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71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duce a preliminary Korean version of the Receptive Communication Scale of the Bayley-III and to obtain the base data on the standardization of Korean Bayley-III. The original Receptive Communication Scale was translated English to Korean, and than inappropriate items for Korean children's were removed or modified, and new items were added. Participants were 246 infants and toddlers between 1-42months in Seoul and the suburb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sing the degree of item difficulty, it was shown that the item arrangement was nearly similar to the original scale's except for a few cases. And it was identified that additional new items could assess accurately Korean children's receptive language development.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reliability, Cronbach's α coefficient(.984), test-retest reliability(.977) and inter-scorer reliability(.999) was showed a strong correlation. Third, the content validity was checked for adequateness of original items and modified or added items in this study. The 2 domestic language scales had high correlations with Bayley-III receptive language scale respectively.
강은진, 박혜경(2007). 영아 언어발달 연구의 경향 분석: 0~36개월 미만 영아를 대상으로. 유아교육연구, 27(2), 139-161.
곽금주, 성현란, 장유경, 심희옥, 이지연, 김수정, 배기조(2005). 한국영아발달연구. 서울: 학지사.
권도하(1994). 유타언어발달검사. 대구: 한국언어치료학회.
김경진(2008).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3판 소근육운동 척도 한국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 16개월-38개월 아동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영태(2000). 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척도(PRES)의 개발: 문항 및 신뢰도 분석. 언어청각장애연구, 5(1), 77-101.
김영태(2002). 영유아 언어발달검사(SELSI) 개발연구: 문항 및 신뢰도 분석. 언어청각장애연구,7(2), 1-23.
김영태, 김경희, 윤혜련, 김화수(2003). 영유아언어 발달검사(SELSI). 서울: 도서출판 특수교육.
김영태, 성태제, 이윤경(2003). 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척도(PRES).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김정남(2003). 한국어 대명사 우리의 의미와 용법. 한국어 의미학, 13, 257-274.
김지윤(2008).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3판 대근육운동 척도 한국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 16개월-38개월 아동 대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혜원(2007).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3판 사회-정서 척도 한국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 10개월-42개월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태련, 조혜자, 이선자, 방희정, 조숙자, 조성원, 김현정, 홍주연, 이계원, 설인자, 손원숙, 홍순정, 박영신, 손영숙, 김명소, 성은현(2004). 발달심리학. 서울: 학지사.
대한소아과학회(2002). 한국형 영유아 발달 검사. 서울: 광문출판사.
박영신(1997). 두 가지 수체계 대응성에 대한 이해의 발달. 한국심리학회: 발달, 7, 77-97.
박혜원, 곽금주, 박광배(1996). 한국 웩슬러 유아지능검사(K-WPPSI) 지침서. 서울: 도서출판 특수교육.
박혜원, 조복희(2006). 한국 Bayley 영유아발달검사 II 실시지침서. 서울: 도서출판 키즈팝.
박혜원, 조복희(2006). 한국 Bayley 영유아발달검사 II 해석지침서. 서울: 도서출판 키즈팝.
박혜원, 조복희, 최호정(2003). 한국 Bayley 영유아 발달검사(K-BSID-II) 표준화 연구: 예비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6(4), 121-134.
배소영(1987). 정상 아동과 정신지체 아동의 의문사 발달에 관한 비교 연구: 정신연령 3,4,5세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Bornstein, M. H., 박성연, Cote, L. R. (2004). 걸음마기 한국아동의 어휘발달: 단어유목, 어휘구성, 성차 및 개인차에 관한 기초분석. 아동학회지, 25(2), 19-39.
성태제(1996). 문항제작 및 분석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성태제(2000). 고전검사이론에 의한 검사분석 프로그램 TestAn 1.0. (주)에버케이션.
송명자(1995). 발달심리학. 서울: 학지사.
신희선, 한경자, 오가실, 오진주, 하미나(2002). 한국형 Denver II 검사지침서. 서울: 현문사.
이재호, 김소영 역, Nick, L. 저(2007). 언어와 사고. 서울: 학지사.
이정미, 권도하(2005). 2~4세 아동의 의문사 이해에 관한 연구. 언어치료연구, 14(1), 185-204.
이현진, 박영신, 김혜리 역, Hoff, E. 저(2001). 언어발달. 서울: 시그마프레스.
장유경(2004a). 한국 영아의 초기 어휘발달: 8개월~17개월.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3(1), 77-99.
장유경(2004b). 한국 영아의 초기 어휘발달: 18개월~36개월.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7(4), 91-105.
장혜성, 임선숙, 백현정(1992). 언어 이해 인지력 검사.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장혜성, 임선숙, 백현정(1994). 문장 이해력 검사.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장휘숙(2001). 아동발달. 서울: 학지사
정문자, 이은혜, 박경자(1991). 베일리 유아발달 척도의 한국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 아동학회지, 14(1), 5-21.
정인임(1999). 인지발달론의 구조적 접근과 과정적접근의 통합. 영유아교육연구, 2, 1-22
제경숙(1983). 베일리 유아발달 검사의 표준화를 위한 예비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선(2007).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III 적응행동척도의 한국 표준화 예비연구: 12-42개월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홍경훈(2005). ‘말늦은아동(late-talker)’의 표현어휘발달 예측요인에 대한 종단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Anastasi, A., & Urbina, S. (1997). Psychological Testing(7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Au, T. K., Dapretto, M., & Song, Y. K. (1994). Input vs. constraints: Early word acquisition in Korean and English.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33, 567-582.
Bayley, N. (1969).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 New York: Psychological Corporation.
Bayley, N. (1993).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2nd Edition : Manual. San Antonio: Harcourt Brace & Company
Bayley, N. (2006a). Bayley Scales of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Third Edition: Administration Manual. San Antonio, TX: Harcourt Assessment.
Bayley, N. (2006b). Bayley Scales of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Third Edition: Technical Manual. San Antonio, TX: Harcourt Assessment.
Choi, S. (1998). Verbs in early lexical and syntactic development in Korean. Linguistics 36(4), 755-780.
Choi, S., & Gopnik, A. (1995). Early acquisition of verbs in Korean: A cross-linguistic study. Journal of Child Language, 22, 497-529.
Goldfield, B. A. (1993). Noun bias in maternal speech to one year olds. Journal of Child Language, 20, 85-99.
Hirsh-Pasek, K., & Golinkoff, R. (1991). Language comprehension: A new look at some old themes. In N. Krasnegor, D. Rumbaugh, R. Schieffelbusch, & M. Sruddett-Kennedy (Eds.), Biological and behavioral determinants of language development (pp. 301-320). Hillsdale, NJ: Erlbaum.
Lewis, M., Jaskir, J., & Enright, M. K. (1986). The Development of Mental Abilities in Infancy, Intelligence, 10, 331-354.
Munsell, K. L. (2007). A screening battery for identifying at-risk infants: Prediction of outcome on Bayley Scales of Infant/Todder Development-III.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Section B: The Sciences and Engineering, 67(7-B), pp. 4136
Mayes, S. D. (1997). Potential Scoring Problems Using the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II Mental Scale. Journal of Early Intervention, 21(1), 36-44.
Owens, R. (1998). Language disorders: A functional approach to assessment and intervention. Boston: Allyn & Bacon.
Reznick, J. S., Corley, R., & Robinson, J. (1997). A Longitudinal Twin Study of Intelligence in the Second Year.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62(1, Serial No. 249).
Sternberg, R. J. (1980). Factor Theories of Intelligence Are All Right Almost. Educational Researcher. 9(8), 6-18.
Zimmerman, I. L., Steiner, V. G., & Pond, R. E. (2002). Preschool language scale- Fourth edition. San Antonio, TX: The Psychological Corp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