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메뉴

권호 목록

기혼여성 우울증 환자의 부부문제에 대한인지-대인관계 치료의 효과
장문선(경북대학교) pp.299-321
임상현장 학령기 환아를 대상으로 한 사회성 증진 프로그램의 효용성 연구
임채미(성균관대학교) ; 오윤희(성균관대학교) pp.323-34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현장에서 대부분의 환아들에게 공통적으로 문제가 되는 사회적응 곤란을 향상시키고자 사회성 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 치료적 효용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소아정신과에 내원하여 다양한 심리장애로 진단된 환아 중 사회성이 저조하다고 조작적으로 정의된 아동이며, 치료집단에게만 사회성 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치료집단은 총 19명(남아 12명, 여아 7명), 통제집단은 총 22명(남아 17명, 여아 5명)이였다. 치료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동질성이 확보되지 않아, 치료효과 검증 시 사전 검사치를 공분산으로 하는 공분산 분석을 실시하였다. 공분산 분석 결과, 임상가가 평정한 의사소통 기술 및 그 하위요인에 있어서는 집단 간 차이가 유의미하였고, 치료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의사소통 기술의 상승 폭이 유의하게 컸다. 그 밖의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치료효과를 발견하기 어려웠고, 부모의 평정과는 상이하게 오히려 치료집단의 경우 아동이 평정한 자기통제 및 교사가 평정한 자기주장이 감소된 것으로 나타나는 등 불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비록 임상현장에서 실시한 사회성 증진 프로그램의 효용성이 전반적인 영역에서 유의하지 않았으나, 의사소통 기술과 관련해서는 고무적인 치료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평가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임상적 시사점과 연구의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effectiveness of social competence program in the clinical setting. Subjects were school-aged children who were diagnosed as various disorders with low social competence. The treatment group consisted of 12 boys and 7 girls, and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17 boys and 5 girls.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s: The treatment group showed higher increased communication skills rated by clinicians than control group. But other areas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Besides the treatment group showed some decrease in the self-control rated by children and the assertiveness rated by teachers in contrast to parent's evaluation. The result showed that social competence program in clinical practice setting failed to demonstrate convincing evidence of improvement in some areas. But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skills were considered as treatment effect. Lastly, the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further study were suggested.

치매노인 주부양자의 부양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이은희(천주의 성요한 병원) ; 윤가현(전남대학교) ; 이정숙(전남대학교) pp.341-36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이은희와 윤가현(2005)이 국내 치매노인 주부양자들을 위하여 개발한 인지행동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부양스트레스(부양부담, 우울 및 불안) 감소효과와 그 지속성을 검증한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정신과 전문의가 치매로 진단한 외래환자들 중에서 약물치료를 받고 있는 치매노인의 주부양자들 31명으로 개입집단(15명)과 통제집단(16명)으로 구분하여 개입 전과 개입 후 및 개입종료 3개월 후에 부담감척도(Burden Interview), 우울척도(CES-D) 및 불안척도(Anxiety Scale)를 사용하여 개입프로그램의 효과와 지속성을 평가하였다. 개입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은 치매노인의 특성(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일상생활능력, 기억문제 및 문제행동)과 주부양자의 특성(인구통계학적 특성과 부양부담, 우울 및 불안수준)으로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인지행동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개입집단에서는 부양부담, 우울 및 불안수준이 모두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나 통제집단의 경우에는 어떤 종속측정치에서도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아서 주부양자의 부양스트레스는 자발적으로 감소되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또 3개월 후에 실시한 추후검사에서도 개입프로그램의 지속효과가 확인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n the reduction of caregiving burden, depression, and anxiety of the primary caregivers of persons with dementia in comparison with a control group. The cognitive-behavioral intervention program was developed by Lee and Youn(2005). The program consisted of 3 parts; psychological education, stress management, and coping skills. 31 primary caregivers were recruited in Y and S hospitals in Gwangju and Chonnam area and divided into 2 groups i.e Intervention Group(n=15) and Control Group(n=16) with the homogeneous characteristics of the demographic traits and the severity of persons with dementia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skill, memory problems, and behavior problems. The study also investigated the long-term effect(3 month) of the intervention program. Study took 3 groups proceeded one after another because there were not sufficient persons at the same time from June 2004 to March 2005. All the caregivers participing in the study responded to the same questionnaire 3 times such as, before the intervention(pre), after the intervention(post), and 3 month after the intervention(follow-up). The data was analyzed with repeated measure ANOVA, paired t-test and t-test. There was a significant reduction in caregiving burden, depression and anxiety in the intervention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at post treatment and follow-up after 3 months which indicated the continuity of intervention effect. However, i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changes during the sametime. The conclusion of the study was that cognitive behaviour intervention can have significant benefits to caregivers of persons with dementia. In the last part of the study, the suggestions, the limitations, and the direction of the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교육수준에 따른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의인지 부호화 사용의 차이: 언어적, 시공간적,동작적 부호화를 중심으로
곽경현(중앙대학교) ; 현명호(중앙대학교) ; 유정헌(중앙대학교) pp.361-37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력에 따른 DAT(dementia of Alzheimer's type)환자의 인지 부호화 사용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서 실시되었으며, 언어적(verbal), 시공간적(visual-spatial), 동작적(motoric) 부호화(encoding)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정상 노인 30명과 초기 DAT환자 30명을 단어 카드와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물건을 사용하여 언어적, 시공간적, 동작적 부호화를 실시하고 회상하게 하였다. 연구 결과 DAT환자가 정상 노인에 비해 기억의 수행이 저조하였으며 저학력자가 고학력자에 비해서 전체적으로 수행이 저조하게 나타났다. 또한 정상 노인과 DAT환자 모두 동작적 부호화 상황에서는 학력의 고, 저에 따른 기억 수행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언어적, 시공간적 부호화 방법에서는 고학력자가 저학력자 보다 기억 수행을 더 많이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현재 노년층인 저학력 DAT환자에게 효율적인 인지 훈련 전략에 대한 방법을 모색할 수 있다.

Abstract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of cognitive encoding among DAT(Dementia of Alzheimer's Type) patients' according to their educational level.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subjects were presented categorizable list of words or objects under three different encoding condition; verbal, visual-spacial, motoric encoding.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he DAT patients have less memory perform than normal old people. And people who had lower level of education have less memory performance than who had higher level of education. Moreo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normal group and DAT group using memory ability in motoric encoding method according to the level of educational. But, in terms of verbal encoding and visual-spatial encoding methods, people who had more education have more memory ability. The present results suggested to the possibility of different education effect on the encoding methods.

빈곤 가정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 1년간 추적연구
김은이(연세대학교) ; 오경자(연세대학교) pp.381-39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수급 여부, 생활 사건 스트레스, 성별이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빈곤 가정 밀집 지역 중학교 1, 2학년 청소년 483명을 대상으로 우울, 외현화 문제행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지표를 자기보고식 설문으로 평가하고 1년 후에 다시 평가하였으며, 지난 1년간의 생활 사건 스트레스에 대해서도 보고하게 하였다. 1, 2차 평가에 모두 참여한 336명(남 162명, 여 174명)의 자료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청소년의 적응에 미치는 수급 여부 및 스트레스의 영향력은 적응지표 및 성별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의 경우, 성별과 스트레스가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졌으나, 외현화 문제행동에는 스트레스만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경우에 수급 여부 및 스트레스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effects of poverty status, gender and life stress on psychosocial adjustment of adolescents were evaluated. Self report measures of depression and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t 2 time points 1 year apart and their life stress for the 1 year period between the two assessment points were obtained from adolescents in a middle school located in an area with heavy concentration of low income familie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of data from 336 adolescents(162 boys and 174 girls) who completed both assessments revealed that effects of poverty status and stres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gender and type of adjustment measure. For depression at time 2 after controlling for depression at time 1, significant main effects of gender and life stress were obtained, but only the main effect of life stress was significant for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t time 2 after controlling for time 1. Gender × Stress interaction was significant for depression and Poverty Status × Gender and Gender × Stress interaction were also significant for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Girls, compared to boys, were more vulnerable to life stress and poverty status.

이차원 자기애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자기주도적자기애 및 타인의존적 자기애와 심리적 특성과의 관계
강은영(가톨릭대학교) ; 이영호(가톨릭대학교) pp.397-415
내담자 집단의 분노와 우울 수준에 따른분노사고와 비합리적 신념의 특성
서수균(서울디지털대학교 상담심리학부) ; 권석만(서울대학교) pp.417-427
초록보기
초록

Beck(1976)은 정서 장애에 따라 문제가 되는 주된 인지적 내용이 다르다는 인지적 내용-특수성 가설을 제안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울과 비교해서 역기능적 분노와 특정한 관련성을 보이는 자동적 사고와 비합리적 신념의 유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13명의 대학생 내담자를 대상으로 분노나 우울을 통제한 부분상관분석을 하였으며, 이어서 내담자를 분노와 우울 수준에 따라 네 집단(분노/우울 집단, 분노집단, 우울집단, 비교집단)으로 구분하고 집단 간에 일차적/이차적 분노사고와 비합리적 신념의 수준을 비교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이차적 분노사고의 타인비난/보복 사고가 우울보다 분노와 특히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2) 비합리적 신념 중에서 무시나 부당한 대우에 대한 과민성 요인은 분노와, 자기비하 요인은 우울과 특정한 관련성을 보였다. 3) 분노/우울 집단은 네 집단 중에서 분노사고와 비합리적 신념 수준이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들은 역기능적 분노에 대한 인지적 내용-특수성 가설의 타당성을 지지해 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automatic thoughts and irrational beliefs related specially to dysfunctional anger as compared with depression. Participants consisted of 213 clients visiting the counseling centers in the university. Participants completed several self-report measures assessing primary/secondary anger thoughts and irrational beliefs and trait anger and depression. Partial correlations controling for anger or depression were computed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cognitive content-specificity of anger and depression. And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anger and depression (anger/depression, anger, depression, control group). Four groups were compared in the level of primary/secondary anger-thoughts and irrational beliefs. The main results were: 1) Derogation of others/revenge thought of secondary anger-thought were specially associated more with anger than depression. 2) Hypersensitivity on disregard and unfairness of others among irrational beliefs was exclusively associated with anger, while Self-downing was exclusive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3) Anger/depression group showed the highest level in primary/secondary anger thoughts and irrational beliefs among four groups.

청소년기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내용특수성 검증:내재화 장애와 외현화 장애를 변별하는가?
하은혜(숙명여자대학교) pp.429-44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부정적 사고가 내재화 문제와 외현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사하고, 부정적 자동적 사고가 내재화 장애와 외현화 장애를 구분하는가의 문제인 광범위의 내용특수성과 우울집단과 비행집단을 구분하는가의 문제인 구체적 장애의 내용특수성을 검증하였다. 중학생 1,025명(남학생 516, 여학생 509명)과 고등학생 867명(남학생 410, 여학생 457명)을 대상으로 자동적 사고 척도(K-CATS), 청소년 자기행동 평가척도(K-YSR), CES-D, 잠재비행 척도(LDQ)를 실시하여, 부정적 자동적 사고와 내재화 증상 및 외현화 증상의 관계에 대해 회귀분석 하였다. 또한 K-YSR을 기준으로 내재화 장애집단, 외현화 장애 집단, 공존장애 집단, 일반집단간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CES-D로 선별한 우울집단과 LDQ로 선별한 비행집단 및 공존증상 집단, 일반집단간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부정적 자동적 사고는 내재화 문제 및 외현화 문제에 대해 1차함수 관계는 물론 2차함수 관계에서 설명력이 있었으나, 내재화 장애에 대한 설명력이 매우 높았다. 내재화 장애 청소년은 외현화 장애 동반 여부에 관계없이 부정적 자동적 사고를 더 많이 보였으며, 우울한 청소년은 비행문제의 동반 여부에 관계없이 부정적 자동적 사고를 더 많이 보였다. 이에 따라 청소년기 심리장애에 대한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광범위 특수성과 구체적 장애의 내용특수성이 확인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s of the adolescent‘s negative automatic thoughts on the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And it also tested whether negative automatic thoughts are broadband specific features that distinguish internalizing disorders from externalizing disorders, and are narrowband specific features that distinguish depression from delinquent problems. The study sample was 1982 adolescents(916 boys and 966 girls) from junior and high school, and they completed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s such as K-YSR, CES-D and LDQ.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externalizing problems as well as internalizing problems were predicted by the negative automatic thoughts in linear and quadratic terms. But it showed the negative automatic thoughts had much more explanations on the internalizing problems. Both the internalizing only and comorbid with externalizing problem groups reported significantly more negative automatic thoughts. And both the depressive only and comorbid with delinquent problem groups reported significantly more negative automatic thoughts. These showed that the negative automatic thoughts are narrowband specific as well as broadband specific features in adolescent's psychological disorders.

경계형·외현형 편집증의자기개념과 타인개념 및 귀인양식
이현우(서울대학교) ; 이훈진(서울대학교) pp.449-465
초록보기
초록

임상적 관찰과 MMPI 자료에서 제기되어 온 경계형 편집증을 경험적 연구를 통해 구분하여, 편집증의 핵심 변인인 자기개념과 타인개념 및 귀인양식 측면에서 외현형 편집증과 비교하였다. 연구 1에서는 56명의 피해망상 환자에게 MMPI Pa, L, K 척도, 편집척도, Beck 우울 척도, 자기 및 타인개념 척도, 사회적 추론 질문지를 실시한 후, MMPI Pa 척도와 순박성 소척도 점수를 기준으로 경계형 8명, 외현형 10명을 선발하여 통제집단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경계형 편집증 집단은 L, K 척도 점수는 높고, 우울 수준은 낮았으며, 자기개념은 외현형 편집증 집단보다 긍정적이었다. 이 결과는 56명 전체를 대상으로 한 군집분석에서도 지지되었다. 연구 2에서는 대학생 271명을 대상으로 집단을 선발했는데, 경계형 편집성향 집단의 L, K 척도 점수가 높고, 우울 수준은 낮았으며, 자기개념과 타인개념에서는 가장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환자집단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추후 연구 과제를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guarded paranoia, and the self-concept, the other-concept, and the attributional styles of the guarded paranoia compared with those of the frank paranoia. In Study 1, the MMPI Pa, L, K scales, the Paranoia Scale,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the Self-Other Concept Scale, and the Social Reasoning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to 56 persecutory deluded patients. Based on the MMPI Pa scale and Naiveté subscale, eight guarded paranoid patients and 10 frank paranoid patients were selected. The guarded paranoia showed higher scores on L and K scales, and reported more positive self-concept and lower depression than the frank paranoia. These results were supported by the cluster analysis including all of the 56 patients. In Study 2, guarded paranoid tendency group and the frank paranoid tendency group were selected from 271 college students. The guarded paranoid tendency group showed higher L and K scores and lower depression, and reported the most positive self and other-concept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These results were similar with those from the patient groups. The sugges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of future study were discussed.

우울한 기분상태가 신체화집단의 자기초점적 주의, 신체감각증폭지각, 신체귀인 및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
신현균(전남대학교) pp.467-48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우울 기분 상태에 의해 신체화가 악화되는 기제를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우울 기분 유도가 자기초점적 주의를 높이고 신체감각을 증폭해 지각하게 만들고 사소한 신체증상을 신체적 원인에 귀인하는데 영향을 주어 신체증상 경험을 심화시키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실험대상은 134명의 대학생으로 이 중 83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되었다. 주요 연구 결과를 보면, 신체화집단이 정상통제집단에 비해 부정적인 기분 상태에서 자의식 수준이 더 높아졌다. 또 우울 기분 상태에서 신체화집단이 정상통제집단에 비해, 그리고 여성이 남성에 비해 신체감각을 더 증폭해 지각하였다. 세부적 분석 결과, 남성은 기분 상태에 따라 신체감각증폭지각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은 데 비해, 여성은 부정적 정서 상태에서 신체감각을 더 증폭해 지각하였다. 귀인에 대한 결과에서는 긍정적 기분 상태나 중성적인 상태에 비해 부정적 기분 상태에서 신체증상을 더 신체적 원인으로 귀인하였다. 또 여성의 경우 신체화집단이 정상통제집단에 비해 신체적 귀인을 더 많이 한 반면, 남성은 그렇지 않았다. 기분 유도에 따른 신체증상 경험의 경우, 사전 신체화 점수의 영향을 배제하고도 신체화집단이 정상통제집단에 비해 신체화 점수가 더 높았고, 남성에 비해 여성이 신체화 점수가 더 높은 경향성을 보였다. 성에 따른 세부적인 분석 결과, 남성의 경우, 슬픈 기분 상태에서 신체화집단이 정상통제집단보다 신체증상을 더 많이 경험한 반면, 여성의 경우에는 즐거운 기분 상태에서 정상통제집단이 신체화집단보다 신체증상을 더 적게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가 신체화 치료에 주는 시사점과 제한점, 후속연구 방향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chanisms of deterioration of somatization by depressive mood state. It was examined whether induced depressive mood state affects self-focused attention, somato-sensory amplification, somatic attribution, and experience of somatic symptoms. Subjects were 134 college students and data of 83 students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somatized individuals showed higher self-focus than normal control participants after sad mood induction. Somatized individuals showed more somato-sensory amplification than control participants. Females showed the same result according to group, but males didn't show such result after sad mood state was induced. Males didn't differ in somato-sensory amplification according to different mood states, but females showed more somato-sensory amplification in sad mood state than positive or neutral mood conditions. Subjects attributed to somatic causes in sad mood state more than positive or neutral mood conditions. In the case of females, somatized individuals attributed to somatic causes more than normal control participants, however, males didn't show such result. Somatized individuals experienced more somatic symptoms than normal control participants and females showed higher tendency of somatic symptoms than males, after control of pre-experiment level of somatic symptoms. Further analysis showed that in the case of males, somatized individuals experienced more somatic symptoms than normal control participants in sad mood state, but in the case of females, somatized individuals did so in positive mood state. The implications for treatment of somatization and limitations of these result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피드백 유형이 사회공포증 집단의 예상불안과 수행에 미치는 영향: 이성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정유선(고려대학교) ; 권정혜(고려대학교) pp.489-50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사회공포증이 있는 사람들에게 낯선 이성과 사회적 상호 작용 시 긍정적 측면이 있음을 강조한 피드백과 부정적 측면이 없음을 강조한 피드백을 처치하였을 때 이 피드백이 다음 번 사회적 상호 작용에 대한 불안과 수행에 대한 예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피험자는 총 40명으로 모두 남자이며 여자 연구 보조원 두 명과 각기 한 명씩 일대일 사회적 상호 작용을 두 번 실시하였다. 피험자는 각 피드백 조건에 따른 피드백 처치를 받은 후 두 번째 사회적 상호 작용에 대해 예상되는 불안과 수행 수준, 상태 불안을 평가하고 연이어 두 번째 사회적 상호 작용에 참여한 후 상태 불안, 피드백 특성과 피드백 수용성을 평가하였다. 두 번의 사회적 상호 작용 실험을 한 결과, 사회공포증 집단과 통제 집단 모두 예상 불안과 예상 수행에 대하여 피드백 종류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사회공포증 집단은 두 번째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하여 통제 집단보다 더 높은 수준의 불안을 예상했고, 수행은 더 못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또한, 사회공포증 집단은 통제 집단에 비하여 두 번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실시하면서 상태불안이 계속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대한 제한점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feedback during social interaction on predicted anxiety, predicted performance in individuals with social phobia and non-patient control. 20 individuals with social phobia were administered the Anxiety Disorders Interview Schedule for social phobia by a trained graduate student interviewer. Non-patient control group were 20 control college students. To establish interrater agreement, a second clinician independently rated a random sample selection of ADIS-R interviews. Interrater agreement was good (Kappa = .80). All participants completed the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Scale(SADS), Fear of Negative Evaluation-Brief(B-FNE), Social Performance Scale(SPS),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SIAS). The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two 5-min “getting acquainted” social exchanges with two assistants. After an initial interaction with one assistant, participants were shown the observer's “ratings and comments” which either framed the presence of positive social cues or the absence of negative social cues. They then rated state anxiety, predicted anxiety and performance in the upcoming second interaction, as well as their perceived valence and accuracy of feedback. After they participated second social interaction with another assistant, they rated state anxiety again.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 regardless of feedback conditions, individuals with social phobia predicted higher anxiety and poorer performance for the upcoming interaction. Second, during two social interactions, the state anxiety of individuals with social phobia was reduced relative to non-patient control group regardless of the conditions of feedback. Third, individuals with social phobia accepted positive feedback less than non-patient control group. Th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한국 노인의 숫자폭 및 시공간폭 검사 표준화 연구
송호정(서울대학교) ; 최진영(서울대학교) pp.505-532
초록보기
초록

숫자폭 검사와 시공간폭 검사는 언어적 단기기억과 시각적 단기기억을 측정하는 검사로 알려져 있으며 임상장면에서 간편하고 손쉽게 실시할 수 있는 과제이면서 유용하고 진단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단기 기억은 연령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안정되게 보존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알츠하이머성 치매 환자도 초기 단계에서는 단기 기억에서 거의 손상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단기 기억폭 검사를 국내 치매 인구에게 적용하기 위하여 정상 노인 집단을 대상으로 규준을 마련하고자 시행되었다. 그 결과, 교육과 연령에 의해 규준 집단이 나뉘어졌으며 숫자폭 검사의 경우는 문맹 집단과 문해 집단간에 유의한 수행 차이를 보였다. 정상 집단과 초기 알츠하이머성 환자 집단의 검사 수행을 비교해 보았을 때 숫자폭 검사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시공간폭 검사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숫자폭 검사의 수행이 알츠하이머성 치매 초기에도 유지되는 반면에 시공간폭 검사는 초기 단계에서도 수행이 감퇴되고 있다는 사실은 임상 장면에서 치매 진단과 관련하여 유용한 검사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The Digit span and the Spatial span test are neuropsychological tests most commonly used for the evaluating short-term memory. As short-term memory capacity is stable in normal aging process, the unusual decrement of the span measures could signify pathological aging, such as the 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DA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emographic variables contributing to the span performance, and to obtain normative data for the elderly Korean population in the Digit span and the Spatial span. Education and age were associated with all span measures, and literacy was associated with the Digit span performance. Mild DAT patients obtained lower scores in the Spatial span test, where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normal group and mild DAT patents in the Digit span test. These results suggest the Spatial span impairment could be a good early indicator for the Alzheimer's disease.

한국판 MMPI-2의 개발 연구
한경희(Central Michigan University) ; 임지영(호서대학교) ; 김중술(서울대학교) ; 민병배(마음사랑) ; 이정흠(마음사랑) ; 문경주(마음사랑) pp.533-56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한국판 MMPI-2 표준화과정을 기술했고 한국판 MMPI-2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미국규준집단의 자료와 비교하여 검증했다. MMPI-2의 규준집단(남자 651명, 여자 701명)은 <2000년 인구 및 주택 총조사>에 기초하여, 19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인구 비례에 따라 표집하였는데, 통계검증 결과 성별, 연령, 교육수준, 지역, 거주지에 준거해 2000년 한국국민을 잘 대표하였다. 척도의 원점수는 적절한 T 점수 (동형, 선형)로 전환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동형 T 점수로 전환된 임상척도와 내용척도의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들 척도의 동형 T 점수 편포치가 선형 T 점수의 편포치보다 더 고르게 나타났는데 이 결과는 MMPI-2의 새로운 T 점수 전환법인 동형 T 가 척도간 백분위를 동등하게 해준다는 점을 보여준다. 한국집단의 척도 점수는 미국집단보다 높았으며 문항반응 빈도에서 한미간 많은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MMPI-2 문항 중 남녀 집단을 가장 잘 변별해주는 문항은 한미 두 나라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MMPI-2의 기본척도의 요인분석결과 3, 4 요인 구조에서 한국남녀의 요인구조는 미국남녀의 요인구조보다 훨씬 더 유사했다. 한국 MMPI-2 척도의 검사-재검사 신뢰도와 내적 일치도는 미국 자료와 상당히 일치했다. 임상척도와 배우자 평가지 문항의 상관도는 MMPI-2의 외적타당도를 입증해주는 중요한 결과이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한국판 MMPI-2가 신뢰롭고 타당한 검사로서 쓰일 수 있는 예비증거를 제시한다고 하겠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Korean MMPI-2 Standardization process and provid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MMPI-2 via comparisons with American data. The normative sample of the Korean MMPI-2 was selected based on 2000 Korean Census data and found to be representative of Korean population in terms of geographical region, place of residence, age composition, and education level. Raw scale scores were converted to appropriate T scores (uniform and linear T) using Korean norms. Less variability in skewness across uniform T scores for the clinical and content scales indicated that uniform T scores are more percentile comparable across scales than the linear T scores. When raw scores are converted to T scores using American norms, mean scores were very elevated, with an average of one standard deviation separation between Korean and American samples. Item endorsement differences between Koreans and Americans were also large,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MPI-2 basic scales showed that both for the three-factor and the four-factor solution, Korean men and women showed better convergence than American men and women. Item endorsement differences between Koreans and Americans were large, but endorsement differences between Korean men and women were very similar to those between American men and women. Test-retest and internal consistency results indicated that the stability and internal consistency of MMPI-2 scales were comparable with results obtained in American normative samples. Behavioral correlates for the MMPI-2 clinical scales derived from the spouse ratings were informative concerning the validity of the Korean MMPI-2 clinical scales. In sum, these initial findings provide promising results regarding the cross-cultural equivalence of the Korean MMPI-2.

한국판 MMPI-A의 개발 연구
임지영(호서대학교) ; 김중술(서울대학교) ; 한경희(Central Michigan University) ; 민병배(마음사랑) ; 이정흠(마음사랑) ; 문경주(마음사랑) pp.565-58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한국판 MMPI-A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MMPI-2와 MMPI-A에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문항들에 대해서는 한국판 MMPI-2의 번역문항을 그대로 적용하였고, MMPI-A에만 포함되는 문항들에 대해서는 역번역, 예비연구, 위원회 토의 등을 거쳐 번역이 이루어졌다. 척도의 원점수는 적절한 T점수(선형 T점수, 동형 T점수)로 전환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동형 T점수로 전환된 임상척도와 내용척도의 결과를 제시하였다. 한국 청소년 집단의 MMPI-A척도 평균접수들은 미국 청소년 평균으로부터 1 표준편차 내에 위치하여 한국 대학생이나 성인들의 임상척도와 내용척도의 평균점수들이 미국 성인 규준집단의 평균으로부터 1 표준편차 이상 떨어져 있다는 연구결과와 대조적이었다. 또한 문항반응빈도를 비교했을 때, 성인의 경우보다 청소년의 경우 한미 두 나라 간에 문항반응빈도상에서 차이가 더 적게 나타났다. 남녀를 잘 변별해주는 문항들의 내용은 두 나라에서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전형적인 남성적 또는 여성적 흥미와 행동에 관련된 것들이었다. MMPI-A 기본척도들의 요인구조는 (1) 일반적 부적응 요인, (2) 신체화 경향 요인, (3) 사회적 내향성 요인의 3요인 구조로 확인되었고, 검사-재검사 신뢰도와 내적 일치도 계수를 통해 알아 본 한국 청소년 집단의 신뢰도는 미국 청소년 집단과 비교하여 비슷하거나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친구 평가 문항들은 MMPI-A의 임상척도들과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준거 타당도가 확인되었다. 이런 결과들은 한국판 MMPI-A가 미국 MMPI-A와 마찬가지로 신뢰롭고 타당하게 청소년의 성격과 심리적 증상 및 행동상의 문제를 평가하는 도구임을 나타내는 예비증거라고 하겠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Korean MMPI-A Standardization process and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MMPI-A via comparisons with American data. Translation process of the Korean MMPI-A was divided into two parts: The items of the Korean MMPI-2 that are common to the MMPI-2 and MMPI-A were first adopted, and then the items that are unique to the MMPI-A were submitted to back-translation, pilot studies, and committee discussions. The normative sample of the Korean MMPI-A (775 boys and 759 girls) was selected based on 2000 Korean Census data to be representative of Korean adolescent population in terms of geographical region, place of residence, grade level, and sex. Raw scores were converted to appropriate T scores (uniform and linear T) using Korean norms. Mean Korean adolescent T-scores on the MMPI-A validity, clinical, and content scales all fell within one SD of the U.S. adolescent means. These T scores were much less elevated than those obtained by Korean college students and Korean adults. Item endorsement differences between Korean adolescents and American adolescents were also much smaller than those between Korean adults and American adults. Gender-related item differences for Koreans were very much similar to those for Americans.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MPI-A basic scales revealed that Korean boys and girls showed better convergence than American boys and girls.Test-retest and internal consistency results of the Korean MMPI-A were comparable with the results obtained in American adolescent normative sample. Behavioral correlates for the MMPI-A clinical scales derived from the peer ratings were informative concerning the validity of the Korean MMPI-A clinical scales. These findings were considered to provide promising results regarding the cross-cultural equivalence of the Korean MMPI-A.

실행기능의 차원과 영역별 발달
이명주(김원묵 기념 봉생병원 임상심리실) ; 홍창희(부산대학교) pp.587-602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실행기능의 하위 구성을 살펴보고, 한국의 정상아동의 실행기능 성장 패턴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101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고노고 과제, CCTT-2, 숫자 더하기, 숫자 거꾸로 따라하기, 런던탑, 미로 검사, 국소-전체 과제, 그리고 스트룹 과제의 8가지 실행기능검사를 실시하였다. 확증적 요인분석 결과, 작업기억, 제지능력, 전환능력의 3요인 모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1학년에서 6학년까지 초등학생의 실행기능 수행차이를 비교한 결과 3가지 실행기능에서 명백한 발달을 보였고, 나이에 따라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 이 연구는 실행기능을 3가지 하위 영역으로 나누어 측정하였으며, 한국 아동의 실행기능 성장패턴을 보여주었다. 끝으로 이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dimensions of executive function and development of executive function(EF) in 8-year-old to 12-year-old children. One hundred on children performed eight EF: Go no Go, Children's Color Trail Test-2(CCTT-2), Tower of london, Maze, Digit span, Digit plus test, Stroop, Local-global test.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yielded three interrelated factors, that is labelled working memory, inhibition, and shifting. The scores of EF incresed with age and differences between the grad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data provide initial developmental standards and indicates that EF improve throughout childhood.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