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흡연 청소년의 금연을 위해 인지행동 및 행동주의 금연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현재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160명(인지행동 62명, 행동주의 50명, 통제집단 48명)의 니코틴 의존 청소년들을 선발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인지행동 및 행동주의 금연 프로그램을 실시해 그 효과를 검증 및 비교하고, 내담자의 변인에 따른 금연효과의 차이를 검증했다. 연구결과 첫째, 인지행동 금연집단과 행동주의 금연집단 모두 금연 프로그램 사후와 1개월 후의 추수평가에서 통제집단에 비해 일일평균 흡연량, 니코틴 의존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고, 금연단계와 금연 효능감은 유의하게 증가했다. 인지행동 금연집단과 행동주의 금연집단 모두 통제집단에 비해 금연효과가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둘째, 인지행동 금연집단과 행동주의 금연집단의 실제적 금연효과를 비교한 결과, 인지행동 금연집단이 프로그램 사후에 금연 효과집단(조절금연+완전금연)의 인원수가 유의하게 많았고, 8개월 후의 추수평가에서도 인지행동 금연집단의 완전금연 인원수가 행동주의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더 많은 경향을 보였다. 인지행동 금연집단이 행동주의 금연집단에 비해 금연효과가 더 우수한 경향을 보였다. 셋째, 금연 프로그램의 효과와 관련된 내담자 변인을 규명하기 위해 인지행동 금연집단과 행동주의 금연집단을 우울집단(우울점수가 평균이상, 충동점수가 평균 미만)과 충동집단(충동점수가 평균이상, 우울점수가 평균 미만)으로 구분하여 금연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인지행동 금연집단에서는 우울집단이, 행동주의 금연집단에서는 충동집단이 상대적으로 금연효과가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가 논의되었고, 후속 연구의 제안점과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composed cognitive behavioral and behavioral smoking abstinence programs for korean smoking teenagers. The subjects were 160 nicotine dependent adolescents of high school (cognitive behavioral group: 62, behavioral group: 50, control group: 48). This study testified and compared the outcomes of cognitive behavioral and behavioral smoking-abstinence programs. And the subject variables, influencing the outcome of cognitive behavioral and behavioral smoking abstinence programs, were investigat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t post and 1-month follow-up, the daily amount of cigarettes and nicotine dependence of cognitive behavioral and behavioral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he stage of smoking abstinence and the efficacy of smoking abstinence of the two group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m of control group. Second, at post evaluation, cognitive behavioral group has significantly more abstinent participants than behavioral group. And at 8-month follow-up, cognitive behavioral group has tendency to have more abstinent participants than behavioral group. Therefore cognitive behavioral program seemed more effective in smoking abstinence than behavioral program. Third, to investigate the subject variables, influencing the outcome of programs, cognitive behavioral and behavioral groups were divided into depressive and impulsive groups. The depressive group of cognitive behavioral program and impulsive group of behavioral program seemed to be more effective in smoking abstinence than other groups. In addition to the limits and the meanings of this study, the future research tasks for korean nicotine dependent adolescents were disscussed.
정신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진정한 회복은 직업을 가짐으로서 만이 가능하다. 따라서 직업재활서비스는 정신장애인의 치료와 재활에 핵심적인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대부분의 정신장애인은 취업을 하기를 원하고 있으며, 또한 적당한 지원을 받는다면 충분히 직업을 수행할 능력이 있다. 그러나 정신장애에 대한 편견과 제도상의 제약이 그들의 직업재활을 막고 있다. 이제 우리나라의 임상심리학자를 포함한 정신보건전문가들도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본 글의 목적은 정신보건 분야에서 직업재활이 활발하게 실천되기를 촉구하는 것이다. 먼저 정상인과 달리 정신장애인에게 직업이 주는 특별한 이득이 무엇인지를 알아봄으로써 직업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효과적인 직업재활프로그램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현재 직업재활접근법에서 쟁점이 되고 있는 문제들과 그 실제를 알아보았다. 더하여 임상심리학자가 직업재활전문가 역할을 해야 하고. 할 수 있는가를 논하였다. 끝으로 우리나라의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을 발전시키기 위한 몇 가지 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true recovery of persons with psychiatric disability can be achieved only through work. Thus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have been widely recognized as critical elements of both therapy and rehabilitation in the advanced countries. Most of persons with psychiatric disability desire to perform competitive jobs and also are able to do so with reasonable supports. However, the reality is that social prejudices and systematic restrictions exist as main obstacles to psychiatric vocational rehabilitation. Now it has arrived at the point that mental heath professionals including clinical psychologist have to provide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urge to be delivered vocational rehabilitation in mental health field of this country. First, the importance of work was highlighted in terms of the benefits work can provide uniquely for persons with psychiatric disability. Also theoretical and practical issues in the approache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were discussed to find an effective vocational programming. In addition, discussion was made about whether clinical psychologists should and could make a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as their career. Finally, several impending tasks necessary for developing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persons with psychiatric disability were suggested.
빈곤이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를 밝히고자 빈곤가정 밀집지역 중학교 1, 2학년 청소년 483명을 대상으로 가족위험요인, 부모자녀관계를 자기보고식 설문으로 평가하고 1년 후에 우울 및 외현화 문제행동을 평가하였다. 1, 2차 평가에 모두 참여한 331명(남 162명, 여 169명)의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빈곤의 부정적 영향이 작용하는 기제가 성별과 부적응의 유형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의 경우에는 빈곤이 부모의 부부갈등, 문제성 음주 등 가족위험요인 및 부모자녀관계를 매개변인으로 하여 우울 및 외현화 문제행동으로 이어지는 매개모형이 지지되었으며, 우울에 대해서는 가족위험요인이 추가적으로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쳤다. 남학생 집단에서는 우울은 여학생과 마찬가지로 가족위험요인과 부모자녀관계의 매개효과가 지지되었으나, 외현화 문제행동은 부모자녀관계의 매개경로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가족위험요인과의 직접경로만이 유의한 수준에 접근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지니는 예방적 개입에 대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483 adolescents from grade 7 and 8 were sampled from a school in an area with heavy concentration of low income families. Family risk factors, parent-child relations were assessed with self-report measures at time 1; depression and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were assessed at time 2, 1 year later. SEM analysis of data from 331 adolescents(162 boys and 169 girls) who participated in both assessments revealed that adverse effects of poverty might operate through different pathways for boys and girls. For girls, family risk factors and poor parent-child relations mediated adverse effects of poverty on both depression and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Family risk factors also had direct influence on depression in girls. Mediating effects of family risk factors and parent-child relations were significant for depression in boys, but their mediating effects for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were not supported by boys' data. Direct path from family risk factors to boy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was nearly significant.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implications for preventive intervention programs for adolescents in poverty.
본 연구의 목적은 부정적인 생활사건, 우울, 불안 등과 아동의 신체 증상과의 관련성 및 자기개념의 중재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5, 6학년 266명이었고 측정도구에는 아동 신체화척도, 생활사건척도, 우울, 불안 척도, 자기개념 척도 등이 포함되었다. 중다회귀분석 결과, 불안, 우울, 그리고 아동의 입원경험이 신체증상을 유의미하게 예언하였고, 특히 불안이 신체화를 가장 잘 설명하였다. 또한 불안과 신체적 자기개념 및 전반적 자기가치감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였다. 이 결과는 불안이 아동의 신체 증상 경험에 주된 영향을 주며, 그 과정을 자기개념이 중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stressful life events, depression, anxiety, and children's somatic symptom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ncept. The measures used to assess these effects with a sample of 266 5th and 6th grade children, included Children's Somatization Inventory, Life events questionnaire,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Spielberger Trait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 and Self-Perception Profile of Children. The results showed that anxiety, depression, and the experience of hospitalization predicted children's somatic symptoms significantly, with anxiety being the best predictor. Further analyses showed not only the significant main effect of anxiety, but also th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anxiety and self-concept of physical competence and between anxiety and global self-worth.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xiety affects the experience of children's somatic symptoms and that self-concept moderates this process.
본 연구에서는 정서인식불능,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감정, 정서표현성이 우울, 불안, 신체화, 신체 증상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조사하였다.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40세에서 65세의 중년 기혼 여성들 29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정서인식불능이 우울, 불안, 신체화, 신체 증상과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설명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서표현성은 심리적 부적응 지표들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을 뿐 설명력을 가지지 못하였고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감정은 특성불안에만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종속변인에 대해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진 정서인식불능을 변인으로 하여 군집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정서인식 수준이 낮고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감정 수준이 높으며 정서 표현성 수준이 낮은 군집 2가 심리적 부적응 지표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motional awareness deficit,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emotional expressivity on depression, anxiety, somatization, and physical symptoms of middle-aged women and differences which different emotional experience groups made on depression, anxiety, somatization, and physical symptoms. The subjects, 296 middle-aged married women who ranged from 40 to 65 years old, completed study questionnaire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 indicates emotional awareness deficit predict depression, anxiety, somatization, physical symptoms. In contrast, emotional expressivity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anxiety, somatization, and physical symptoms and did not predict them. Furthermor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only predict trait anxiety. The subjects were grouped into three different emotional experience groups. group 3, characterized by combination of high emotional awareness deficit, high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low emotional expressivity, showed the highest level of depression, anxiety, physical symptoms. The emotional experience profiles did not differ in specific patholog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scussed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본 연구에서는 신체화 증상을 보이는 환자들이 신체적 질병의 유무에 따라 어떠한 심리적 특성의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우선, 신체화 증상을 보이는 환자 중에서도 건강염려경향이 높은 환자들의 신체적 질병의 유무에 따른 심리적 특성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건강염려경향과 관련된 척도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T≧65)를 보인 건강염려집단 69명을 선별하였고, 이들을 신체적 질병의 유무에 따라 다시 두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정상 통제 집단을 포함한 세 집단의 심리적 특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신체적 질병이 없는 건강염려집단은 정상 통제 집단과 성격 및 인지적 변인 모두에서 차이가 나타났고, 신체적 질병이 있는 건강염려집단과는 성격 변인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한편 신체적 질병이 있는 건강염려집단은 정상 통제 집단과 인지적 변인에서 주된 차이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신체화 증상을 보이는 환자들의 건강염려경향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변인을 탐색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상관 및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신체적 질병이 없는 신체화 집단에서는 정서인식불능과 신체 귀인이 건강염려경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신체적 질병이 있는 신체화 집단에서는 신체감각 증폭지각이 건강염려경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신체화 증상을 보이는 환자들은 신체적 질병의 유무에 따라 서로 다른 집단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나 치료 장면에서 이러한 이질적 특성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if there's any difference i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omatic patient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physical illness. First of all, We divided the 69 subjects tha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Hs scale of MMPI into two groups by physical illness, and compared them to get clinical implication. As a result, the high health anxiety group without physical illn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sonality and cognitive variables compared with normal control group, and only in personality variables compared with the high health anxiety group with physical illnes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high health anxiety group with physical illness and normal control group in cognitive variables. In the next place, we also investigated the group differences in the personality and cognitive variables effecting somatiza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alexithymia and somatic attribution affected somatic symptoms in somatizing patients without physical illness, and somato-sensory amplification influenced somatic symptoms in somatizing patients with physical illne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matizing patients should be classified into the different group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physical illness, and that these differences should be considered in future research and clinical intervention.
본 연구는 혈관성 치매 집단에서 우울증과 인지기능의 관계를 밝히고, 치매집단의 두뇌 병소를 확인하여 우울증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병소를 찾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초기 단계의 혈관성 치매로 진단받은 노인 35명과 정상 노인 35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두 집단 간에 인구학적인 변인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로 종합적인 인지기능을 평가하였고, Geriatric Depression Scale, Cornell Scale for Depression in Dementia 및 DSM-IV(American Psychiatry Association, 1994)의 기준을 사용하여 우울 수준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혈관성 치매 환자들이 정상 노인에 비하여 우울 수준이 유의미하게 높다는 사실이 발견되었고 우울증의 수준은 인지 기능 중에서 언어적 기억력, 주의 집중 능력, 정신운동 속도 및 집행 기능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위계적 회귀 분석 결과 우울증은 음소적 유창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는바, 좌반구의 전두엽 영역과 우울증의 밀접한 관련성이 시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혈관성 치매 환자들의 병소를 좌반구의 전두엽 영역에 손상이 있는 집단과 그 밖의 영역에 손상이 있는 집단으로 나누고 두 집단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좌반구 전두엽 영역에 손상이 있는 집단은 정상 노인 집단보다 우울 수준이 유의미하게 더 높았고, 이 집단이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우울 수준을 나타낼 확률이 정상 노인의 6.44배에 이른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같은 혈관성 치매 집단이라도 좌반구 전두엽 영역 이외의 영역에 손상이 있는 집단의 우울 수준은 정상 노인의 우울 수준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s in vascular dementia, and to find out the lesion sites in the brain that increase the risk of depression. Comprehensive cognitive functions were assessed by the 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 and several executive function tests. Depression was assessed using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the Cornell Scale for Depression in Dementia, and the DSM-IV criteria. The subjects were 35 patients of vascular dementia in the early stage (CDR 0.5~1) and 35 normal elder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mographic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vascular dementia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depressive levels than the normal elderly, and that depress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frontal/executive function, attention, psychomotor speed, and verbal memory.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depression significantly predicted the phonemic fluency.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re is a close connection between the left frontal lobe and depression. Based on this result, the vascular dementia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subgroups, the left frontal group that had lesions in the left frontal lobe and the others that had lesions in other areas besides the left frontal lobe. It was found that only the left frontal group had higher depressive levels than the normal elderly.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left frontal group had an odds ratio of 6.44 for the increased risk of developing depression compared with the normal elderly.
선행연구들은 불안민감성의 사회적 염려차원이 사회불안 또는 사회공포증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발표상황에 대한 불안반응을 예측하는데 있어 사회적 염려차원의 유용성과 특정성을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155명을 대상으로 발표과제 전후로 그들의 불안수준을 다양한 반응양상별로 측정하였다.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불안민감성의 사회적 염려차원은, 다른 하위 차원들의 영향을 통제한 후에도, 발표 직전과 직후에 각각 한국판 BAI로 측정된 불안수준, 자신의 불안을 다른 사람이 알아차리는 것에 대한 부담정도, 예상 불안, 수행 기대, 그리고 발표 끝날 무렵의 불안수준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아울러, 사회적 염려차원과 발표불안반응 간의 관계에서 불안탐지에 대한 부담정도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하였다. 이 결과들은 사회불안/공포증 (특히 발표불안)이 있는 내담자들을 보다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그들의 불안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불안민감성의 사회적 염려차원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Some earlier studies indicated that social concerns dimension of anxiety sensitivity(AS) would be involved in social anxiety or social phobia. The present study evaluated the utility and specificity of AS-social concerns in predicting anxious response to a public speaking task. Anxious responding that 155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d before and during an impromptu public speaking was measured with several self-report assessment tools. The results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AS-social concerns dimension significantly predicted modified versions of the Beck Anxiety Inventory prior to and following a public speaking, cost estimate for anxiety appearance, anxiety expectation, performance expectation, and ending anxiety during a public speaking after controlling for the effects of the other dimensions of AS, whereas the other dimensions of AS mostly did not. The effect of AS-social concerns dimension on anxious responses to a public speaking task was mediated through cost estimate for anxiety appearance.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importance of AS-social concerns dimension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understand clients with social anxiety/phobia(particularly public speaking anxiety) more systematically and treat them more effectively.
선행 연구에서 역기능적 신념이 부적응적인 자동적 사고의 완전 매개를 거쳐서 사회불안증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회불안에 대한 직선적인 매개모형이 일반 대학생들로부터 수집된 횡단적 및 단기종단적 자료에 잘 부합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직선적 매개모형이 발표불안이 있는 대학생들의 발표상황에 대한 불안반응에도 적용되는 지를 검증해 보기 위하여, 선행 연구들의 방법론적 문제점들을 개선하여 각 측정변인들을 수집하였다. 발표불안수준이 높은 131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즉흥적인 발표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분석을 사용하여 직선적인 매개모형과, 대안적 모형들인 단순효과모형 및 충만모형의 적합도를 비교 평가해 보았다. 그 결과, 단순효과모형의 적합도는 나빴고, 충만모형에서는 역기능적 신념으로부터 발표불안반응으로 직접 가는 경로계수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반면에, 직선적 매개모형은 수집된 자료에 잘 부합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나아가, 기저선 불안의 영향을 통제한 개정된 직선적 매개모형도 역시 수집된 자료에 적절하게 부합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들은 사회불안에 대한 직선적인 매개모형이 발표불안이 있는 대학생들의 발표상황에 대한 불안반응을 설명하는 데에도 잘 적용됨을 시사한다.
A linear mediation model of social anxiety, in which dysfunctional beliefs predict social anxiety symptoms through full mediation of maladaptive automatic thoughts, was shown to fit both cross-sectional and short-term longitudinal data from general undergraduates. Using structural equation analyses, the present study evaluated the linear mediation model and two alternative models to examine whether dysfunctional beliefs predict anxious responding to a public speaking task through full mediation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s in 131 speech-anxious undergraduat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linear mediation model fitted the data well, whereas the simple effect model didn't and the direct path from dysfunctional beliefs to speech-anxious responding was not significant in the full model. Furthermore, a revised linear mediation model by controlling for the influence of baseline anxiety still demonstrated an adequate fit to the data.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provide empirical support for the theoretical application of the linear mediation model of social anxiety to speech-anxious undergraduates' anxious responding to a public speaking task.
본 연구에서는 기질, 성격, 지각된 부모의 양육 행동이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기질 및 양육행동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성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중학교 1, 2, 3학년 308명을 대상으로 청소년 기질 및 성격 검사(JCTI)와 부모 자녀 결합 형태 검사(PBI) 및 우울 척도(CES-DC)를 포함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상관 및 회귀분석 결과, 우울과 가장 관련이 높은 변인은 위험회피와 자율성으로 나타났으며, 자극추구와 지각된 양육행동 중 돌봄 및 과잉간섭 요인도 우울과 의미 있는 관련성을 보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결과, 우울에 대한 각 변인의 독립적인 경로만을 설정한 단순효과모형에 비해 자율성을 매개로 하는 경로를 포함한 매개모형의 적합도가 더욱 양호하였다. 위험회피와 지각된 양육행동은 각 변인으로부터 우울로 향하는 직접효과와 자율성을 매개로하는 간접효과가 모두 유의미하였으며, 자극추구는 자율성을 매개로하는 간접효과만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청소년의 높은 위험회피 성향과 낮은 자율성, 지각된 부모의 부정적 양육행동은 우울에 대한 취약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기질 및 지각된 양육행동의 영향력은 자율성과 같은 성격적인 성숙도에 따라 부분적으로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temperament, character, and perceived parental rearing behavior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character on depression. A total of 308 adolescents were administered self-report measures of Junior Temperament Character Inventory(JTCI), Parental Bonding Instrument(PBI), and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for Children (CES-DC). The results indicated that harm avoidance and self-directedness were most important variables associated with depression. Novelty seeking and perceived parental care and intrusion were also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vealed that harm avoidance and perceived parenting behaviors had both direct effects and indirect effects mediated by self-directedness on depression. The effects of novelty seeking were found to be completely mediated through self-directednes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high harm avoidance, low self-directedness, and perceived negative parenting behaviors are risk factors for depression, and the influences of temperament and perceived parenting behaviors on depression may partially depend on the maturity of character in adolescence.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Wechsler지능검사의 가장 큰 약점 중의 하나는 관리기능(executive functions)에 둔감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Wechsler지능검사의 모든 소검사들이 관리기능에 똑 같이 둔감한 것은 아니고 일부 소검사들은 어느 정도의 민감성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Wechsler지능검사를 이용하여 관리기능과 비관리기능을 비교하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정신분열병 환자군과 통제군을 대상으로 Wechsler지능검사에서 추출한 관리기능지표와 비관리기능지표의 타당성을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특히 ‘토막짜기’와 ‘바꿔쓰기’를 관리기능에 민감한 소검사로 분류하고, ‘기본지식문제’와 ‘이해문제’를 관리기능에 둔감한 소검사로 분류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관리기능지표와 비관리기능지표의 비교에 필요한 규준 자료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Wechsler지능검사에서 관리기능에 민감한 소검사들만 선택하는 경우에도 관리기능에 전문화된 검사에 비하면 민감성이 훨씬 낮았다. 이 결과들을 종합하면, Wechsler지능검사를 통한 관리기능 측정은 부가적 임상 정보를 준다는 점에서는 유용하다. 그러나 보다 적절한 관리기능 측정을 위해서는 Wechsler지능검사 이외에 관리기능에 전문화된 검사의 실시가 필요하다.
One of the critical defects of Wechsler scales is its insensitivity to executive functions. However, not all subtests of Wechsler scales are completely insensitive to executive functions, but some subtests are relatively sensitive to executive functions. The goal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ise a method to compare executive and non-executive functions using Wechsler scales. A validity study using schizophrenic patients indicated that Block Design and Digit Symbol are relatively sensitive to executive functions, whereas Information and Comprehension are insensitive to executive functions. A normative study was also performed to provide normative data for comparing the average of Block Design and Digit Symbol with the average of Information and Comprehension. Even Wechsler subtests that are relatively sensitive to executive functions were less sensitive to executive functions than specialized executive-function tes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ssessment of executive functions based on Wechsler scales is clinically useful but not sufficiently sensitive to executive functions. Thus, use of specialized executive-function tests is essential to properly assess executive functions.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성격장애 진단검사의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로, 검사문항을 제작하고 이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알아보았다. 먼저, 황순택(1995)의 연구를 바탕으로 예비문항을 구성하여 대학생과 일반인 총 69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문항분석을 거쳐 최종적으로 검사문항을 확정하였다. 신뢰도 분석 결과 내적일관성은 Cronbach alpha .53 ~ .75였고, 52명을 대상으로 한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상관계수 .58 ~ .89로 양호하였다. 척도점수 간 상관을 구한 결과, 거의 모든 척도가 DSM에 제시된 성격장애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대체로 잘 반영하였다. 타당도 준거로 사용된 2개의 성격장애 검사(MPDS, PDQ-4+)와의 비교 결과 10개의 모든 척도 쌍에서 유의미한 상관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새로 제작된 “한국형 성격장애 진단검사”는 성격장애의 구인들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추후 연구과제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test to diagnose personality disorders. This diagnostic test is composed of the contents which respect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reliminary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research by Hwang (1995). The data of 374 college students and 322 normal adults, namely a total of 696 respondents were analysed. 10 sub-scale scores obtained from the present personality disorder diagnostic test showed values of Cronbach alpha average .67, ranging from .53 (OC) ~ to .75 (ST), which is generally considered as acceptable level of internal consistency. Test-retest reliability (n=52) results indicated chronical scale stability, with correlation coefficient average 0.75, raging 0.58(NC) to 0.89(DP). Correlation analysis among each scale supported construct validity of the present personality disorder diagnostic test. Most of scales were found to reflect the structural relation of personality disorders in DSM. MMPI personality disorder scale (MPDS) and PDQ-4+ examination were used as criteria to examine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the present personality disorder diagnostic test. All the 10 pairs of personality disorder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present diagnostic test for personality disorders have validity and reliability as a personality disorder test.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finally.
도박에 대한 비합리적인 신념 및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Breen과 Zuckerman(1994)이 개발한 Gambling Attitude and Belief Survey(GABS)의 우리나라 판인 도박에 대한 태도 및 신념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토하기 위해, 도박 경험이 있는 성인 남녀 795명을 대상으로 GABS와 한국형 South Oaks 병적 도박 검사(K-SOGS), 그리고 비합리적 도박신념 척도를 함께 실시하였다. GABS의 내적 합치도 계수(α)는 .91로 높은 편이었으며, 비합리적 도박신념 척도와 유의미하지만 비교적 낮은 상관계수를 보였다. 요인분석 결과, 이 척도는 단일 요인 모델이 전체 변량의 31.47%를 설명하였으며, 35개의 문항중 7문항을 제외한 28문항이 단일 요인에 .30 이상의 요인부하량을 보였다. K-SOGS 점수를 기준으로 병적 도박 집단, 문제성 도박 집단 및 건전 도박 집단으로 구분하여 비교한 결과 병적 도박 집단의 GABS 총점이 나머지 두 집단에 비해 더 높았다. 병적 도박 집단을 잘 변별하는 19 문항을 확인하였다.
To test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Gambling Attitude and Belief Survey(GABS), the GABS, the Korean South Oaks Gambling Screen(K-SOGS), and the Irrational Gambling Belief Questionnaire(IGBQ) were administered to 795 adults which had experienced gambling. the GABS showed good internal consistency(α = .91) and modest concurrent validity(r = .17) with IGBQ. Factor analysis of the GABS revealed single factor solution is appropriate. Pathological gamblers scored higher than problem gamblers, and pathological and problem gamblers scored higher than non-problem gamblers on the GABS. By item analysis, 19 items identified to be effective items in differentiating pathological gamblers from other gambl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