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권호 목록

바이오피드백이 가미된 이완 및 호흡조절에 의한 스트레스 감소: 사례연구
이봉건(충북대학교) pp.603-622
정신장애인의 재활동기와 재활성과에 관한 연구
김이영((사)대한정신보건가족협회 부 설 대구재활센터) pp.623-63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였는데 첫째, 정신장애인의 재활동기에 따라 그들의 재활성과에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다양한 종속치를 사용하여 알아보는 것이었고 둘째, 정신장애인의 재활동기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개인내적변인, 사회지지, 사회복귀시설 이용 변인을 설정하여 알아보는 것이었다. 참여자는 사회복귀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정신장애인 415명으로 재활동기가 높은 집단 207명, 재활동기가 낮은 집단 208명이었다. 자료수집은 연구에 동의한 전국의 27개의 사회복귀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집단별 혹은 개인별로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재활동기에 따른 재활성과의 차이에서 첫째, 임상적 영역의 재발율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증상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능평가와 직업탐색효능감에서 재활동기가 높은 집단이 재활동기가 낮은 집단보다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관적 경험 영역의 삶의 질 평가와 자기효능감 평가에서도 재활동기가 높은 집단이 재활동기가 낮은 집단보다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정신장애인의 재활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병식과 학력, 전문가지지, 시설에서의 도움정도 변인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정신장애인의 재활동기는 그들의 임상적 영역(증상), 기능적 영역(기능과 직업태도), 주관적 경험 영역(삶의 질,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재활동기에는 병식과 학력, 전문가지지 및 도움정도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mentally ill people's rehabilitation motivation and also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habilitation motivation and rehabilitation outcome for the mentally ill. The study participants were 415 mentally ill individuals. There were 207 subjects who were high in rehabilitation motivation and 208 subjects who were low in rehabilitation motivation. The analysis revealed that insight, level of education, support from agency staff and the level of assistance from the agency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ehabilitation motivation for the mentally ill. The results of the analyses were as follows; First, the two groups did not reveal any statistical differences in terms of rehospitalization rate. Second, the group with high rehabilitation motivation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the total score of functioning level than the other group. Third, the high rehabilitation motivation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the total score of quality of life scale than low rehabilitation motivation. Fourth, compared to low rehabilitation motivation group, high rehabilitation motivation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the total score of occupational exploration efficacy scal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high in rehabilitation motiva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mentally ill people's functioning level, quality of life, and occupational exploration efficacy.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were discussed.

유방암 환자를 위한 통합적 집단치료가삶의 질과 면역기능에 미치는 효과
김종남(인제대 일산백병원 신경정신과) ; 권정혜(고려대학교) pp.639-65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통합적 집단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유방암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그 효과를 검증한 것이다. 본 프로그램은 문제해결기술 훈련과 인지적 재구조화, 명상호흡법을 통한 이완 훈련, 즐거움을 주는 활동 증진 등 인지행동적 치료요소가 근간을 이루며, 이와 함께 감정 표현 및 수용 촉진, 집단원 간 지지의 활용 등 지지-표현적 요소, 자녀관계 및 부부관계의 개선 등 대인관계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이 유방암 환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정서적 고통을 완화하며 면역기능을 증진하는 효과를 가져오는 지를 자기보고식 검사와 혈액검사를 통해 검증하였다. 국립암센터 유방암센터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04년 3월∼2005년 3월까지 총 4 집단에게 본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은 주 1회, 120분씩, 총 12회기로 진행되었다. 통제집단에는 총 23명이 포함되었는데, 대기자 집단과 순수통제집단이 섞여 있다. 연구자료는 치료 전과 치료 후, 치료 종결 3개월 후, 6개월 후 등 총 4회에 걸쳐 수집되었다. 연구결과를 보면,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유방암 환자들은 통제집단에 비해 전반적인 건강 및 삶의 질에 대한 평가, 암과 관련된 기능, 유방암과 관련된 기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암과 관련된 증상, 유방암과 관련된 증상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치료집단에서 우울과 불안, 적대감, 대인민감성 등 부정적 정서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치료집단에서 통제집단에 비해 림프구와 Natural Killer Cell의 비율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등 면역기능과 관련된 생리적 지표에서도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이러한 효과는 치료 후 3개월, 6개월 추수 검사에서도 대부분 유지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본 연구의 임상적 의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의 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a new and integrated group psychotherapy based on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on psycho-social intervention program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breast cancer patients, and to verify the efficacy of the program. 30 breast cancer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integrated group psychotherapy and 23 control group members are also included in this study. The major contents of this program are composed of cognitive-behavioral therapeutic factors, supportive-expressive factor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improvement factors. We implemented this program to breast cancer patients who are treated at the National Cancer Center in Ilsan, from March, 2004 to March, 2005. One treatment session continues for 120 minutes and it is performed during total 12 week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if this group psychotherapy program results in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decrease of emotional distress and improvement of the immune function for the breast cancer patients. And we would like to know if the therapeutic effects continues for some long perio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apy group members demonstrated significant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decrease of negative emotions such as interpersonal sensitivity, depression, anxiety, hostility, and improvement of immune function compared with control group members. Second, most of these effects continued until 6 months after the termination of the program. And there are very small differences in the control group between pre-test, post-test, and follow-up tests. In summary, we can conclude that this integrated group psychotherapy for the breast cancer patients is effective to improve quality of life, to decrease negative emotion and to increase the immune function for the breast cancer patients for some long period.

수줍음과 우울의 관계: 관계지향성과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오가혜(고려대학교) ; 안창일(고려대학교) pp.657-67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407명을 대상으로 우울증의 성격적 취약요인 중 대인관계 상황에서의 수줍음과 우울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특히 우리나라의 문화적 특성상 수줍은 사람들이 우울해지는 과정에 성차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남녀 집단을 나누어 관계지향성, 친구의 지지의 상호작용 효과 및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남학생 집단에서 수줍음과 친구의 사회적 지지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미했고, 여학생 집단에서는 수줍음과 관계지향성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녀 집단 모두에서 수줍음과 우울의 관계에 관계지향성, 친구의 사회적 지지가 각각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수줍음과 우울의 관계를 관계지향성과 친구로부터의 사회적 지지가 매개하는 경로 모형을 설계하고 검증하였는데, 남녀 집단 모두에서 매개모형이 적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 집단의 경우 수줍음은 우울에 대한 직접적인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나, 여학생 집단의 경우에는 우울에 대한 수줍음의 직접적인 경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수줍은 사람들이 언제 어떻게 우울해지는가를 부분적으로 설명해주며, 특히 성별에 따라 그 과정이 다르다는 점을 보여준다.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hyness and depression, and possible moderating or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ociotropy. It was attempted to examine whether each personality-interpersonal variables including shyness, sociotropy, social support predict depress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and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hyness and depression were tested, for each sex groups. In result, shyness, sociotropy, social support from friends predicted depression significantly, but social support from families didn't.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from friends and sociotropy were significant in both groups, and so were the interaction effects of shyness×siciotropy in female group and shyness×social support in male group. Path analysis revealed that shyness-depression relationship is mediated by sociotropy and social support from friends in both male and female group and the direct effect between shyness and depression was significant in only male group.

기혼 직장여성의 정신 건강과 역할 만족도-역할 갈등, 완벽주의 및 가족 지지 중심으로-
하오령(University of Missouri-Kansas city) ; 권정혜(고려대학교) pp.675-69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기혼 직장여성이 경험하는 역할 갈등의 양상을 파악하고, 이러한 역할 갈등과 개인적 특성인 완벽주의 성향, 그리고 환경적 요소인 배우자 및 가족 지지가 정신 건강과 역할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미취학 자녀를 둔 사무직 기혼 직장여성 123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한 결과, 기혼 직장여성이 경험하는 역할 갈등은 우울, 불안 및 신체화 성향과 같은 심리적인 증상, 그리고 결혼, 양육, 직무 역할 불만족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특히 가정 내 요구가 직무 수행에 영향을 주는 가정-직무 역할 갈등은 우울, 불안, 결혼 불만족도를, 직무-양육 역할 갈등은 우울, 신체화, 직무 불만족도에 대한 예측 요인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완벽주의 성향은 다른 심리적 증상이나 역할 불만족과는 관련되지 않았고, 오히려 자기 지향적 완벽주의는 직무 역할 만족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함을 볼 수 있었다. 가족 지지, 특히 배우자 지지는 정신 건강과 역할 만족도 전 영역에 걸쳐 가장 강력한 설명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어서, 배우자 지지가 기혼 직장여성의 건강하고 만족스러운 삶에 있어 매개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적인 효과를 가지는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how role conflict,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and family/spouse support are associated with mental health and role satisfaction among working mothers. In a sample of 123 office working female who were mothers of one or more preschoolers and kindergarteners, variables examined using correlation, stepwise regression and partial regression. In results, three domains of role conflict were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symptoms such as depression, anxiety and somatization and with marital, parental, and job dissatisfaction. Particularly high family-work spillover predicted depression, anxiety and marital dissatisfaction, and high work-parenting spillover predicted depression, somatization, and job dissatisfaction.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was neither related to negative psychological symptoms nor role dissatisfaction except for influence of self-oriented perfectionism on job satisfaction. Self-oriented perfectionism act on as positive striving. Support of husband and family members was not a mediator, but a predictor variable directly influencing on working mothers' mental health and satisfaction. High support of husband was associated with low depression, anxiety, and somatization, and high satisfaction of all role domains.

병적 도박자의 단도박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
김영훈(가톨릭대학교) ; 이영호(가톨릭대학교) pp.697-71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도박자를 대상으로 병적 도박의 단도박 성공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 및 강원 지역의 도박장을 출입하거나 출입했던 자로서 2003년 3월 이전에 정신병원, 종합병원 및 상담소 등에서 병적 도박자로 진단을 받고 치료를 받은 184명과 자발적으로 단도박에 성공한 22명을 포함하여 총 206명을 분석하였다. 단도박 실패집단은 단도박 성공집단 및 자발적 단도박 집단에 비해 회피동기, 표현적 가정환경, 대인관계 관련 스트레스, 도박심각도 및 도박욕구에서 높았으나 사교동기는 낮게 나타났다. 단도박 실패집단은 단도박 성공집단에 비해 도박 행동변화 과정중 도박에 대한 의식적 회피, 도박행위결과에 대한 재평가, 상담관계 형성 그리고 정서적 강화 및 지지 등의 요인에서 낮게 나타났다. 단도박 성공집단은 도박 행동변화 과정중 경험변화와 관련된 2개 요인, 행동차원과 관련된 5개 영역, 사교동기 및 경제관련 스트레스 등의 요인에서 높게 나타났다. 자발적 단도박 집단은 가족, 대인관계, 직장, 경제 및 가사문제의 관련된 스트레스를 낮게 지각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ing psychological factor on stop gambling of pathological gamblers. Pathological gambling variables were investigated to relapse pathological gamblers and non-relapse pathological gamblers. Psychological factors on stop gambling were examined from relapse pathological gamblers and non-relapse pathological gambl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athological gamblers were higher obsessive gambling passion, harmonious gambling passion, suppressive coping style, reactive coping style, depression, anxiety, gambling attitudes and beliefs, thrill motive, avoiding motive, monetary motive, amusement motive, irrational gambling belief, family related stress, social skill related stress, economy related stress, self-health related stress, family loading related stress and gambling drive than problem gamblers and social gamblers. Problem gamblers were higher family cohesion, family expression and family conflict than pathological gamblers. Second, gambling relapse group were higher family expression, avoiding motive, social skill related stress and gambling drive than non-relapse group. Gambling relapse group were lower family conflict, consciousness raising, environmental reevaluation, helping relationship, stimulus control, counter conditioning, reinforcement management, self-liberation and social motive than non-relapse group.

컴퓨터 게임 중독과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 및 적응과의 관계
이유경(성신여자대학교 학생생활상담소) ; 채규만() pp.711-726
청소년의 신체증상 경험에서 부정적 정서의 영향 및정서표현과 자기개념의 중재효과
신현균(전남대학교) pp.727-74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우울, 불안, 분노 등의 부정적 정서와 청소년 신체증상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정서표현과 자기개념의 중재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중, 고등학생 342명이었고 측정도구에는 아동신체화척도, 우울, 불안, 분노 척도, 정서표현성척도, 자아상척도 등이 포함되었다. 상관분석 결과, 불안, 우울, 분노 모두 신체증상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남여 모두 우울이 신체화와 가장 큰 상관을 보였다. 여학생의 경우 불안이 분노보다 신체화와 더 큰 상관을 보인데 비해, 남학생의 경우 분노가 불안보다 신체화와 더 큰 상관을 나타냈다. 또 여학생의 경우 자기개념 중 신체상이 신체화와 상당한 상관을 보였다. 중다회귀분석 결과, 성차가 나타났는데 남학생의 경우에는 우울과 불안이 신체화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정서표현의 중재효과가 나타났다. 반면, 여학생의 경우에는 정서표현의 중재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신체상의 경우에도 성차를 보였다. 남학생의 경우 우울과 불안이 신체화에 영향을 주는 데 있어서 신체상의 중재효과를 보인데 비해, 여학생의 경우 신체상이 유의미한 설명변인에 포함되었지만 중재효과는 보이지 않았다. 가족기능과 관련된 자아상은 불안이 신체화에 영향을 주는 데 있어서 중재효과를 보였다. 자신감의 중재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런 결과는 남녀 모두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Abstract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negative affect including depression, anxiety, anger, and adolescent's somatic symptom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elf-concept. The measures used to assess these effects with a sample of 342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cluded Korean Version of Children's Somatization Inventory, Revised Korean Version of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 Depression Scale, Korean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and Korean Version of Offer Self-Image Questionnaire-Revised. The results showed that anxiety, depression, and anger were correlated with somatic symptoms significantly. Depression was most correlated with somatic symptoms in both gender. In the case of females, anxiety was more correlated with somatic symptoms than anger, while in the case of males, anger was more correlated with somatic symptoms than anxiety. In the case of females, body image was highly correlated with somatic symptoms. The results fro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some gender differences. That is, in the case of males, depression and anxiety affects the experience of somatic symptoms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moderates in this process. But in the case of females,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expressiveness was not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body image appeared too. In the case of males, moderating effect of body image was significant, while, in the case of females, this effect was not significant. Self-image related with family functioning moderated between anxiety and somatic symptoms.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nfidence was not significant in both gender.

노인의 기억 신념, 인지활동 및 기억 수행의 관계
고선규(고려대학교) ; 권정혜(고려대학교) pp.747-76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건강한 노인에게 있어 기억 신념(기억 효능감, 기억 통제감)과 인지 활동이 기억 수행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억 수행은 언어 기억 및 얼굴 기억, 문장 기억, 언어 유창으로 평가하였으며, 인지활동은 일상생활에서의 인지적 자극 추구 활동 빈도를 평가하였다. 연구 대상은 지역 사회 복지관을 이용하는 101명의 건강한 노인들이다. 연구자가 가정한 단순 모형은 기억 신념과 인지 활동이 각각 독립적으로 기억 수행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며, 완전 매개 모형은 기억 신념이 인지활동을 매개하여 기억 수행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부분 매개 모형에서는 기억 신념이 인지활동을 매개하여 간접적으로 기억 수행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직접적으로도 기억 수행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하였다. 연구 결과, 완전 매개 모형이 나머지 두 모형 보다 우수한 모델임이 시사되었다. 끝으로 이 결과들이 가지는 시사점과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role of memory beliefs(memory efficacy, memory controllability) in the relation cognitive activity and memory performance in healthy older adults. Memory performance was assessed by verbal memory, face memory, logical memory and verbal fluency. Frequency of daily cognitive activity was used to evaluate cognitive activity. Participants were 101 healthy older adults in senior welfare center. The simple effect model assumed that memory beliefs, cognitive activity influence memory performance independently. The perfect mediated model assumed that memory beliefs influence memory performance by mediating cognitive activity. At last, The partial mediated model assumed that memory beliefs not only influence memory performance by mediating cognitive activity but also influence on memory performance direct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erfect mediated model was superior to two alternative models. Finally, we discussed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of future research

성폭력 피해 아동의 로샤 반응 특성:로샤 검사가 성폭력 피해의 증거를 제공해줄 수 있는가?
김태경(해바라기 아동센터) ; 신의진(연세대학교) ; 최지영(해바라기 아동센터) ; 임자영(해바라기 아동센터) ; 윤소미(가천의대 길병원 정신과) pp.765-78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로샤의 구조적 변인이 성폭력 피해의 증거를 제공해 줄 수 있는지, 그리고 피해 아동의 인구통계학적 변인 및 성폭력 사건의 특성에 따라 심리적 고통의 정도와 종류에 있어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성폭력 피해 아동 45명과 소아정신과 외래를 방문한 아동 33명의 로샤 프로토콜을 채점하였으며, 구조적 변인 중에서 6개의 특수 지표와 외상적 내용(MOR, Ag, An, Bl, Sx 및 traumatic content index; TC/R)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성폭력 피해 집단과 임상집단 간에는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로샤의 지표를 이용한 집단의 적절한 판별에도 실패하였다. 성폭력 피해가 지속적으로 있었을수록 우울증과 부정적인 자기상 및 신체상의 손상이 의미 있게 심각하였으며, 가해자가 아는 사람일 때에 그러한 손상이 더욱 심각하였다. 한편, 두 집단 모두에서 Exner와 Weiner(1995)가 제시한 미국 아동의 규준 자료보다 특수지표가 의미있게 상승한(positive) 아동의 비율이 훨씬 높게 나타났다. 종합해볼 때, 로샤 검사의 특수 지표와 외상적 내용 변인들이 성폭력 피해에 의한 심리적 고통의 정도를 반영하는 중요한 증거를 제공하기는 하나, 이러한 결과만으로는 성폭력 피해 사실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함의와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utility of Rorschach test in detecting of sexual abuse, and the differences of psychological aftereffects according to demographic datum and abuse characteristics. Participants were forty-five school-aged girls that identified for sexual abuse and thirty-three school-aged psychiatric outpatients without sexual abuse history. Their Rorschach responses were scored on Comprehensive System(Exner, 1993), and Special scores were obtained. In addition, the Trauma Content and Trauma Content Index(Mor, AG, An, Bl, Sx, TC/R)(Armstrong & Loewenstein, 1990) were used. In result, it could not discriminate sexually abused children from nonsexually abused psychiatric patients. Repeatedly abused children showed significantly more depression, negative self image, impairment of body image than episodic abused children and their nonabused counterparts.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ypes of perpetrators. Strange perpetrator group was revealed more severe impairment than acquainted perpetrator group. Both abused group and clinical group were higher special score's positive rates than American normative data on Exner and Weiner(1995). In summary, Rorschach test provided important informations about psychological aftereffects due to sexual abuse, but it couldn't sufficiently/effectively discriminate between sexually abused group form nonabused psychiatric patients.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are discussed.

불안 민감성에 대한 이요인 이론의 제안과 그 타당화: 공황장애 집단과 신체형 장애 집단을 중심으로
황성훈(서울대학교) ; 이훈진(서울대학교) ; 이수현(서울아산병원 정신과) pp.781-79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공황 장애의 주요 기제인 불안 민감성이 신체 감각에 대한 예민성과 인지적 오해석이라는 두 요인으로 구성된다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불안 민감성 측정치를 이요인론에 맞게 이단계 평정으로 개작하였다. 1단계에서는 신체 감각 예민성을, 2단계에서는 이에 대한 인지적 오해석을 측정했다. 연구 1에서는 대학생 500명 중에서 선발된 공황, 신체화, 통제 집단(각 30명)을 비교하였는데, 이요인 이론과 부합하게, 신체 감각 예민성에서 공황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높았고, 신체화 집단보다는 낮았다. 그러나 파국적 해석에서는 예측과는 다르게 공황집단과 신체화 집단이 차이가 없었다. 연구 2는 정신과 외래를 찾은 공황 장애 집단과 신체형 장애 집단(각 30명)을 대상으로 했는데, 연구 1에서 검증되지 않은 부분이 추가로 입증되었다. 즉, 이요인중 신체 감각 예민성에서 신체형 장애, 공황 장애, 정상 통제집단의 순서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을 뿐만 아니라, 파국적 해석의 경향에서는 공황 장애, 신체형 장애, 통제 집단의 순서를 보였다. 공황 장애와 신체형 장애는 ‘신체 감각(요인 1)의 오해석(요인 2)’이라는 공통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공황 장애는 파국적 해석의 비중이 두드러지고, 신체형 장애는 신체 감각 요소가 지배적이었다. 이요인 이론은 불안 민감성 계열의 연구과 공황 장애에 대한 Clark(1986, 1988)의 인지이론을 연결시키는 개념적 다리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임상 현장에서는 공황장애의 변별진단과 치료에 공헌할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hypothesis that the anxiety sensitivity known as a major mechanism of panic disorder may be divided into dual factors, one being somatic sensitivity, the other being catastrophic interpretation. For this purpose, we modified the anxiety sensitivity index-revised(ASI-R) into two-step rating, somatic sensitivity in the first step and cognitive interpretation in the second step, that can reflect the dual factors. In study 1, we compared panic group and somatization group with control group(each 30 subjects) selected from 500 college students. As predicted from dual factor hypothesis, in the first step rating of somatic sensation, the somatization group exceeded the panic group. However in the second rating(catastrophizing), the panic group did not exceed the somatization group. In study 2, panic patients and somatoform disorder patients(each 30 patients) were compared with 30 normal controls. In the somatic sensation factor, the result of study 1 was replicated, and in the catastrophic interpretation factor, the predicted difference was revealed. That is, in the catastrophic interpretation the panic patients were higher than somatoform disorder patients. These findings support the validity of dual factor hypothesis which says that although panic disorder and somatoform disorder share two-factor structure, panic disorder may be dominant in catastrophic interpretation and somatoform disorder may be prominent in somatic sensation. The dual factor theory may build a conceptual bridge between anxiety sensitivity research and Clark's cognitive model of panic disorder. In clinical settings, it will also contribute to the differential diagnosis and therapy of panic disorders.

한국판 개정된 불안민감성 지표의 사회적 염려 차원은 불안민감성 영역에 속하는가?
조용래(한림대학교) ; 박순환(대남병원) pp.799-824
초록보기
초록

불안민감성의 사회적 염려차원이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경험적으로 구분될 수 있는지, 불안민감성 영역과 부정적 평가 민감성 영역 중 어느 영역에 속하는 지, 그리고 사회불안에 대하여 고유하게 기여하는 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두 연구가 수행되었다. 연구 1에서는 한국판 개정된 불안민감성 지표(ASI-R)와 단축형 부정적 평가 두려움 척도(BFNE)를 대학생 319명에게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ASI-R의 문항들은 사회적 염려를 포함한 네 개의 요인들에, 그리고 BFNE 문항들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라는 한 개의 요인에 높게 부하된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 2에서는 대학생 353명에게 한국판 ASI-R, BFNE 및 발표불안사고검사의 하위척도 2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Zinbarg와 Barlow(1996)의 견해에 기반을 둔 위계적 요인모형이 자료에 적절하게 부합되었으며, 세 대안모형들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더해, 사회적 염려차원은 우울수준과 불안민감성의 다른 차원들의 영향력을 통제한 후에도 사회불안 및 발표불안증상 각각에 대한 고유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결과들은 사회적 염려차원이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는 구분되는 개념일 뿐 아니라, 불안민감성보다는 부정적 평가 민감성 요인의 특성을 더 강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사회불안증상을 예측하는데 있어 고유하게 기여하는 변인임을 시사한다.

Abstract

This article reports 2 studies examining whether social concerns dimension of anxiety sensitivity(AS) can be empirically differentiated from fear of negative evaluation(FNE), whether it is best conceptualized as belonging to the domain of AS and/or the domain of negative evaluation sensitivity(NES), and whether it is a unique predictor of social anxiety. In Study 1, we used joint exploratory factor analyses with Korean versions of Anxiety Sensitivity Index-Revised(ASI-R) and Brie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scale (BFNE) in a sample of university students(N = 319). Items from the ASI-R loaded onto factors representing the 4 AS constructs such as social concerns and items from the BFNE loaded onto a single factor labeled FNE. In Study 2, confirmatory factor analyses(CFA) of the pooled items from Korean versions of the ASI-R, the BFNE and the Speech Anxiety Thought Inventory-Subscale 2 in another sample of university students(N = 353)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CFA indicated that a hierarchical factor model based on Zinbarg and Barlow(1996)'s study fitted the data adequately and was superior to the 3 alternative models. Additionally, the social concerns dimension predicted social and speech anxiety symptoms, respectively, after controlling for depressive symptoms and the other dimensions of A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social concerns dimension of the K-ASI-R represents a NES factor more strongly than an AS factor as well as something distinct from FNE, and that it is a unique predictor of social anxiety.

한국 아동 인성 평정 척도(Korean Personality Rating Scale for Children; KPRC)의 표준화 연구
조선미(아주대학교) ; 홍창희(부산대학교) ; 황순택(충북대학교) ; 박혜연(성균관대학교) ; 김지혜(성균관대학교) pp.825-84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한국 아동인성평정척도(KPRC)를 표준화하려는 데에 목적이 있다. 한국 아동인성 평정척도(KPRC)는 한국 아동인성검사(KPI-C)를 기반으로 하여 개발한 척도이다. 유치원생에서 고등학교 2학년에 이르는 2639명의 일반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KPRC 하위 척도들의 내적 일치도는 .65~.89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 대상자들 중 65명으로 측정한 한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42~.80으로 나타났다. 타당도 검증을 위해 하위 척도 간 상관을 구한 결과, 척도의 수렴 및 변별 타당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요인 분석한 결과, 외현적 행동 문제, 내재적 성격 문제, 발달 문제의 세 가지 요인이 추출되었다. 또한 이 검사의 표준화 집단 중 인구학적 변인에 의해 구분된 하위 집단들 간에 척도 점수의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기 위해 t 검증한 결과, 표준화집단 내에서 학년별·성별 집단 차이가 확인되었다. 한편 본 검사의 하위척도 점수가 DSM-IV의 소아청소년기 장애의 고위험 집단과 정상집단을 변별해줄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하위 척도의 점수들로 주의력 결핍/과잉행동 장애·분리불안 장애·자폐성 장애·주요 우울장애·반항성 장애·범불안 장애의 고위험 집단과 정상집단을 변별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KPRC가 한국의 아동·청소년의 정신과적 문제를 선별·진단하는 데에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로 쓰일 수 있다는 것을 지지한다.

Abstract

This study revised the Korean 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KPI-C) to develop the Korean Personality Rating Scale(KPRC) and was conducted to standardize the KPRC. The care takers of preschool children, elementary students,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N=2639) administered the KPRC. Internal consistency of subscales is between .65 and .89. A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est and retest is .42~.80 (N=65) and difference between the two is not significant. We investigated the factor structure of the KPRC. The results showed that the KPRC has three factors: internal personality problems, external behavior problems, and development problem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KPRC scores of subgroups are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nd school year in order to settle the norms and investigated whether each subscale of the KPRC can screen children and adolescents who have psychiatric problems. As a result, t-test reveal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ubgroup in anxiety, somatization, and hyperactivity scales. Also,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preschool, elementary,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in almost all scale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KPRC is able to screen psychiatric problems related to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Major Depressive Disorder, Separation Anxiety Disorder, Autistic Disorde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nd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K-WAIS는 타당한 지능검사인가?:K-WAIS와 KWIS의 규준 비교
황순택(충북대학교) pp.849-864
초록보기
초록

많은 임상가들은 K-WAIS를 실시했을 때 1) 젊은 층에서는 IQ가 너무 낮게 나올 뿐만 아니라 나이 든 층에서는 오히려 IQ가 너무 높게 나오고, 2) 연령범주 간의 능력 차이가 지나치게 크게 나타나 동일한 원점수를 얻었을 때 어떤 연령범주에 속하느냐에 따라 IQ가 매우 다르게 산출되고, 3) 분산도 분석을 통해 피검자에 적합한 의미 있는 해석이 유도되지 않는다는 등의 지적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K-WAIS에 대한 임상가들의 지적이 주목할 가치가 있는 것인지 K-WAIS와 KWIS의 규준을 비교하여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원점수 및 전체집단 환산점수, 집단내 변산성, 표집크기 등에 대한 연령범주간 비교를 통해 K-WAIS 규준의 특징을 살펴본 결과 임상가들의 지적에 상당한 근거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함이 나타나게 된 원인을 찾아보고, 제한된 범위 내에서 가능한 해결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re were many complaints to the K-WAIS among clinicians for 1) too low IQ scores in the young subjects and too high IQ scores in the old subjects, 2) too large differences of IQ scores among age categories, and 3) being impossible to analysis the scatters. In this study, the KWIS and the K-WAIS norms were examined to decide whether these complaints were justified or not. Such variables as raw scores, scaled scores, within-group variabilities, and sample sizes of two norms were investigated. In the result, it was suspected that the K-WAIS had serious problems for standardized IQ test and clinicians' distrust was based on reality. The causes of the validity problems of the K-WAIS were searched and resolutions were suggested.

역기능적 신념검사 단축판의 구성: Rasch 평정척도모형의 적용
홍세희(고려대학교) ; 조용래(한림대학교) pp.865-880
초록보기
초록

역기능적 신념검사(Dysfunctional Beliefs Test)는 70 문항으로 된 자기 보고형 검사이며, 사회적 자기에 대한 부정적 개념, 타인의 인정에 대한 과도한 요망, 그리고 타인 및 사회적 관계에 대한 부정적인 신념이라는 세 개의 1차 요인과 한 개의 2차 요인으로 구성된 위계적 구조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조용래, 2004; 조용래, 원호택, 1999). 본 연구에서는 역기능적 신념검사의 단축판을 구성하기 위해서, 대학생 571명으로부터 수집된 역기능적 신념검사에 대한 반응 자료를 바탕으로 각 하위척도별로 Rasch 평정모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문항응답 범주의 수는 원래의 7개보다 6개가 더 적절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각 하위척도별로 문항의 적합도와 난이도에 대한 결과를 바탕으로, 12개의 문항을 최종 선정하여 총 36개 문항으로 구성된 단축판 검사를 제안하였다. 끝으로, 단축판 역기능적 검사의 활용방안과 본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Dysfunctional Beliefs Test(DBT) is a 70-item self-report inventory, which has a hierarchical structure with three first-order factors (negative social self-concept, excessive demand for others approval, and negative belief of others and social relations) and a single second-order factor(Cho, 2004; Cho & Won, 1999). In this study, to construct a short version of the DBT, Rasch Rating Scale model was applied to the three sub-dimensions of the DBT in a sample of undergraduate students(N = 571). Results showed that 6-point rating scale was more appropriate for the DBT than the 7-point scale used originally. And, for each of the three dimensions, based on item fit and item difficulty indexes estimated from Rasch model, 12 items were finally selected for a short version of the DBT. Finally, the utilization of the short version of the DBT as well a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