하는 집단에서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은 여성결혼이민자의 우울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족 지지 또는 친구 지지보다는 여성결혼이민자에게 있어서 중요한 이들의 지지가 차별로 인한 우울을 완화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추후 연구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depression among married immigrant women. The participants were 145 married immigrant women in A Provi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discrimin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Second, social support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depression. In the group with high perceived discrimination, married immigrant women with a high level of social support are less likely to experience depression. Specifically, social support from significant others are significantly moderated the effect of perceived discrimination on depression. However, those who perceive a low level of social support may experience a high level of depression. Limitations and the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국내 성소수자를 대상으로 성적지향 마이크로어그레션과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이성애주의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해당 경로를 공동체의식이 조절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거주 중인 레즈비언, 게이, 바이섹슈얼(LGB)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배부하여 최종 290부를 수집하였으며 SPSS Macro process를 사용해 조절된 매개모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성적지향 마이크로어그레션은 내면화된 이성애주의를 매개하여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쳤으며, 성소수자 공동체의식이 높을수록 성적지향 마이크로어그레션이 내면화된 이성애주의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하게 감소해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현대의 새로운 차별인 성적지향 마이크로어그레션 또한 노골적이고 직접적인 차별처럼 성소수자의 심리적 디스트레스 수준을 높일 수 있음을 경험적으로 밝혔다. 이는 Meyer(2003)의 소수자스트레스 모형을 확장하여 적용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후 연구 결과에 따른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LGBT Community through Internalized Heterosex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orientation microaggression and psychological distress. The present study conducted online-based survey to 290 Lesbian, gay and bisexual people and tested hypothesis by using SPSS Macro process. There was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ed heterosex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orientation microaggression and psychological distress. Additio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sense of LGBT commun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orientation microaggression and internalized heterosexism. Finally,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nse of LGBT commun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orientation microaggression, internalized heterosexism, and psychological distress was found. This study elaborated the role of Internalized heterosexism on LGB people when they undergo sexual orientation microaggression and expand the minority stress model of Meyer(2003) in that not only explicit discrimination but also subtle discrimination like microaggression can affect minority stress including internalized heterosexism.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여성 한부모를 대상으로 표현적 글쓰기를 활용한 온라인 긍정개입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Pennebaker의 글쓰기 치료와 Rashid의 긍정심리치료를 토대로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여 여성 한부모를 위한 온라인 긍정개입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만 12세 미만의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이혼 여성 19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무선할당한 후 주 1회 90분씩 총 8회기에 걸쳐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양육스트레스, 우울 및 안녕감에 대한 사전-사후-추후 측정을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비모수 통계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여성 한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안녕감 증가에 부분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을 경험하는 여성 한부모의 심리적 어려움을 해소하고 안녕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자기 돌봄 차원의 심리지원서비스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는 점과 여성 한부모의 현실적 어려움과 더불어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대면 상담 접근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온라인 개입프로그램의 효과를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n online positive intervention utilizing expressive writing for mothers of single-parent families. For this purpose, based on Pennebaker's writing therapy and Rashid's positive psychotherapy, a positive intervention for single-parent mothers was constructed by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19 divorced women raising children under the age of 12,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nd an 8-session program was conducted for 90 minutes once a week. Quant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non-parametric statistical methods to verify the program effect according to the pre–post–follow up test on parenting stress, depression, and well-being. As a result of this study,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of single-parent mothers were significantly reduced, and it was found to be effective partially in enhancing well-being. Therefore, this study showed that it was possible to take a self-care approach to improve well-being of single-parent mothers who experience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and to resolve their difficulties through an online positive intervention utilizing expressive writing.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onducted an online positive intervention utilizing expressive writing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difficulties in accessing group counseling due to the limitations of face-to-face counseling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demonstrated its effectiveness.
본 연구는 학령기 자녀를 둔 한국의 여성 중간관리자의 코로나 19시기 재택근무의 현상학적 경험을 분석하여 다가오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새롭게 지각되는 여성 중간관리자의 일-가정 양립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고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령기 자녀를 둔 한국의 여성 중간관리자 7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이들이 경험하는 중층적 의미들을 해석한 현상학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 중간관리자의 범위를 ‘국내 소재 대기업 및 공기업에서 일하는 학령기 자녀를 둔 과장급 이상, 조직 경험 10년 이상의 경력 단절하지 않은 40대 여성’으로 한정하였고 면담과 동시에 진행된 순환적 분석과정을 통해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총 18개의 소주제와 6개의 대주제가 도출되었고, 한국의 워킹맘 중간관리자들이 경험한 코로나 시기 온라인 재택근무의 체험적 의미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참여자들은 코로나 19시기 초반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의 불분명한 경계에서 자기정체성에 대한 혼란과 불안감을 느꼈으나 점차 새로운 상황에 적응해나가는 방법을 모색하였고, 둘째 코로나 넛지효과로 온라인 재택근무의 실효성과 더불어 그 명암을 몸소 체험하였으며, 셋째 여성 중간관리자로서 귄위와 돌봄 사이에서 분투하며 애로점을 경험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넷째 코로나 시대 멈춤과 돌봄의 소중함을 깨달을 수 있는 뜻밖의 기회를 가졌으나, 다섯째 여전히 조직에서의 여성 임원 자리는 돌봄에 힘쓸 필요가 없는 자의 것이라는 냉정한 현실도 함께 자각하였다. 마지막으로 코로나 19시기에 당위적으로 경험한 온라인 재택근무 제도가 다양성을 수용하는 유연한 자기(self)로 전환하는 데 일조했음을 밝혔다. 나아가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 도출된 핵심 주제들을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향해가는 현 상황에서 중간관리자 워킹맘이 새롭게 지각하는 경험을 세밀하게 이해하여 이들의 일-가정 양립 및 개인적 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 및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understand and clarify the work-family balance experience of female intermediate manager with school-age children by analyzing their experience of remote working during the COVID-19 perio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ven Korean female intermediate managers having school-age children, and phenomenological studies were conducted to interpret the layered meanings they experienced. As a result, a total of 18 sub-subsidies and 6 subsidies were derived. First, participants felt confusion and anxiety about self-identity due to the unclear boundary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areas in the early COVID-19 era, but gradually sought ways to adapt to new situations. Second, with COVID-19 Nudge effect, they experienced the effectiveness of remote working system and its pros and cons. Third, as a female intermediate manager, they struggled between authority and caring. Fourth, they had an unexpected opportunity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pausing and caring in the COVID-19 era, but fifth, they also realized that female executive positions still belong to those who do not need to work hard on caring. Finally, it was revealed that the remote working system, which was inevitably experienced during the COVID-19, helped transform themselves into a ‘flexible self’ that embraces diversity. Through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ications for contributing to their work-family balance and personal growth were discussed by understanding in detail the newly perceived experience of intermediate managers in the current situation toward the post-COVID-19 era.
본 연구의 목적은 난임 여성의 사회부과 완벽주의, 자기개념명확성, 정서조절곤란 및 우울 간 관계와 함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개념명확성과 정서조절곤란의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난임 여성 150명을 대상으로 배부된 질문지 중 최종 회수된 83부의 자료에 대해 SPSS Statistics 21.0과 SPSS Macro Model 4와 Model 6을 사용하여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 선형회귀분석, 개별매개효과 및 이중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난임 여성의 사회부과 완벽주의, 자기개념명확성 및 정서조절곤란은 각각 우울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난임 여성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자기개념명확성과 정서조절곤란은 각각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난임 여성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자기개념명확성과 정서조절곤란은 이중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난임 여성의 심리적 고통을 감소시키기 위한 심리치료적 개입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imposed perfectionism, self-conceptual clarity, and difficulty in emotional regulation, in infertile wome’s depression. as well as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ualization and difficulty in emotional regulation on the effects of socially imposed perfectionism on depression. is to do For this purpose, SPSS Statistics 21.0 and SPSS Macro Model 4 and Model 6 were used for the finally collected data of 83 copies of the questionnaire distributed to 150 infertile women,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linear regression analysis, individual mediating effect, and dual effects were used. Mediating effect analysis was conduct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ly imposed perfectionism, self-concept clarity, and difficulty in emotional regulation of infertile wome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depression. Second, self-concept clarity and difficulty in emotional regulation were found to have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effects of socially imposed perfectionism on depression in infertile women. Third, it was found that self-concept clarity and difficulty in emotional regulation had a dual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socially imposed perfectionism on depression in infertile women.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psychotherapeutic intervention to reduce psychological pain in infertile wo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