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논문 상세

청소년 자기보고형 문제행동평가척도의 개발:신뢰도와 타당도의 검증

Development of a Self-Report Form of the Adolescent Problem Behavior Rating Scale:Tests of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초록

이 연구는 최근 한국 청소년들이 많이 경험하고 있는 문제행동을 평가하는 자기보고형 척도를 개발하고,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청소년 문제행동 평가척도를 개발하기 위해서 문헌조사, 자유반응조사, 전문가자문, 예비조사의 4단계 기초연구를 거쳤다. 연구1에서는 전국 일반 중․고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남녀 청소년 3,186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를 요인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터넷중독, 가족관계문제, 섭식문제, 진로문제, 공격행동, 학업/주의문제, 학교부적응, 또래관계문제, 교사와의 관계문제, 비행, 충동/과다행동이 주요 요인으로 산출되었다. 이들 11개 요인은 청소년 문제행동 총 변량의 89%를 설명하였다. 각 요인별 내적일치도 계수(Cronbach α)는 .71~.91에 해당하여 양호하였다. 또한 하위척도간 상호상관이 모두 유의하였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r=.75로 양호하였다. 연구2에서는 일반 청소년 집단(규준 집단)과 948명의 문제 청소년 집단(타당도 집단)간 하위척도별 평균차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모든 하위척도들에서 타당도 집단의 문제행동수준이 규준 집단보다 더 유의하게 높아서 본 척도의 변별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또한 본 평가척도와 K-YSR간 상관이 모든 하위척도에서 유의하여 본 척도의 공인타당도가 검증되었다. 청소년 문제행동의 평가에 포함되어야 할 문제행동 영역의 포괄성 및 자기보고형 청소년 문제행동 평가의 필요성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keywords
청소년 문제행동, 행동평정척도, 행동평가, 자기보고, adolescent problem behavior, behavior rating scale, behavior assessment, self-report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elf-report form of the adolescent problem behavior rating scale and to test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Items were selected from literature review, free-response surveys with adolescents, parents and teachers, consultation with experts in adolescent development and problems, and a pilot study. Study 1 was conducted to administer a preliminary scale to 3,186 male and female adolescents attending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s in Korea. Exploratory factor analyses yielded 11 factors of adolescent problem behaviors(i.e., internet addiction, eating problems, delinquency, aggression, learning/attention problems, school maladjustment, career problems, family relations, peer relations, relations with teachers, impulsivity/hyperactivity). The 11 factors accounted for 89% of the total variance of adolescent problem behaviors.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s of the 11 subscales ranged from .71 to .91. The 2-week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scale was r=.75. Inter-correlations between the subscales were all significant. In study 2, the validity of the scale was examined. Mean differences in each subscale between the normative group and the validation group(consisting of 948 adolescents with problems) were all significant. The levels of the problem behaviors of the validation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normative one in all subscales. In addition, correlations between this scale and the K-YSR were significant in all of the 11 subscales. Thus, both discriminant and concurrent validities of this scale were found to be good. The results imply that it be necessary to develop an adolescent behavior problem rating scale consisting of items representative of recent adolescent problem behaviors.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the self-report form of the adolescent problem behavior rating scale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keywords

참고문헌

1.

(1996) 청소년 약물 남용 실태 및 예방대책, 한국청소년학회

2.

(2002) 청소년의 Body Image와 식이장애,

3.

(2001) 청소년들의 인터넷 이용현황과 그에 대한 원인분석-인터넷중독증세와 음란행위를 중심으로- , 한국청소년단체협의회

4.

(2001183-210) 학생들의 집단괴롭힘 관련경험에 대한 예측변인들의 탐색 초 중 고등학생간 비교를 중심으로 ,

5.

(2003) 청소년 일탈행동의 형성과 변화에 대한 고찰,

6.

(2003a) 청소년 행동문제의 청소년 평가와 교사 평가간 관계 ,

7.

(2003b) 청소년 부적응 문제에 대한 부모와 청소년의 평가 요인구조의 비교와 예측변인의 탐색,

8.

(2000) 청소년의 감각추구성향과 인터넷중독 경향 및 인터넷관련 비행간의 상관성,

9.

(1998) 부모갈등과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우울과 비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10.

(1997) K-CBCL 아동ㆍ청소년 행동평가 척도 , 중앙적성연구소

11.

(2001) K-YSR 청소년 자기행동 평가척도, 중앙적성연구소

12.

(2000)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 청소년보호위원회

13.

(2003) 한국판 영유아 행동문제 평가척도(Korean Behavior Assessment System for Children; K-ABC) 표준화 예비연구. ,

14.

(2001) 청소년들의 사이버 공간 이용에 있어서 창조적 행위와 일탈적 행위에 대한 심층인터뷰 , 한국청소년단체협의회

15.

(2002a) 인터넷상에서 청소년들의 폭력게임 중독을 예측하는 사회심리적 변인들, 한국발달심리학회

16.

(2002b) 청소년들의 음란물 음란채팅 중독 경험에 있어서 사회심리적 예측변인들의 비교 , 한국청소년학회

17.

(2003) 청소년 문제행동 평정 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청소년 자기보고 자료를 중심으로 ,

18.

(2001) 게임중독 청소년의 특성분석 개입의 필요성 판단을 위한 연구,

19.

(2002) 한국판 교사용-아동평정척도(T-CRS)의 신뢰도와 타당도.,

20.

(2001)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인터넷중독경향 및 인터넷 관련 비행간의 관계,

21.

(2001) 청소년의 인터넷 범죄, 중앙일보

22.

(2001) 다이어트 열풍, 중앙일보

23.

(1996) 청소년 비행상담, 청소년대화의광장

24.

(1998) 청소년 문제론, 청소년대화의광장

25.

(1998) 현대청년심리학, 학문사

26.

(2000) 청소년문제 유형분류체계 개발연구 VII, 한국청소년상담원

27.

(1991a) Manual for the child behavior checklist/4-18 and 1991 profile University of Vermont,

28.

(1991b) Manual for the youth self report and 1991 profile University of Vermont,

29.

(1991c) University of Vermont,

30.

(1983) Manual for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and revised child behavior profiles University of Vermont,

31.

(1987) Implications of cross- informant correlations of situational specificity,

32.

(1987) Epide- miological comparisons of American and Dutch children Behavioral/emotional problems and competencies reported for ages 4 to 16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33.

(1996) Developmental approaches to understanding adolescent devia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4.

(1994) Diagnostic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35.

(2002) Best practices in personality assessment Best practices in school psychology-IV National Association of School Psychologists,

36.

(1987) Multiperspective assessment of young children's school adjustment,

37.

(1978) Aggression in the schools,

38.

(1995) Assessment of ADHD with culturally different groups:The use of behavioral rating scales,

39.

(1992) Behavior assessment system for children,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