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논문 상세

성인기 여성의 스트레스, 마음챙김, 자기-자애(慈愛), 심리적 안녕감 및 심리 증상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stress of adult women, mindfulness, self-compass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sychological symptoms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성인기 여성의 심리적 안녕감과 심리적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을 스트레스, 마음챙김, 자기-자애로 규정하고, 이들 간의 유기적이고 인과적인 관계성을 검증하였다. 이론적 잠재 변수들을 대표하는 측정치로, 스트레스 생활 사건 질문지, 역할 스트레스 질문지, 마음챙김 주의 및 자각 척도, 자기-자애 척도, 심리적 안녕감에는 심리적 안녕감 척도와, 우울, 불안, 적대감, 신체화 등의 심리 증상 측정치가 각기 선정되었다. 선행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심리적 요인들의 간의 가능한 경로와 역할에 대한 가설적인 모형이 제시되었고, 지역 사회에 거주하는 여성 405명을 대상으로 이론적 모형들의 타당성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간에 마음챙김과 자기-자애의 매개 모델의 적합도는 양호하게 나타났으나 자기-자애에서 심리적 안녕감에 이르는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반면 스트레스와 심리 증상 간에 마음챙김과 자기-자애의 매개 모델의 적합도는 양호하게 나타났고 모든 경로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스트레스와 심리 증상 간에 마음챙김과 자기-자애의 매개 모형을 가정한 연구 모형과 가능한 모든 경로를 상정한 대안 모형을 비교한 결과, 스트레스와 심리 증상의 직접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고, 마음챙김과 자기-자애를 통한 간접 경로도 유의미하게 나타나서 대안 모형의 적합도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미와 제한점 그리고 향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keywords
심리적 안녕감, 마음챙김, 자기-자애, 매개 모형
투고일Submission Date
2008-10-14
수정일Revised Date
2008-11-10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09-11-11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