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an Intervention Program for Child Care of Parents with Young Children Addicted to Media

Abstract

The current study developed and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an intervention program for improving child care attitudes among parents of young children (up to 3-years-old), who are addicted to media. Participants were parents (15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20 for the control group) of young children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 Details of the program included the following: (1)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media on young child development; (2) examining problems and related negative effects of media overexposure; (3) understanding child attitudes toward using media and the extent of their media addiction; (4) recognizing the parental environment affecting media overexposure, examining parental stress and mental health status, and identifying parents’ media habits, including Internet use; (5) understanding general chil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6) understanding the significance of human interactions and learning sensitive interaction skills; (7) improving parental interaction skills through an individual analysis of parent-child interactions; (8) evaluating and monitoring interaction skill development; and (9) teaching desirable media usage. The intervention program consisted of 12 small-group sessions with 3 to 5 participants each. Each session lasted 1.5 hours. In order to verify the program’s effectiveness, a survey assessing media use, evaluation of parent-child interactions, and parental stress measures were administered to children and parent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as executed. Results revealed that daily media viewing time among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reduced. Mothers’ sensitive interaction skills also impro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However, parenting stres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or even increased) post-intervention.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effective at improving parents’ interaction skills, which in turn diminished children’s media usage. We discuss further intervention suggestions based on the present findings.

keywords
Submission Date
2015-10-14
Revised Date
2015-12-08
Accepted Date
2015-12-09

Reference

1.

가타오카 나오키 (2001). 텔레비전이 자폐아를만든다. 도서출판 컬쳐클럽.

2.

강진숙 (2007). 해외영상물 교육진흥을 위한법․제도적 지원 사례연구. 언론연구, 12, 61-79.

3.

김승옥, 유구종, 김민경 (2009). 유아의 인터넷게임 과몰입 변인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4(4), 377-391.

4.

김정미, 성옥력, 현명호 (2000). 부모-아동 상호작용 행동평정척도(MBRS 및 CBRS)의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4), 895-904.

5.

김정택, 신동균 (1978). STAI의 한국표준화에관한 연구. 최신 의학, 21, 69-75.

6.

뉴스위크 한국판 (1999). 귀여운 우리 아기. 태어나서 3세까지 부모가 알아야 할 모든것. 중앙일보. 네이버국어사전. http://krdic.naver.com/detail.nhn? docid:27324700

7.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정보화진흥원 (2014). 2014년 인터넷 중독 실태조사.

8.

박진아, 이경숙, 전연진 (2014). 0-3세 영유아어머니의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어머니의 정신건강, 양육스트레스, 모-자녀관계 및 자녀의 기질과 행동문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9(1), 55-70.

9.

방효국, 김낙흥 (2013). 만 5세 유아의 스마트폰 게임 사용실태 및 게임 과몰입에 관한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8(6), 43-64.

10.

보건복지가족부 (2009). 한국 아동청소년 현황실태조사 보고서.

11.

신의진, 이경숙, 이재명 (2003). 진단분류 0-3영유아기 정신 건강 및 발달 장애 진단 분류. 도서출판: 하나의학사.

12.

아산사회복지재단 (2015). 0-3세 영유아의 영상물 과몰입 실태조사 및 정신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서울: 집문당.

13.

유민주 (2008).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사례연구-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아동심리치료학과 석사논문.

14.

육아정책연구소 (2013). 영유아의 미디어매체노출실태 및 보호 대책연구.

15.

윤기영, 서지영 (2001). 부모교육 프로그램에관한 최근 연구 동향 분석. 교육발전, 20. 129-155. 서원대학교.

16.

위드뉴스 (2008년 8월 1일자). 비디오 영상물증후군, 언어발달이나 유사자폐, 발달장애가져와.

17.

이가옥, 서미경, 고경환, 박정돈 (1994). 노인생활실태 분석 및 정책과제.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8.

이경숙, 김명식, 박진아 (진행중). 한국판ITSEA 타당화 연구.

19.

이경숙, 안혜숙, 서수정, 신의진 (2001). 애착문제/장애 부모집단 심리치료 효과에 관한연구, 한국심리학회: 발달, 14(2), 153-174

20.

이경숙, 정석진, 박진아, 전연진 (2014). 0-3세영유아 영상매체 시청 및 부모의 영유아자녀 영상매체 시청 지도 행동 실태조사, 유아교육연구, 34(2), 301-321.

21.

이경숙, 정석진, 김명식, 서보경 (2013). 초등고학년용 부모연계 인터넷중독 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한국심리학회지:발달, 26(1), 231-253.

22.

이경숙, 신의진, 전연진, 박진아, 정유경 (2005). 과도한 영상물 노출양육이 영유아의 심리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임상군과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8(2), 75-103.

23.

이숙영, 이윤주, 정혜선 (2002). 메타분석을 통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3), 637-653.

24.

이승희 (2009). 부모교육 프로그램 유형이 아동과 어머니의 상호작용, 아동의 충동성과 반항성 및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미치는 효과. 놀이치료연구, 13(1), 75-94.

25.

이주연 (2011). 유아교육용 스마트폰 앱에 대한부모 인식 조사-유아의 행동패턴에 따른 부모 인식 조사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이원석, 성영화 (2012). 유아의 스마트폰 이용과 관련한 어머니의 인식. 육아정책연구, 1, 20-38.

27.

임진숙, 강성국, 김성식 (2005). 인터넷 중독예방 교육을 위한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보, 8(2), 75-83.

28.

정경미, 이경숙, 박진아 (2008). 한국판 부모양육스트레스 축약형 검사. 도서출판: 학지사.

29.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4). 방송매체 이용 행태 조사.

30.

조맹제, 김계희 (1993). 주요우울증환자 예비평가에서 CES-D의 진단적 타당성 연구. 신경정신의학, 32, 381-399.

31.

조준오, 황해익 (2014). 유아 인터넷 게임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9(3), 187-218.

32.

주간동아 (2001. 9. 20). 아이 망치는 ‘유아 비디오증후군’.

33.

주정민 (2006). 인터넷 의존유형과 인터넷 중독과의 관련성 연구. 한국언론학보, 50(3), 476-503.

34.

한국정보화진흥원 (2009). 인터넷중독 생애주기 상담 프로그램-가족, 성인, 고교, 중등, 초등

35.

한국정보화진흥원 (2012). 인터넷중독 생애주기 상담 프로그램-초등, 중등 reviesd

36.

한국정보화진흥원 (2014). 영유아기 디지털미디어 중독 특성 분석 및 중독예방 개입전략.

37.

한국정보화진흥원 (2010). 취학전 아동 인터넷중독 상담치료프로그램.

38.

한국인터넷진흥원 (2013). 2013 인터넷 이용실태조사.

39.

한겨례 (2013년 1월 28일). tv, 스마트폰에 중독된 아이 디지털 치매 우려.

40.

현은자, 박은미, 조메리명희, 김태영 (2013). 어머니의 스마트폰중독 수준 및 우울 점수와 유아의 문제행동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33(5), 181-205.

41.

현은자, 조메리명희, 조경선, 김태영 (2013). 어머니의 스마트폰중독 수준,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 관계연구. 유아교육연구, 33(3), 207-225.

42.

허계형, Jane, S., 이소영, 이준석 (2006). K-ASQ 사용 지침서.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43.

허미혜, 이정자 (2010). 부모-자녀 상호작용증진 프로그램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및모-자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까다로운기질 아동을 대상으로. 놀이치료연구, 14(2), 61-77.

44.

Abidin, R. R. (1990). 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PSI/SF). VA:Pediatric Psychology Press.

45.

Abidin, R. R. (1995). Parenting Stress Index:Professional Manual(3re ed.). Odessa, FL: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Inc.

46.

Anderson, D. R., Huston, A. C., Schmitt, K. L.,Linebarger, D. L., & Wright, J. C. (2001). Early childhood television viewing and adolescent behavior: The recontact study. Monograph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66(1), 264.

47.

Bowlby, J. (1982). Attachment(2nd ed Vol.1). New York: Basic Books.

48.

Briggs-Gowen, M.. J., & Carter, A. S. (2001). Infant Toddler Socio-Emotional Assessment(ITSEA)Manual version 1. 1. The Connecticut Early Development project, Yale University.

49.

Cheng, T. L., Brenner, R. A., Wright, J. L., Sachs, H. C., Moyer, P., & Rao, M. R.(2004). Children's violent television viewing:Are parents monitoring? Pediatrics, 114, 94-99.

50.

Carte, A & Briggs-Gowen, M (2006). Infant Toddler Social Emotional Assessment(ITSEA). Pearson Press.

51.

Eron, L. D., Lefkowiz, M. M., Huesmann, L. R.,& Walder, L. 0. (1972). Does television violence cause aggression? American Psychologist, 27, 253-263.

52.

Griffiths, M. D., & Hunt, N. (1998). Dependence on computer games by adolescents. Psychological Report, 82(2), 475-480.

53.

Gross, D., Garvey, C., Julion W. A., & Fogg, L.,(2007). Preventive Parent Training with Low-Income, Ethnic Miniority Families of Preschoolers. In J. M. Briesmeister & C. E. Schafer (Eds). Handbook of parent training(3rd Ed.): Helping parents prevent and solve problem behaviors(pp.5-24). New Jersey: John Wiley &Sons, Inc.

54.

Hozefa, A. Divan, Leeka Kheifets, Carsten Obel, & Jorn Olsen (2010). smart phone use and behavioral problems in young children. Journal of Epidemiol Community Health, 66(6), 524-529.

55.

Juffer F., Bakermans-Kranengurg M. J., & vanIJzendoorn, M. H. (2008). Promoting Positive Parenting, An Attachment-Based Intervention. Taylor & Francis Group.

56.

Kamphaus, R. W., & Reynolds, C. R. (2006). Parenting Relationship Questionnaire. Manual. Pearson Press.

57.

Lieberman, A. F., & Zeanah, C. H. (1995). Disorders of attachment in infancy. In K. Minde(Ed.), Infant psychiatry: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571-587. Philadelphia: Saunders.

58.

Mash, E., & Terdal, L. (1990). Behavioral Assessment of Childhood Disorders. New York: Guildford Press.

59.

Mecollum, J. A., Ree, Y., & Chen, Y. (2000). Interpreting Parent Infant Interactions:Cross-cultural Lessons. Infant and young children, 12, 22-33.

60.

Mullen, E. M. (1995). Mullen scales of early learning. San Antonio, TX: Pearson.

61.

National Catholic Repoter (2010). World Summit on Media for Children and Youth: Media literacy education on the rise. jul. 1.

62.

Patterson, G. R. (1982). Coercive family Process. Eugene, OR; Castalia.

63.

Powell, D. R. (1989). Challenges in the design and evaluation of parent-child intervention programs. In I. E. Sigel(Series Ed.) & D. F. Powell (Vol. Ed.). Advances in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pp.229-238). Norwood. NJ: Ablex.

64.

Redloff.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2, 385-401.

65.

Sanders, M. R. (1999). Triple P-Positive Parenting Program: Towards an empirically validated multilevel parenting and family support strategy for the prevention of behavior and emotional problems in children. Clinical Child and Family Psychology Review, 2, 71-90.

66.

Spielberger, C. D., Gorsuch, R. K., & Lushene, R.E. (1970).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67.

Stern, D. (1985). The interpersonal world of the infant. New York: Basic Books. www.pediatrics.org.

68.

Webster-Stratton, C. (1998). Parent Training with Low-Income Families: Promoting Parental Engagement through a Collaborative Approach. In J. R. Lutzker. Handbook of child abuse research and treatment (pp.183-212). New York: Plenum Press.

69.

Winnicott, D. W. (1965). The maturational process and the facilitating environment: studies in the theory of emotional development. New York: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