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An exploratory study on perceived conflict with old parents of the Korean middle ag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onflict in relationships between middle-aged Koreans and their parents. We classified areas of conflict and investigated potential gender differences. We used an open-ended questionnaire, which was completed by 136 middle-aged participants (aged 40-59 years). Our analysis revealed 23 conflicts classified into 3 areas: relationship with one’s parents, self-management by elderly parents, and problems involving grandchildren.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area of conflict was relationship with one’s parents. Women experienced more conflict than men. Specific responses in this area included: favoritism, disregard, lack of interest in and care for middle-aged children, burden of support, and excessive devotion. Women experienced more conflict in term of both favoritism and lack of interest in and care.

keywords
Submission Date
2015-03-25
Revised Date
2015-06-07
Accepted Date
2015-06-09

Reference

1.

권중돈 (2003). 노인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24(1), 11-28.

2.

김경신 (2010). 한국여성과 재미한인여성의 가족가치관 비교연구-코호트 및 개인사분석을 통한 지속과 변화탐색.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5(1), 271-296.

3.

김경신 (2010). 한국 중년여성의 갈등: 성, 세대, 그리고 가치관. 한국인간발달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19-35.

4.

김경신, 이선민 (1998). 중년부부의 노부모 부양부담감과 관련변인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6(2), 93-106.

5.

김두섭, 박경숙, 이세용 (2000). 중년층과 노부모의 세대관계와 중년층의 노후부양관. 한국인구학, 23(1), 55-89.

6.

김명자, 박연성 (1989). 중년기 위기감 및 그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남성과여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 7(1), 97-118.

7.

김명자, 손서희 (2005). 기혼자녀(아들 딸)와 부부간 정서적 결속도에 따른 부양행동. 대한가정학회지, 43(7), 37-51.

8.

김미혜, 성기옥, 팽경희, 최희진 (2011). 손자녀양육 조부모와 자녀와의 갈등에 영향을미치는 요인: 조부모의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31(4), 905-923.

9.

김민희, 신순옥 (2014). 중년기 성격과 노화불안: 성격 5요인, 생성감과 노화불안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7(4), 1-25.

10.

김밀양 (2004). 고부관계연구에 대한 이론적고찰.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2), 173-187.

11.

김애순 (1993). 중년기 위기감 (2) : 회고적 청년기의 정체감 발달 상태에 따른 중년기위기감 수준.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6(2), 75-84.

12.

김종서, 남종길, 정지웅, 이용한 (1982). 평생교육 체제와 사회교육의 실태. 서울: 정신문화연구원.

13.

김태현 (1994). 노인의 가족결속도와 효 의식및 우울에 관한 비교문화적 연구: 한국노인과 재미한국노인을 대상으로. 한국노년학, 20(2), 155-168.

14.

남순현 (2004). 가족 내 세대갈등과 통합.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0(2), 1-15.

15.

박인아 (2012). 기혼자녀의 노부모와의 관계불만족이 노부모와의 관계 부적응 행동과그 영향요인들 간의 관계에서 지니는 매개효과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36, 5-29.

16.

박인아, 엄기욱 (2007). 노부모의 의존성이 성인자녀와 노부모간 갈등에 미치는 영향-아동기 피학대경험과 노부모부양의식의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9(1), 179-194.

17.

보건복지부 (2013). 노인학대 현황. 서울: 보건복지부.

18.

서봉연, 유안진 (1983). 인간발달. 서울: 서울대학교.

19.

서수균, 이윤희, 안정신, 정영숙 (2013). 한국노인이 지각한 부부 및 성인자녀 갈등에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2(2), 389-409.

20.

신성자 (2014). 중년 아들ㆍ딸의 노부모 돌봄실천의지에 규범적 헌신과 정서적 헌신이미치는 영향 - 부양부담의 매개효과와 성별 및 종교유무의 조절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신앙과 학문, 19(2), 83-124.

21.

신화용 (2004). 노모를 부양하는 재미교포 자녀와 노모간의 상호지원교환, 지원교환에대한 평가가 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3), 33-54.

22.

안선영 (1996). 신세대와 중년기 부부의 노부모 부양에 따른 부담감 및 보상감 분석. 한국인구학회, 23(1), 55-89.

23.

안정신, 정영숙, 서수균 (2013). 성숙한 노화태도와 성공적 노화 및 심리사회적 성숙의 관계: 성숙한 노화개념의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6(2), 127-147.

24.

안태용 (2013). 중년기 한국인 적응유연성척도개발 및 타당화. 상담학연구, 14(5), 2751-2781.

25.

오영실 (2006). 노인의 의존성이 노인학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26.

옥경희 (1996). 중년기 자녀의 노부모 부양. 한국가정관리학회, 14(2), 265-276.

27.

유계숙 (1995). 성인 딸과 어머니의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13(2), 78-85.

28.

윤 진 (1985). 성인․노인 심리학. 서울: 중앙적성 출판사.

29.

이가옥, 이미진 (2000). 장기요양보호노인 가족수발자의 정서적 부양부담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0(2), 215-228.

30.

이여봉 (2011). 부양지원과 세대 갈등: 딸과 친정부모 그리고 며느리와 시부모. 가족과문학, 23(1), 41-76.

31.

이원준 (2012). 중년부부가 지각하는 성장 시부모의 헌신이 노부모 수발헌신에 미치는영향과 부모-자녀 간의 친밀성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37, 77-109.

32.

이윤로 (1999). 치매노인 가족부양부담의 한ㆍ미 비교연구: 문화적 요인이 부양부담에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19(1), 45-59.

33.

전예슬 (2009). 가구유형에 따른 한국노인의 건강상태 비교연구. 이화여자대학교 학위논문.

34.

정규형, 김종성, 윤지희 (2013). 노부모-자녀와의 구조적 접촉적 결속이 우울에 미치는영향과 자녀관계 만족도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60, 237-258.

35.

정영숙, 이화진 (2014). 중년기의 성숙한 노화와 죽음 태도 및 죽음 대처 유능감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7(2), 131-154.

36.

조병은 (2007). 노년기 가족관계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현황과 과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1), 59-75.

37.

조병은 (2006). 주부양자녀와 형제자매의 지원이 노모와의 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한국과 재미교포자녀의 비교. 한국노년학, 26(1), 161-178.

38.

조병은 (2002). 가족내 세대통합의 현황과 과제. 2002년 한국청소년학회 한국노년학회 공동학술대회-세대통합, 71-85.

39.

조병은, 이미숙, 강란혜 (2001). 역할이론에 근거한 한국과 일본 취업모 가정의 조모역할과 조모와 손자녀의 심리적 복지감에관한 비교연구. 한국노년학회지, 21(3), 213-239.

40.

조병은, 유은희, 이정순, 최혜경 (1996). 2세대모녀간의 애착 자율성 발달특성과 심리적적응. 한국가정관리학회, 14(4), 191-201.

41.

주병애 (2003). 노인의 의존성과 부양자의 대처자원이 부양자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2.

정성호 (2012). 중년의 사회학. 서울: 살림.

43.

최상진, 이장주 (1999). 정(情)의 심리적 구조와사회: 문화적 기능분석. 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 12(1), 219-234.

44.

통계청 (2013). 생애주기별 주요특성 및 변화분석. 서울: 통계청.

45.

Bedford, V. H. (1992). Memories of parental favoritism and the quality of parent-child ties in adulthood.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s, 47, 149-155.

46.

Borland, D. (1978). Research on middle age: An assessment. The gerontology, 18(4), 379-386.

47.

Brody, E. M., Hoffman, C., Kleban, M. H., &Schoonover, C. B. (1989). Caregiving daughters and their local sibling: Perceptions strains, and interactions, The Gerontologist, 29, 529-538.

48.

Dwyer, J. W., & Miller, M. K. (1990).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 of the caregiving network by area of residence: Implications for primary caregiving stress and burden. Family Relations, 39, 27-37.

49.

Erikson, E. H. (1982). The life cycle completed. New York: Norton.

50.

Havighurst, R. J. (1972). Developmental Task and Education (2nd ed..). NY: Longmans, Green.

51.

Havighurst, R. J. (1996). 발달과업과 교육[Developmental task and education]. (김재은 역). 서울: 배영사 (원전은 1972에 출판).

52.

Hess, B. B., & Waring J. M. (1978). Parent and child in later life: Rethinking the relationship. In Lenner, R. M., & Spanier, G. B. (Eds.), Child influences on marital and family interaction:life-span perspective. New York: Academic Press.

53.

Levinson, D. J. (1986). A conception of adult developments. America Psychology, 41, 3-14..

54.

Lu, L. (1997). Social support, reciprocity, and well-bing.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37, 618-628.

55.

Neugarten, B. L. (1997). Personality & Aging. In J. E. Birren & K. W. Shaie (Eds.), Handbook of Psychology of Aging. (pp.626-649).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56.

Rosenthal, C. J., & Matthews, S. H. (1982). Is parent care normative? The experiences of a sample of middle-aged women. Research on Aging, 11, 244-260.

57.

Rossi A. S., & Rossi, P. H. (1990). Of Human bonding: Parent-Children relationship across the life course. New York: Aldine de Gruyter.

58.

Spitze, G., & J. Rogan (1991). Sons, daughter, and intergenerational support.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2, 420-430.

59.

Van Gaalen, R. I., & Dykstra, P. A. (2006). Solidarity and conflict between adult children and parents: A latent class analysi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8, 947-960.

60.

Van Kaam, A. (1996). Existential Foundation of Psychology. NY: Doubleday.

61.

Wagner, C. C., Kiesler, D. J., & Schmick, J. A.(1995). Assessing the interpersonal transaction cycle: Convergence of action and reaction interpersonal circumplex measur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 938-949.

62.

Walker, A. J., Pratt, C. C., Shin H. Y., & Jones.L. L. (1990). Motives for parental caregiving and relationship quality. Family Relations, 39(1), 51-56.

63.

Whitbeck, L. B., Hoyt, D. R., & Tyler, K. A.(2001). Family relationship histories,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 quality, and depressive affect among rural elderly people.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20, 214-229.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