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Effect of Family Relations as a Source of Meaning of Life and Self-transcendence Value on Successful Aging In Korean Elder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family relations as a source of meaning of life and self-transcendence value on successful aging in the elders of Korea. The result was as follows:First, Korean elders considered that family relations as the most important domain from the 11domains suggested. Physical and mental health were also regarded as critical domains including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the different results were reported between the group with high intimacy family relations and the group with relatively lower family relations in terms of successful aging. Lastly,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tial elements and factors in successful aging based on multiple regressions. This study concluded that family relations and self-transcendence value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uccessful aging.

keywords
Submission Date
2012-01-15
Revised Date
2012-02-11
Accepted Date
2012-02-12

Reference

1.

강유진 (2011). 손자녀 돌봄과 조부모의 심리적 복지: 돌봄 상황, 양육지각, 자원의 상호관련성을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4(1), 73-97.

2.

강주령 (1990). 노년기 적응에 관한 연구: 가족관계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

공수자, 한규석, 이은희 (2004). 한국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 모형 개발: 자존심의 매개 효과 검증.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3), 243-263.

4.

권미애, 김태현 (2008). 노년기 삶의 만족도에 관한연구 -자원봉사활동 집단과 경제활동집단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8(4), 1089-1111.

5.

권석만 (2008). 긍정심리학. 서울: 학지사.

6.

김경호, 김지훈 (2009). 한국 노인의 성공적인 노화요인의 구조분석. 한국노년학, 29(1), 71-87.

7.

김도환 (2001). 도시 노인의 가족지지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연구. 노인복지연구, 10, 171-193.

8.

김미혜, 신경림 (2005).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후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5(2),35-52.

9.

김연신, 최한나 (2009). Schwartz의 보편적 가치이론의 적용 타당성 연구: 한국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3(1), 1-16.

10.

김영범, 박준식 (2004). 한국노인의 가족관계망과삶의 만족도: 서울지역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4(1), 169-185.

11.

김영선 (1999). 노인이 지각한 가족지지와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2.

김원배 (2009). 한국노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요인에관한 연구: 활동이론과 자원이론을 중심으로. 인제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13.

김유경 (2000). 세대간의 유대관계와 노인의 삶의질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노부모와 성인 자녀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4.

김은주 (1994). 노부모의 성인자녀와의 결속과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논문.

15.

김태현, 김수정 (1996). 노인이 지각한 세대적 결속과 우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16, 110-129.

16.

김태현, 김동배, 김애순, 김미혜, 이영진(1999). 노년기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Ⅱ). 한국노년학, 19(1), 61-81.

17.

김철민 (1999). 가치관 연구에 관한 비판적 고찰:개념 정의, 가치요소와 측정방법을 중심으로. 학생생활연구, 6, 53-78.

18.

김현지 (2008). 노인의 삶의 의미와 자살생각 간의관계: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회피적 대처양식의매개효과. 고려대 대학원 석사논문.

19.

김효정, 김명자 (1995). 청소년기 부모-자녀관계 및노부모-성인자녀간 결속도에 따른 노인의 생활만족도. 한국가정관리학, 13(3), 36-46.

20.

박경란, 이영숙 (2002).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한국노년학, 22(3), 53-66.

21.

박미숙 (2010). 노인이 인지하는 가족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청주대학교 석사논문.

22.

백지은, 최혜경 (2007). 한국사회와 서구사회의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에 대한 비교문화적 연구.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2), 137-153.

23.

서동인, 유영주 (1991). 손자녀가 지각한 조모와의심리적 친밀도. 아동학회지, 12(2), 154-172.

24.

송예헌 (2001). 노인이 인지하는 가족지지와 정신건강 및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10(1), 473-483.

25.

신현희 (2011). 자기초월가치와 환경보존행동 및친환경행동의도와의 관계.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신영희, 이혜정 (2009). 일 도시 노인의 성공적인노화 관련 요인. 한국노년학, 29(4), 1327-1340.

27.

신희석 (2000). 생의 의미가 중년 주부의 우울 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7(1),29-45.

28.

심미성 (2006). 스트레스 완충자원으로서의 삶의의미의 역할. 가톨릭대 대학원 석사논문.

29.

안정신, 강인, 김윤정 (2009). 한국 중노년 성인들의 성공적 노화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 13(4), 225-245.

30.

안정신, 정영숙, 정여진, 서수균, Cooney, M. T.(2011). 성공적 노화연구의 비판적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4(3), 35-54.

31.

양옥경, 주소희 (2011). 독거노인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7, 321-347.

32.

오선영 (2008).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관련된 노인의 가족기능과 외로움. 노인복지연구, 42,267-290.

33.

원영희 (1995). 동·별거가 한국노인의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5(2),97-116.

34.

유희정 (2011). 노년기 세대관계 유형에 관한 종단연구(1): 변화양상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31, 87-111.

35.

윤현숙, 유희정 (2006). 가족관계가 성공적 노화에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8, 5-31.

36.

이민아 (2009). 한국 노인과 행복: 결혼 상태에 따른 우울도와 성차. 한국사회학회 심포지움 논문집, 9, 113-128.

37.

이신숙 (1995). 유 ·무배우 여자노인들의 경제상태,건강상태, 가족의 지원에 따른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여성연구, 3, 159-179.

38.

이신영 (2009). 자녀 동거여부에 따른 여성노인과남성노인의 생활만족도 영향요인. 젠더와 문화,2(1), 125-149.

39.

이신영 (2010). 성공적 노화 인식에 관한 성별 비교 연구. 젠더와 문화, 3(1), 99-130.

40.

이주일, 강연욱, 김지현, 유 경 (2011). 생산적 노화에 대한 세대간 인식차 및 생산적 노화 척도의타당성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24(1), 1-27.

41.

이주일, 박군석, 유경, 김영범, 장숙랑, 윤현숙, 유희정, 김동현 (2008). 성공적인 한국 노인의 삶.서울: 학지사.

42.

임은기, 정태연 (2009). 한국 노인의 행복 요인 탐색과 척도 개발. 한국노년학, 29(3), 1141-1158.

43.

장휘숙 (2006). 성인심리학: 성인발달, 노화, 죽음.서울: 박영사.

44.

장휘숙 (2011). 호위대 모델에 기초한 한국 중년성인들의 가까운 사회적 관계. 한국심리학회지:발달, 24(1), 1-18.

45.

정순둘 (2007).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관한 인식 비교연구. 한국노년학, 27(4),829-845.

46.

정여진 (2011). 노인의 부부친밀감과 자녀에 대한애착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대학원 박사논문.

47.

정여진, 안정신 (2010). 남성노인의 성공적 노화에가족관계 변인이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30(2), 535-550.

48.

정영숙 (2011). 한국 여성노인의 잘 나이들기: 성숙한 노화 개념의 탐색.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22-56.

49.

정태연 (2008). 한국노년학에서 다룬 노인의 심리적 특성: 역사적 고찰과 미래의 과제. 한국노년학, 28(4), 815-829.

50.

정현숙 (2001). ‘한국형 결혼만족도 척도’ 개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9(12), 205-224.

51.

조남국 (1994). Schwartz와 Bilsky의 보편적 가치구조 이론에 대한 방법적 비판: SSA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8(2), 55-69.

52.

조명희 (2000).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응용과학연구, 7(1), 213-223.

53.

조병은 (1988).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Korean aged parents. University of Delaware 박사논문.

54.

조병은 (1990). 노부모와 성인 자녀간의 결속도와인생만족도. 한국노년학, 10(1). 105-124.

55.

주경례 (2006). 삶의 의미 척도의 구성: 동기적 구성요인. 부산대 대학원 석사논문.

56.

주미정, 정영숙 (2009). 내적 통제성과 후회 경험이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2(4), 15-36.

57.

주용국 (2011). 전문직 은퇴자의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한국직업교육학, 30(1),75-96.

58.

최명심, 손정락 (2007). 삶의 의미 수준이 자존감,문제해결 인식도 및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4),951-967.

59.

최수정 (2001). 도구개발을 통한 한국노인의 삶의질에 관한 조사연구.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박사논문.

60.

최혜경 (2008). 한국 노인들의 기대에 따른 성공적인 노화: 개념 형성과 중재방안의 탐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3(3), 145-168.

61.

한경혜, 홍진국 (2002). 세대간 사회적 지원의 교환과 노인의 심리적 복지. 가족과 문화, 12(2),55-80.

62.

한미정, 최정윤 (1999). 삶의 의미수준과 죽음불안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11(2), 167-181.

63.

홍숙자 (2002). 노년학개론. 서울: 도서출판 하우.

64.

황혜영 (2004). 조모의 지원 및 조모-손자녀 관계가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취업모 가정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논문.

65.

Baltes, P. B., & Baltes, M. M. (1990). Successful aging: Perspective fron the behavioral scienc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66.

Bar-Tur, L., Savaya, R., & Prager, E. (2001) Sources of meaning of life for young and old israeli jew and arabs. Journal of Aging Studies, 15(3), 253-269.

67.

Battista J., & Almond, R. (1973). The development of meaning in life, Psychiatry, 36, 409-427.

68.

Baumeister, R. F. (1991). Meaning of Life. New York: Guliford Press.

69.

Connidis, I. A. (1989). Family ties and aging. Toronto & Vancouver: Buttrworths.

70.

Crosnoe, R., & Elder, G. H. (2002). Successful Adaptation in the Later Years: A Life course Approach to Aging, Social psychology Quarterly, 65(4), 309-328.

71.

Debats, D. L. (1996). Meaning in life: Clinical relevance and predictive power.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5, 503-516.

72.

Debats, D. L., Drost, J., & Hansen, P. (1995). Experiences of meaning in life: A combine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86, 359-374.

73.

Debat, D. L., van der Lubbe, P. M., & Wezeman, F. R. A. (1993). On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Life Legard Index (LRI): A measure of meaningful lif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nces, 14, 337-345.

74.

DeVogler, K. L., & Ebersole, P. (1981). Adult's meaning in life. Psychological Reports, 49(1), 87-90.

75.

DeVogler, K. L., & Ebersole, P. (1983). Young adolescents' meaning in life. Psychological Reports, 52(2), 427-431.

76.

Ebersole, P. (1998). Types and Depth of Written Life Meaning. In I. B. Weiner, Personality and Clinical Psychology Series (pp.179-). Routledge.

77.

Ebersole, P., & DePaola, S. (1987). Mean in in life categories o later life souples. Journal of Psychology, 121, 185-192.

78.

Emmons, R. A. (1997). Motives and goals. In R. Hogan, & J. A. Johnson (Eds), Handbook of Personality Psychology (pp485-512). San Diego, Ca: Academic Press.

79.

Erikson, E. H. (1982). The life cycle completed. New York: Norton.

80.

Fiske, M., & Chiriboga, D. A. (1991). Change and Continuity in Adult Life. San Francisco: Jossey-Bass.

81.

Frankl, V. E. (1963). Men's searching for meaning: Am introduction to logotherapy. New York: Washington Square Press.

82.

Harlow, L. L., Newcomb, M. D.,& Bentler, P. M.(1986). Depression, self-derogation, substanceuse, and suicide ideation: Lack of purpose inlife as a mediational factor. Journal of ClinicalPsychology, 42, 5-21.

83.

Klinger, E. (1977). Meaning and void: Inner experience and the incentives in people's lives.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84.

Kornhaber, A., & Woodward, K. L. (1985). Grandparents/grandchildren: the vital connection. New Jersey: Transaction Publishers

85.

Langer, N. (1995). Grandparents and adult grandchildren: What do they do for one another? In J. Hendricks (Ed.), The ties of later life (pp.171-179). New York: Baywood.

86.

O'Connor, K., & Chamberlain, K. (1996). Dimensions of life meaning: A qualitative investigagion at mid-life.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87, 461-477.

87.

Penick, J. M., & Fallshore, M. (2005). Purpose and meaning in highly active seniors. Journal of Adultspan, 4(1), 19-35.

88.

Prager, E. (1998). Observations of personal meaning sources for Israeli age cohorts. Aging and Mental Health, 2(2), 128-136

89.

Reker, G. T., & Wong, P. T. P. (1988). Aging as an individual process: Toward a therory of personal meaning. In Bitthen, J. and Bengston, V. L. (Eds), Four stages of life: A theories of aging (pp.214-246). New york: Springer.

90.

Rokeach, M. (1968). Beliefs, Attitudes and Values. San Francisco: Jossey-Bass.

91.

Rowe, J. W. & Kahn, R. I. (1997). Successful aging. New York: Pantheon Books.

92.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 1069-1081.

93.

Ryff, C. D. (1995).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ult life.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4(4), 99-104.

94.

Schwartz, S. H. (1992). Universals in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values: Theoretical advances and empirical tests in 20 countries.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25, 1-65.

95.

Schwartz, S. H., & Bilsky, W. (1987). Toward a psychological structure of human valu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3, 550-562.

96.

Schwartz, S. H., & Bilsky, W. (1990). Toward a theory of universal content and structure of values: Extension and cross-cultural replic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8, 878-891.

97.

Shaw, B. A., Krause, N., & Bennett, J. (2007). Tracking changes in social relations throughout late life. The Journal of Gerontology, 62(2), 90-99.

98.

Shaffer, D. R. (2008). Soci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Wadsworth: Cengage Learning.

99.

Streib, G., & Bick, R. (1980). Quality of life research and sociology. Annual Review of Sociology, 11, 129-149.

100.

Taylor, S. J., & Ebersole, P. (1993). Young children's meaning in life, Psychological Reports, 73(3), 1099-1104.

101.

Vaillant, G. E. (1994). Successful aging and psyhological well-being: Evidence from 45-year study. In Tompso, E. H. Jr. (Ed), Older man's lives, 22-41. Thousan Oaks CA: Sage.

102.

Vaillant, G. E. (2002). Aging Well. Boston: Little Brown.

103.

Vaillant, G. E., & Mukamal, K. (2001). successful aging,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8(6), 839-847.

104.

Zika, S., & Chamberlain, K. (1992). On the relation between meaning in lif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83, 133-145.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