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메뉴

The Delphi-method Study for construction of a Career & Guidance Counseling Model for High School Students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to construct the model that enables the Career & Guidance Counseling Teacher in high school to counsel effectively in the process of counseling. Based on the study of the previous studies and the results of the survey using Delphi Method conducted three times by career counsel and career education professionals and Guidance Counseling Teacher, high school Counseling Model was constructed through the analysis of importance and practice of category that should be included in high school career education and Guidance Counseling Teacher counsel model. Constructed high school ‘Career & Guidance counseling model’ contains the elements that should be dealt in counseling and is composed to apply to clients’ circumstances. After constituting the group of the professionals and extracting of items which showed the high importance through the three surveys, the process model is suggested to used at the scene of counseling. Constructed high school ‘Career & Guidance counseling model’ is separated in five categories - Consultation Request and Acceptance, Career Counseling, Counseling the Possibility of college entrance, Counseling the Strategies of Learning, Follow-up Counseling. To increase the effect and satisfaction of ‘Career & Guidance counseling model’,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recognize the gap between the stages of Consultation Request and Acceptance, Career Counseling, Counseling the Strategies of Learning, Follow–up Counseling and to understand and utilize the procedure of ‘Career & Guidance counseling model’. Finally, the study’s limits and further discussion are suggested.

keywords
진로상담, 진학상담, 진로진학상담, 진로진학상담교사, 델파이 분석, Career Counseling, Guidance Counseling, Career & Guidance Counseling, Construct the Model, Delphi-method, Career & Guidance Counseling Teacher

Reference

1.

권경인 (2008). 집단상담 수퍼비전 사례기록모형 개발. 상담학 연구, 11(1), 153-169

2.

김계현, 황매향, 선혜연, 김영빈 (2005). 상담과심리검사. 서울: 학지사.

3.

김병숙, 손민아 (2005). 진로모델링 프로그램을통한 진로 자기효능감 효과 분석. 진로교육연구, 18(2), 한국진로교육학회.

4.

김봉환 (1997). 대학생의 진로 결정 수준과 진로준비 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김봉환, 김병석, 정철영 (2005). 학교진로상담.서울: 학지사

6.

김정희, 이영대 (2010). 입학사정관제 도입에따른 진로교육지원체제 요구분석. 직업교육연구, 29(4), 185-214.

7.

김충기 (1996). 미래사회의 자녀교육과 진로지도. 서울: 교육과학사.

8.

박도순 (2001). 개정판 교육연구방법론. 문음사

9.

박종무, 전채남, 권미옥 (2004). 신입생의 대학선택 요인과 대학 마케팅커뮤니케이션 전략. 경영교육논총, 34, 373-399.

10.

서병주 (2006). 일반계 고등학교에서의 학교상담의 실태 및 인식 연구, 인제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11.

손은령, 손진희 (2005). 한국대학생의 진로결정및 준비행동: 사회인지적 진로이론을 중심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17(2). 399-417.

12.

유현실, 김창대 (2009). 진로상담전문가의 역량모형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12(2) 241-268

13.

유현실 (2009). 진로상담의 성과준거에 관한델파이 연구. 상담학연구, 10(4), 2187-2206

14.

이강기 (2008). 고등학교 학교상담 실태 연구:경기 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대진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건남 (2008). 고등학생의 대학전공선택 프로그램 모형 개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이재창 (1994). 진로교육 발전방안 탐색에 관한 연구. 진로교육연구, 2, 80-119.

17.

이재창, 최인화, 박미진 (2002), 역기능적 사고가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2). 401-414.

18.

이종성 (2001). 델파이 방법. 서울: 교육과학사

19.

임병웅 (2009).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 및 직업에 대한 인식과 진로교육 개선방안.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4(1), 171-195.

20.

장석민 (1985). 진로교육 목표 및 내용 체계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1.

정영공 (2007). 일반계 고등학교 3학년 진학상담모형 개발. 한국교원대하교 석사학위 논문.

22.

조용선 (2009). 학교진로상담 모형 구안. 진로교육연구, 22(3) 19-39.

23.

최동선 (2003). 청소년 진로개발을 위한 정책 방향성 탐구. 서울: 한국청소년개발원.

24.

통계청 (2010). 2010 청소년 통계. 서울: 통계청.

25.

하화주 (1999). 고교생의 진로결정 유형과 대학진학의사결정 유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6.

한상근, 진미석, 이영대, 임 언, 이지연, 이양구 (2001). 고등학생의 진로선택에 관한 조사.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7.

Healy, C. C. (1982). Career development: Counseling through life stages. Boston: Allyn & Bacon

28.

Krumboltz, J. D., Mitchell, A., & Gelatt, H. G. (1975). Applications of social learning theory of career selection. Focus on Guidance, 8(3), 1-16.

29.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or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 -575.

30.

Zunker, V, G. (2002). Career counseling: A Holistic Apporach(6th ed.). Belmont, CA: Brooks/Col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