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권호 목록

가족 건강성이 기혼 여성의 결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배우자 지지로 조절된 성인 애착의 매개효과
여소희(하나임상심리연구소) ; 이창현(하나임상심리연구소) pp.1-1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가족 건강성과 기혼 여성의 결혼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성인 애착이 매개하는지 살펴보고, 배우자 지지가 성인 애착의 매개효과를 조절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해당 변인들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전국의 기혼 여성 21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방식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가족 건강성, 성인 애착, 결혼 만족도, 배우자 지지의 관계에 대해 분석한 결과 모두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성인 애착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가족 건강성과 결혼 만족도 간 관계에서 성인 애착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배우자 지지가 성인 애착과 결혼 만족도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확인한 결과, 성인 애착과 결혼 만족도 간 관계에서 배우자 지지의 조절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배우자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가족 건강성이 성인 애착을 통해 결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배우자 지지에 의해 조절되는 것이 검증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adult attachmen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health and married women's marriage satisfaction, and to verify whether spouse support regulates the mediating effect of adult attachment. Therefore, in order to collect data on these variables, data were collected using an online survey method for 213 married women across the country.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health, adult attachment, marriage satisfaction, and spouse support all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adult attachment, the mediating effect of adult attachment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health and marriage satisfaction.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spouse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marriage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as a result of confirming whether spouse support regul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marriage satisfaction. Fourth,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controlled mediating effect of spouse support, it was verified that the effect of family health on marriage satisfaction through adult attachment was controlled by spouse support. Based on thi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of subsequent studies were discussed.

여성 탈북민 의사소통 역량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 동기강화상담과 사회기술훈련을 중심으로
신성만(한동대학교) ; 이다인((주) 다인) ; 오성은(미시간 주립대학교) ; 백진주(경북도박문제예방치유원) ; 원재순(대구교육대학교) ; 김윤희(한동대학교) pp.21-4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 탈북민의 의사소통 역량을 증진함으로써 남한사회 적응을 도모하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김창대 등(2022)이 제안한 프로그램 개발 절차에 따라 동기강화상담과 사회기술훈련 이론을 적용하여 의사소통 인식, 의사소통 태도, 의사소통 지식, 의사소통 기술의 4가지 모듈형으로 개발하였다. 인식 모듈의 목적은 자신과 타인을 이해함으로써 관계에 대한 비판적 사고를 기르는 것이고, 태도 모듈의 목적은 남한 사람과의 의사소통에 도움이 되는 개방적 태도와 의사소통 동기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지식 모듈의 목적은 남한사회의 언어, 생활방식, 의사소통 차이 등을 이해하는 것이고, 기술 모듈의 목적은 남한 생활에서 의미 있는 관계를 맺기 위한 의사소통 방법을 습득하는 것이다. 개발한 프로그램을 지역사회에 거주 중인 여성 탈북민 10명에게 이틀에 걸쳐 회기 당 50분, 16회기의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프로그램 참여 이전보다 의사소통 지식, 기술, 인식이 증가하였고, 대인관계 능력 척도의 하위요인 중 상호작용관리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참여자의 소감에서 자신감 상승, 변화의 필요성 인지, 의사소통 문화 차이 이해, 타인 공감, 새로운 내용의 습득, 의사소통 습관 파악에서 긍정적인 도움을 받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여성 탈북민 집단상담 실제에 대한 시사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group counseling program that promotes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adaptation to South Korean society by enhancing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verifying its effectiveness. To this end, the program was developed in four modules: communicative attitudes, communicative knowledge, communicative skills and communicative awareness by applying Motivational Interviewing and Social Skills Training according to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dure proposed by Kim et al (2022). The purpose of the attitude module is to improve openness and motivation to communicate with South Koreans, and the purpose of the knowledge module is to understand the language, lifestyle, and communicative differences in South Korean society. The goal of the skills module is to learn how to communicate to build meaningful relationships in South Korean life, and the goal of the awareness module is to develop critical thinking about relationships by understanding oneself and others. As a result of the 16 sessions of the program, 50 minutes per session, over two days, for 10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the results showed an increase in communicative knowledge, skills, and awareness, al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a significant increase in interaction management among the sub-factors of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Scale, compared to before the program. Participants also reported that the program helped them to increase their confidence, recognize the need for change, understand communication culture differences, empathize with others, learn new content, and identify communication habit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the practice of group counseling for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20대 여성의 사회비교경향성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SNS 셀피행동의 매개효과
서지혜(성균관대학교) ; 장혜인(성균관대학교) pp.45-7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20대 여성의 사회비교경향성이 이상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SNS 셀피행동의 역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여자 대학생 144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사회비교경향성, SNS 셀피행동, 이상섭식행동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비교경향성이 이상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반적인 SNS 셀피행동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반면, 타인중심 SNS 셀피행동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섭식문제에 취약한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이상섭식행동을 예측하는 심리적, 사회문화적 요인을 통합적으로 검증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SNS와 같은 새로운 미디어에서의 특정 행동의 영향력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20대 여성들의 이상섭식행동에 대한 예방 및 개입에서 타인중심 SNS 셀피행동이 효과적인 표적일 수 있다는 임상적 함의를 제공한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ole of selfie behaviors in SNS as a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disordered eating among female adults in their 20s. The participants were 144 female college students who completed a series of self-report questionnaires that measure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SNS selfie behaviors,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The results indicated that general selfie behaviors did not significantly mediate the association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whereas other-focused selfie behaviors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Based on the finding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s well a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기혼 공무원의 재택근무 만족도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성별 및 자녀유무의 조절효과
신재열(지방공기업평가원) pp.71-9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기혼 공무원을 대상으로 재택근무 만족도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과 성별과 자녀유무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해 한국행정연구원 「2021년 공직생활 실태조사」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재택근무 경험이 있는 기혼 공무원 1,599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기혼 공무원의 재택근무 만족도는 조직몰입, 직무만족, 조직시민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여성은 남성보다 재택근무 만족도가 조직몰입,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더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시민행동에는 유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자녀유무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녀유무는 재택근무 만족도와 조직몰입, 직무만족,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재택근무 만족도, 성별, 자녀유무 간의 3원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녀가 있는 여성의 경우 자녀가 없는 여성보다 재택근무 만족도가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추후 연구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satisfaction with working from hom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and presence of children among married public official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irst, married public officials’ satisfaction with working from home had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econd, It was found that for women, satisfaction with working from home had a smaller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than for men. There was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Third, having children did not have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working from hom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Last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 it was found that for women with children, satisfaction with working from home had a greater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than for women without children.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theoretical scope of research will be expanded if groups are classified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institutions and tasks and the research subjects are expanded to private institutions.

학업모의 양육불안과 안녕감의 관계에서 배우자 양육협력의 매개효과와 학습몰입의 조절효과
조기란(서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 이정미(서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pp.93-1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학업모의 양육불안과 안녕감의 관계에서 배우자 양육협력의 매개효과와 학습몰입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배우자와 함께 서울, 경기도, 인천에 거주하는 만 3-9세 자녀를 둔 30, 40대 기혼여자대학원생 18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PROCESS Macro Model 4, 1, 5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우자 양육협력은 학업모의 양육불안이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학습몰입은 학업모의 양육불안이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였다. 셋째, 학업모의 양육불안과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배우자 양육협력의 간접효과와 학습몰입의 조건부 직접효과가 모두 유의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어린 자녀를 양육하는 학업모의 안녕감을 증진하기 위해 배우자의 양육협력과 학업모의 학습몰입을 함양할 수 있는 심리교육 및 상담 개입은 물론이고, 학업모와 그 가족을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과 제도 마련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pouse parenting allian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in the relation between parenting anxiety and well-being of student mothers. Data was collected online from 182 married female graduate students in their 30s and 40s with children aged 3-9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1 program and PROCESS Macro Models 4, 1, and 5.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pouse parenting alliance completely mediated the effect of parenting anxiety on the well-being of student mothers,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moderated according to the learning flow of student mothers. In addition, when the learning flow of student mother was low, the higher the parenting anxiety, the lower the well-being, but when the learning flow was high, there was no difference in well-being due to parenting anxiety. This suggests that psychological intervention such as psycho-education and marital counseling for couples to promote parenting alliance will be helpful when trying to help student mothers with low well-being due to parenting anxiety, and individual counseling for student mothers can be effective when using positive psychological intervention that can increase learning flow a counseling strategy.

익명성과 공격성의 관계: 자기애 유형과 성차를 중심으로
조효심(대구 계명대학교) ; 조수현(계명대학교) pp.113-12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온라인 환경의 특성 중 하나인 익명성과 개인의 심리 내적 특성인 자기애 성향이 성별 및 하위요인별로 공격성을 어떻게 설명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대 이상 성인남녀 206명을 대상으로 익명성, 공격성, 외현적 자기애, 내현적 자기애 성향을 측정하였고, SPSS 2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익명성이 공격성을 유의하게 설명하였지만, 자기애 유형을 추가로 고려하였을 때, 공격성에 대한 익명성의 설명력은 유의하지 않게 되었다. 둘째, 자기애적 성향은 익명적 조건에서 외현적 자기애, 내현적 자기애 유형 모두 공격성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익명적 조건에서 자기애 유형은 성별에 따라 공격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내현적 자기애 성향만이 공격성을 유의하게 설명하였고, 여성은 익명적 조건에서 외현적 자기애, 내현적 자기애 성향 모두 공격성을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이는 익명성 보장 상담의 심층적 이해를 위해 익명성 자체뿐만 아니라 자기애적 성향과 성별 등의 내담자 개인특성을 살펴볼 필요성을 시사한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gender and narcissistic types as fac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onymity and aggression in 206 adults.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in SPSS 29.0, anonymity, aggression, overt narcissism, and covert narcissism were analyzed. Results reveal that the impact of anonymity on aggression loses significance when considering narcissistic types, despite sole anonymity significantly explaining aggression. Both overt and covert narcissistic tendencies explained aggression, controlling anonymity. Gender differences were observed, with only covert narcissism significantly explaining aggression in men, while women showed significant effects for both narcissistic tendencies in anonymity controlled conditions. The study underscores the need to scrutinize personal factors such as narcissistic types and gender for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anonymous counseling. It emphasizes consider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beyond the influence of anonymity itself.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