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A Review on Variables Related to Suicide of the Korean Youth and Elderly: An Application of Vulnerability Stress Model to Suicide

Abstract

This study reviewed 74 suicide-relevant articles published by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Divisions since 1990, including several formal data and meta-analysis data studies on suicide prevention, using a vulnerability stress model. Through the review, we found some differences in suicide risk factors between the Korean youth and elderly groups. Family violence in childhood, academic problems, and bullying at school were factors that increased vulnerability among Korean adolescents, while poverty or economic crisis and deterioration in health or negative self-perceived health increased vulnerability among Korean elders. The elders tended to make a decision to commit suicide after deep reflection and were mainly affected by hopeless, while, in contrast, the youth group members attempted suicide as an immediate response. The previous reviewed studies showed the importance of social support as a psychological buffer against suicide in both groups. There were some limitations, in that many suicide prevention programs were focused on adolescents and college students but very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the context of the elderly. We need more prevention programs for Korean elders, which take into consideration developmental tasks.

keywords
youth, elderly, suicide, risk factor, protective factor, vulnerability stress model, 청소년, 노인, 자살, 위험요인, 보호요인, 스트레스 취약성 모델
Submission Date
2015-07-15
Revised Date
2015-08-31
Accepted Date
2015-09-07

Reference

1.

고보선 (2005). 노인학대 위험요인이 학대 심각성 인지 및 학대 경험 정도에 미치는영향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29, 91-121.

2.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2013).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3.

권석만 (2008). 긍정 심리학. 서울: 학지사.

4.

권석만 (2013). 현대 이상심리학. 서울: 학지사.

5.

김경미, 류승아, 최인철 (2011). 삶의 의미가노년기 행복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 청년기와 노년기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0(2), 503-523.

6.

김기태, 최송식, 박미진, 박선희, 고수희, 박현숙 (2011). 가족구조와 심리사회적 요인이노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52, 205-228.

7.

김기원, 김한곤 (2011). 노인자살률에 영향을미치는 요인에 대한 거시적 분석. 한국인구학, 34(3), 31-54.

8.

김기환, 전명희 (2000). 청소년 자살의 특성과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9, 127-152.

9.

김민석 (2012). 자살예방프로그램의 효과에대한 메타분석.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30, 27-56.

10.

김민영 (2013). 한국사회의 자살률에 관한 분석.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김보라, 신희천 (2010). 자아탄력성과 삶의 의미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1), 117-136.

12.

김보미, 유성은 (2012). 대인관계 외상 경험자들의 사회적 유대감, 정서 조절과 자살생각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1(3), 731-748.

13.

김순규. (2008). 청소년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위험 요인과 보호요인 - 보호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9, 66-93.

14.

김신연, 채규만 (2013).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삶의 의미의 조절효과. 인간이해, 34(1), 1-13.

15.

김용구 (2010). 자살: 유전자-환경 상호작용. 생물정신의학, 17(2), 65-69.

16.

김재엽, 이근영 (2010). 학교폭력 피해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7(5), 121-149.

17.

김재엽, 장용언, 이승준 (2013). 부모로부터의방임 정서학대 및 신체학대 경험이 청소년의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교사회복지, 25, 157-183.

18.

김정남, 남영옥 (2013). 학교폭력 피해경험이초기청소년의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보호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5(4), 83-104.

19.

김진현, 원서진 (2011). 노후 빈곤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건강행태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된 조절효과 분석. 한국노년학, 31(3), 461-476.

20.

김현순, 김병석 (2008). 자살생각과 그 관련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모형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2), 201-219.

21.

김현식, 김두섭 (2014). 다문화가족 청소년과자살행위. 한국사회학, 48(2), 35-66.

22.

김형수 (2006). 생애주기별 자살현황과 예방대책. 노인복지연구, 34, 271-292.

23.

김혜성 (2009). 청소년의 학대경험과 자살성에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25(1), 191-217.

24.

김혜영 (2005). 노인의 자살생각과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석사학위논문.

25.

김효진 (2008). 빈곤이 아동에게 주는 영향 분석. 보건복지포럼, 139, 33-42.

26.

김효창 (2010). 자살: 문화심리학적 관점에서의조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6(2), 165-178.

27.

김효창, 손영미 (2006). 노인 자살의 특성과 자살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및 사회문제, 12(2), 1-19.

28.

남석인, 최권호, 이희정 (2014). 당뇨환자의 주관적 건강인식이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의 매개효과. 사회복지연구, 45(1), 231-254.

29.

두산백과 (2015.4.23.) http://www.doopedia.co.kr

30.

노자은, 김현주 (2013). 청소년의 자살충동에대한 가족 영향력 분석. 미래청소년학회지, 10(4), 1-21.

31.

노충래 (2002). 아동 및 가해자의 특성에 따른아동학대의 심각성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13, 123-154.

32.

노충래, 김현경 (2004). 중학생의 부부폭력 목격경험, 아동학대, 학교폭력 가해여부의공존성 및 학교폭력 가해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사회복지연구, 5, 79-107.

33.

노혜련, 김형태, 이종익 (2005). 가출청소년의자살생각과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16(1), 5-34.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34.

이영식, 고복자, 김붕년, 김재원, 송동호, 신동원, 안동현,정유숙, 홍현주, 손정우 (2012). 청소년정신의학. 서울: 시그마프레스.

35.

류보순, 김용섭 (2012). 청소년의 학대경험이자살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17(10), 193-202.

36.

문동규 (2012a). 노인의 자살생각과 관련된 유발변인의 메타회귀분석. 노인복지연구, 55, 133-157.

37.

문동규 (2012b). 노인의 자살생각 억제와 관련된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사회복지교육, 17, 144-166.

38.

문동규, 김영희 (2011). 청소년의 자살생각과관련된 유발변인의 메타회귀분석. 상담학연구, 12(3), 945-964.

39.

문창진 (1998). 실업의 보건사회학. 보건과 사회과학, 3, 67-81.

40.

박 경 (2004). 부정적 생활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 문제해결과 완벽주의의 중재효과와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2), 265-283.

41.

박 경 (2005). 청소년의 아동기 학대경험과자살사고간의 관계에서 문제해결과 사회적 지지의 중재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2(2), 131-147.

42.

박 경 (2009). 생활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영향. 스트레스연구, 17(4), 369-378.

43.

박경순 (2012). 자살의 정신역동. 한국심리치료학회지, 4(1), 49-60.

44.

박경애, 구본용, 김원중, 송종용 (1993). 청소년자살행동 연구. 서울: 청소년 대화의 광장.

45.

박경원 (2013). 청소년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요인.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박광배, 신민섭 (1991). 고등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자살생각.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0(1), 298-314.

47.

박미자, 이창식 (2008). 조손가족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및 자아존중감과 문제행동간의관계. 청소년복지연구, 10(1), 93-114.

48.

박선영, 권석만 (2014). 삶의 의미와 주관적 안녕 및 우울의 관계: 대학생 집단과 중년집단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3(3), 549-571.

49.

박순진 (2006). 청소년 폭력 비행에 있어서 피해-가해 연계의 변화. 형사정책연구, 65, 47-88.

50.

박영신, 김의철 (2001). 학교폭력과 인간관계및 청소년의 심리 행동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7(1), 63-89.

51.

박현주, 배정이 (2013). 메타분석을 이용한 국내 자살예방 중재효과. 정신간호학회지, 22(4), 273-284.

52.

배지연 (2004). 노인자살에 관한 사례 분석: 신문기사내용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23, 65-82.

53.

배지연, 김원형, 윤경아 (2005). 노인의 우울및 자살생각에 있어서 사회적지지의 완충효과. 한국노년학, 25(3), 59-73.

54.

배진희 (2011). 노인 자살에 대한 심리사회적자원의 완충효과에 관한 연구. 사회연구, 21, 39-67.

55.

배진희, 엄기욱 (2009). 노인의 자살 시도에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29(4), 1427-1444.

56.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노인실태조사.

57.

보건복지부, 중앙노인보호전문기관 (2013). 노인학대 현황 보고서.

58.

보건복지부, 중앙자살예방센터, 한국자살예방협회 (2014). 자살예방백서 2014.

59.

서문진희, 이현아 (2011). 주관적 건강인식과사회적 지지가 노인자살 생각에 미치는영향 -우울감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54, 361-385.

60.

서인균, 고민석 (2011). 학대경험이 노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스트레스, 우울,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보건사회연구, 31(1), 127-157.

61.

신민섭, 박광배, 오경자, 김중술 (1990). 고등학생의 자살 성향에 관한 연구: 우울-절망-자살간의 구조직 관계에 대한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9(1), 1-19.

62.

신복기, 이성진 (2012). 청소년의 가정폭력, 학교폭력, 우울불안, 자살 간의 관계. 한국민족문화, 44, 281-318.

63.

신학진 (2014). 노인의 질병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빈곤의 조절효과. 한국노인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4(2), 55-64.

64.

안소정, 박은희, 홍현주, 송정은, 육기환, 김소은 (2013). 청소년 우울증 환자에서 자살시도의 보호요인으로서 회복탄력성의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2(2), 351-366.

65.

안영미 (2002). 노인의 삶의 의미와 자아존중감및 정신건강과의 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6.

안인영 (2013). 학교 폭력 가해자의 우울 증상과관련 있는 자살 사고 및 휴대폰 중독.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7.

안정신, 정여진, 정영숙, 서수균, & Cooney(2012). 성숙한 노화척도개발을 위한 예비문항선정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7(1), 129-149.

68.

안정신, 정영숙, 서수균 (2013). 성숙한 노화태도와 성공적 노화 및 심리사회적 성숙의 관계: 성숙한 노화 개념의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6(2), 127-147.

69.

엄명용 (2001). 아동학대와 청소년 비행 간의관계: 가족 내 부모지지 및 감독의 완충효과 검증. 한국가족복지학, 8, 149-178.

70.

여성가족부 (2012). 청소년유해환경 접촉 종합실태조사보고서.

71.

여지영, 박태영 (2013). 청소년의 자살생각에관한 연구: 회복탄력성과 자아존중감에대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0(8), 121-145.

72.

오창석 (2012). 노인의 주관적 건강 인식과 삶의 질이 우울과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산업학회지, 6(2), 179-191.

73.

우혜경, 조영태 (2013). 빈곤의 동태와 자살생각. 보건과 사회과학, 34, 5-35.

74.

원호택 (1998). 이상심리학. 서울: 법문사

75.

유영미 (2007).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경찰학연구, 7(2), 228-262.

76.

육성필 (2012). 자살의 보호요인의 확인과 강화를 통한 자살예방(초). 한국심리학회 연차 학술발표논문집, 2012, 76-76.

77.

이기원, 현명호, 이수진 (2010). 경험논문: 자살하지 않는 이유 척도(The Reasons for Living Inventory)의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건강, 15(2), 227-242.

78.

이기학, 한종철 (1998) 고등학생의 진로태도성숙과 개인적 특성 및 심리적 변인들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과 심리치료, 10(1), 167-189.

79.

이동희 (2013). 청소년의 애착, 대인관계 특성, 자살생각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80.

이민숙 (2005). 노인의 우울과 자살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영향. 임상사회사업연구, 2(3), 191-212.

81.

이민아, 김석호, 박재현, 심은정 (2010). 사회적 관계 내 자살경험과 가족이 자살생각 및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구학, 33(2), 61-84.

82.

이상준 (2006). 청소년의 가정폭력 노출이 사회적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환경적 보호요인의 역할. 한국사회복지학, 58(2), 331-353.

83.

이선희, 전종설 (2012). 남녀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논총, 28, 173-202.

84.

이순희, 손은령 (2013). 대학생의 낙관성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적응성의 관계-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4(4), 2525-2544.

85.

이윤주, 김경화, 민하영 (2008). 인문계 고등학생의 자살생각 및 시도와 소외감 및 진로장벽의 관계. 청소년상담연구, 16(1), 69-86.

86.

이은희, 손정민 (2011). 학교폭력 피해 청소년의 정신건강 영향 요인 연구-탄력성 모델을 이용하여. 청소년복지연구, 13(2), 149-171.

87.

이정범, 조수철 (1998). 정신과 환자 자녀의 우울, 불안, 자기 개념 그리고 가정환경의특성에 대한 연구. 소아청소년정신의학, 9(1), 54-66.

88.

이정윤 (2004). 자살생각아동의 심리사회적 특성 -문제행동, 자기존중감, 사회성기술, 학교적응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5(1), 163-175.

89.

이재창, 박미진, 김수리 (2005). 청소년의 낙관성과 우유부단이 진로의사결정유형과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및 심리치료, 17(3), 633-650.

90.

이지숙 (2013). 일상적 스트레스와 대처방법이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유형별 대처방법의 조절효과 분석. 청소년복지연구, 15(3), 321-344.

91.

이지영 (2007). 대학생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심리사회적 요인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석사학위논문.

92.

이채정, 김상우 (2013). 자살예방사업의 문제점과 개선과제. 국회예산정책처.

93.

이현정, 신민섭, 고혜정, 곽영숙 (2014). 한국판청소년용 삶의 이유 척도의 신뢰도와타당도 연구. 소아청소년정신의학, 25(3), 163-170.

94.

장선희, 이미애 (2010). 청소년의 자살생각 관련 요인 연구: 사회적지지 및 자아존중감의 완충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7(8), 27-55.

95.

정영숙 (2011). 한국 여성노인의 잘 나이들기:성숙한 노화 개념의 탐색.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3, 5-56.

96.

정종현, 최수일 (2011). 노인의 성격특성이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49(8), 47-61.

97.

정호영, 노승현 (2007). 노인학대의 위험요인및 심리적 결과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37, 181-202.

98.

정혜란, 김미원 (2014). 학대경험이 노인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대처양식의 조절효과. 노인복지연구, 63, 7-33.

99.

조민호 (2010). 대인관계 심리학적 모형을 통해서본 한국군의 자살.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0.

조추용 (2013). 노인의 우울과 사회적 지지가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8, 1-21.

101.

조 하, 신희천 (2009). 생활사건 스트레스가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및 심리치료, 21(4), 1011-1026.

102.

주 영, 이서정, 현명호 (2012). 스트레스와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 감사의 중재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4), 1175-1192.

103.

차아름, 이희경 (2014). 심리적 진로장벽, 환경적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영향: 희망을 매개변인으로. 상담학연구, 15(1), 343-358.

104.

최아론, 이영순 (2011). 고교생의 학교계열, 생활스트레스 요인과 자살사고의 관계에서인지적몰락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23(3), 761-784.

105.

최 영 (2008). 독거노인의 경제수준,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24(4), 103-123.

106.

최 인, 김영숙, 서경현 (2009). 노인의 자살충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 보건과 사회과학, 25, 33-56.

107.

최진희 (2015). 사회적 지원의 수혜 및 제공이 노인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8.

추경진, 이승연 (2012). 인식된 짐스러움, 절망, 우울 및 자살생각의 관계: 청소년과 노인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5(3), 31-53.

109.

통계청 (2013a). 사망원인통계연보: 전국편.

110.

통계청 (2013b). 사회조사보고서.

111.

한상영, 전용관 (2012). 학교폭력 피해 경험 중학생의 정신건강과 신체적 증상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3(11), 5155-5162.

112.

하미옥, 김장락, 정백근, 강윤식, 박기수 (2013). 사망률이 높은 지역사회에서 사회적 참여와 신뢰의 자살 생각 및 시도와 연관성. 농촌의학․지역보건, 38(2), 116-129.

113.

하정미, 설연욱, 좌문경 (2010). ‘인식된 짐스러움’과 ‘좌절된 소속감’이 청소년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26(4), 223-246.

114.

하정미, 송영지, 남희은 (2012). “인식된 짐스러움”과 “좌절된 소속감”이 노인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55, 65-84.

115.

Ackard, D. M., & Neumark-Sztainer, D. (2002). Date violence and date rape among adolescents: Associations with disordered eating behaviors and psychological health. Child Abuse & Neglect, 26(5), 455-473.

116.

Baumeister, R. F. (1990). Suicide as escape from self. Psychological Review, 97(1), 90-113.

117.

Baumgradner, S. R,, & Crothers, M. K. (2009). 긍정심리학 (안신호, 이진환, 신현정, 홍창희, 정영숙, 이재식, 서수균, 김비아 역). 시그마프레스.

118.

Beck, A. T., Kovacs, M., & Weissman, A. (1979). Assessment of suicidal intention: The scale for suicide idea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7(2), 343-352.

119.

Berman, A. L., Jobes, D. A., & Silverman, M. M.(2006). Adolescent suicid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20.

Brodsky, B. S., & Stanley, B. (2008).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nd suicidal behavior. Psych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31(2), 223-235.

121.

Bruffaerts, R., Demyttenaere, K., Borges, G., Haro, J. M., Chiu, W. T., Hwang, I., Karam, E. G., Kessler, R. C., Sampson, N., Alonso, J., Andrade, L. H., Angermeyer, M., Benjet, C., Bromet, E., de Girolamo, G., de Graaf, R., Florescu, S., Gureje, O., Horiguchi, I., Hu, C., Kovess, V., Levinson, D., Posada-Villa, J., Sagar, R., Scott, K., Tsang, A., Vassilev, S. M., Williams, D. R., & Nock, M. K. (2010). Childhood adversities as risk factors for onset and persistence of suicidal behaviour.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The Journal of Mental Science, 197(1), 20-27.

122.

Christoffersen, M. N., Soothill, K., & Francis, B.(2007). Violent life events and social disadvantage: a systematic study of the social background of various kinds of lethal violence, other violent crime, suicide, and suicide attempts. Journal of Scandinavian Studies in Criminology and Crime Prevention, 8(2), 157-184.

123.

Connelly, J. E., Philbrick, J. T., Smith Jr, G. R.,Kaiser, D. L., & Wymer, A. (1989). Health perceptions of primary care patients and the influence on health care utilization. Medical Care, 27(3), 99-109.

124.

De Wilde, E. J., Kienhorst, I. C., Diekstra, R. F.,& Wolters, W. H. (1992).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suicidal behavior and life event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49(1), 45-51

125.

Dube, S. R., Anda, R. F., Felitti, V. J., Chapman, D. P., Williamson, D. F., & Giles, W. H. (2001). Childhood abuse, household dysfunction, and the risk of attempted suicide throughout the life span: Findings from the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study. Jama, 286(24), 3089-3096.

126.

Ellis, T. E., & Ratliff, K. G. (1986).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suicidal and nonsuicidal psychiatric inpatient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0(6), 625-634.

127.

Erikson, E. H. (1993). Childhood and society. Norton & Company.

128.

Folkman, S., & Lazarus, R. S. (1980). An analysis of coping in a middle-aged community sampl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1(3), 219-239.

129.

Harwood, D., & Jacoby, R. (2000). Suicidal behaviour among the elderly. The International Handbook of Suicide and Attempted Suicide, 275-291.

130.

Hirsch, J. K., & Conner, K. R. (2006). Dispositional and explanatory style optimism as potential moderator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opelessness and suicidal ideation. Suicide and Life- Threatening Behavior, 36(6), 661-669.

131.

Hirsch, J. K., Wolford, K., LaLonde, S. M.,Brunk, L., & Morris, A. P. (2007). Dispositional optimism as a moder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life events and suicide ideation and attempt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31(4), 533-546.

132.

Johnson, J. G., Cohen, P., Gould, M. S., Kasen,S., Brown, J., & Brook, J. S. (2002). Childhood adversities, interpersonal difficulties, and risk for suicide attempts during late adolescence and early adulthood.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59(8), 741-749.

133.

Joiner Jr, T. E. (2009). Suicide prevention in schools as viewed through the interpersonal -psychological theory of suicidal behavior. School Psychology Review, 38(2), 244.

134.

Joiner Jr, T. E., Sachs-Ericsson, N. J., Wingate, L. R., Brown, J. S., Anestis, M. D., & Selby, E.A. (2007). Childhood physical and sexual abuse and lifetime number of suicide attempts: A persistent and theoretically important relationship.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45(3), 539-547.

135.

Kahn, J. R., & Fazio, E. M. (2005). Economic status over the life course and racial disparities in health. The Journals of Gerontology:Series B, 60B(Special Issue Ⅱ), 76-84.

136.

Kandel, D. B., Raveis, V. H., & Davies, M.(1991).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ce:Depression, substance use, and other risk factor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0(2), 289-309.

137.

Linehan, M. M., Goodstein, J. L., Nielsen, S. L.,& Chiles, J. A. (1983). Reasons for staying alive when you are thinking of killing yourself: the reasons for living inventor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1(2), 276-286.

138.

Nock, M. K., & Kessler, R. C. (2006). Prevalence of and risk factors for suicide attempts versus suicide gestures: Analysis of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15(3), 616-623.

139.

Nock, M. K., Deming, C. A., Fullerton, C. S., Gilman, S. E., Goldenberg, M., Kessler, R. C., McCarroll, J. E., McLaughlin, K. A., Peterson, C., Schoenbaum, M., Stanley, B., &Ursano, R. J. (2013). Suicide among soldiers:A review of psychosocial risk and protective factors. Psychiatry -Interpersonal and Biological Processes, 76(2), 97-125.

140.

OECD. (2014). Heath data.

141.

Osman, A., Downs, W. R., Kopper, B. A., Barrios, F. X., Baker, M. T., Osman, J. R., Besett, T. M., & Linehan, M. M. (1998). The reasons for living inventory for adolescents (RFL‐A):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propertie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54(8), 1063-1078.

142.

Park, C. L., & Folkman, S. (1997). Meaning in the context of stress and coping.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1(2), 115.

143.

Reynolds, W. M. (1998).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Professional manual. FL: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Odessa.

144.

Rice, F. P., & Dolgin, K. G. (2009). 청소년심리학 (정영숙, 신민섭, 이승연 역). 시그마프레스.

145.

Roberts, B. W., Walton, K. E., & Viechtbauer,W. (2006). Patterns of mean-level change in personality traits across the life course: A meta-analysis of longitudinal studies. Psychological Bulletin, 132(1), 1-25

146.

Schmutte, T., O'Connell, M., Weiland, M., Lawless, S., & Davidson, L. (2009). Stemming the tide of suicide in older white men: A call to action. American Journal of Men's Health, 3(3), 189-200.

147.

World Health Organization(2014). Preventing suicide:A global imperative

148.

Zubin, J., & Spring, B. (1977). Vulnerability: A new view of schizophrenia.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86(2), 103-126.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