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본 연구는 섭식장애 위험성이 높은 여대생들의 MMPI-2 프로파일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449명의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KEAT-26과 DSM-IV 섭식장애 진단기준에 기초한 섭식행동검사를 실시하여 신경성 식욕부진증 위험집단(25명)과 신경성 폭식증 위험집단(23명)을 선별하고, 섭식장애 비위험집단 중 30명을 무선표집하여 각 집단의 MMPI-2 프로파일을 비교하였다. 두 섭식장애 위험집단의 MMPI-2 평균 프로파일양상은 유사하였다. 평균 비교결과, 타당도 척도 중 F, Fb, Fp척도에서, 그리고 임상척도 중 Mf를 제외한 모든 임상척도에서 섭식장애 위험집단과 비위험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신경성 폭식증 위험집단은 신경성 식욕부진증 위험집단보다 F, Fp, Pa, Sc, Ma 척도가 유의미하게 상승되었다. 내용 및 보충척도의 경우, ASP, SOD, APS를 제외한 대부분의 척도들에서 세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었는데, 특히 신경성 폭식증 위험집단은 신경성 식욕부진증 위험집단에 비해 OBS, HEA, BIZ, ANG, TPA, FAM, MAC-R척도가 상승을 나타냈다. PSY-5 척도 중에서는 PSYC, NEGE, INTR척도에서 섭식장애 위험집단과 비위험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신경성 폭식증 위험집단은 신경성 식욕부진증 위험집단보다 PSYC 척도가 유의미하게 상승되었다. 단계적 판별분석 결과, 편집증적 경향, 불안 및 강박적 경향, 충동성, 그리고 중독적 경향이 세 집단을 변별해주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explore the MMPI-2 profil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a high risk for eating disorders. A sample of 449 female college students completed the KEAT-26 and the eating disorder screening test based on DSM-IV diagnostic criteria Twenty-five women were identified as being at high risk for anorexia nervosa and were identified as being at high risk for bulimia nervosa. Thirty women were randomly selected from those students who a low risk for anorexia or bulimia, the group. Mean MMPI-2 profiles were similar between the two groups with a high risk for eating disorder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three groups on the F, Fb, Fp scales and all the clinical scales except for Mf. The students with a high risk for bulimia significantly elevated scores on the F, Fp, Pa, Sc, Ma scales compared to the students with a high risk for anorexia. Most of the content and supplementary scales except for ASP, SOD, and A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Women with a high risk for bulimia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the OBS, HEA, BIZ, ANG, TPA, FAM, MAC-R scales. Three of the PSY-5 scales (PSYC, NEGE, INT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The with a high risk for bulimia significantly PSYC scores than did the students with a high risk for anorexia. The results of the stepwise discriminant analyses indicated that paranoid features, anxiety and obsession, impulsiveness, and addictive features may be important in discriminating among women with a high risk for bulimia anorexia and control.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also discussed.
최근 마음챙김(mindfulness)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마음챙김을 적절하게 평가하는 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의 필요성이 증가되었다. 마음챙김이라는 구성개념의 다양한 측면들을 간편하게 측정하기 위해 최근 개발된 Cognitive and Affective Mindfulness Scale-Revised(CAMS-R)를 우리나라 말로 번역한 다음, 그 심리측정적 속성들을 검증하기 위하여 세 가지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연구 1에서는 한국판 CAMS-R을 작성한 764명의 대학생 표본을 무선적으로 절반으로 나눈 다음, 12개 문항의 원판 CAMS-R에 대한 선행 연구에서 보고된 위계적 4요인모형과 상관 4요인모형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한 결과, 두 모형 모두 표본 1의 자료에 잘 부합되지 않음이 밝혀졌다. 다시 탐색적 요인분석을 수행한 결과, 두 개의 문항이 제외된 10개의 문항들에 대해 상관된 3요인구조 - 알아차림, 주의, 수용 요인 - 가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확인적 요인분석결과, 표본 1의 자료로부터 도출된 위계적 3요인모형(두 문항의 오차항간 상관을 허용한)이 표본 2의 자료에 잘 부합되었다. 또한 한국판 CAMS-R 전체 척도의 내적 일치도와 2주간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수용할 만하였다. 219명의 대학생들이 참여한 연구 2에서 한국판 CAMS-R 전체 척도는 여러 가지 다른 구성개념들과 예상된 방향으로 상관을 보였으며, 정신건강 지표들을 예측하는데 있어 증분타당도가 양호한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 3에서는 17명의 대학생과 대학원생들이 참여한 한국형 마음챙김에 기초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MBSR)이 끝난 후에 그들의 우울수준과 정적 정서경험 정도는 유의하게 변화되었다. 나아가, 한국판 CAMS-R의 전체 척도와 세 하위척도들은 마음챙김 명상으로 인해 나타난 치료적 변화를 민감하게 탐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므로, 한국판 CAMS-R은 마음챙김의 정도를 신뢰롭고 타당하게 평가하는 도구라고 결론 내릴 수 있다.
With the recent surge of interest in mindfulness, there is an increased need for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ssessment tools for mindfulness. This article presents three studies examining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a Korean version of the Cognitive and Affective Mindfulness Scale-Revised (CAMS-R), a brief self-report measure of mindfulness that captures the breadth of the construct. In Study 1, 764 undergraduate students complet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CAMS-R(K-CAMS-R) were randomly split into two subsamples.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es(CFAs), both a hierarchical 4-factor model and a correlated 4-factor model reported in previous study of the 12-item CAMS-R demonstrated a poor fit to the data of split sample 1. Then, exploratory factor analyses of the 10-item K-CAMS-R revealed a three-factor solution - “awareness,” “attention,” and “acceptance”. A subsequent CFA indicated that the hierarchical three-factor model with the correlated error between two items freely estimated provided an adequate fit to the data of split sample 2. The K-CAMS-R demonstrated acceptable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over a two-week period. Study 2 found that the K-CAMS-R was correlated in expected ways with several other constructs and had good incremental validity in the prediction of the indices of mental health in a sample of undergraduates(n=219). In Study 3, significant changes in levels of depression and positive affect were reported in a sample of 17 undergraduate or graduate students after complet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program(K-MBSR). The K-CAMS-R total and 3 subscales demonstrated sensitivity to change following the K-MBSR.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K-CAMS-R is a reliable, valid instrument for assessing mindfulness.
이중인지매개모델(Seo & Kwon, 2005b, 2005c)은 일차분노사고와 이차분노사고가 비합리적 신념과 공격성 사이를 순차적으로 매개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본 연구는 대학생 내담자 209명과 청소년 환자 50명을 대상으로 이중인지매개모델을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해서 검증하였다. 그 결과, 두 집단 모두에서 일차적 분노사고는 비합리적 신념과 이차적 분노사고 사이를 부분매개하고 있었으며 이차적 분노사고는 일차적 분노사고와 공격성 사이를 완전매개하고 있었다. 이는 서수균과 권석만(2005b, 2005c)의 이중인지매개모델을 지지하는 결과로, 이차적 분노사고가 공격성 유발의 인지적 과정에 있어 가장 근접한 요인(proximal factor)이며 이중인지매개모델에 기반을 둔 분노조절프로그램(서수균, 권석만 2005c)이 청소년 환자 집단에도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The dual cognitive mediation model (Seo & Kwon, 2005b, 2005c) assumes that primary anger-thoughts and secondary anger-thoughts may mediate sequentially between irrational beliefs and aggression. The present study verified the dual cognitive mediation model for 50 adolescents patients and 209 undergraduate-students clients, using the regression analysis method of Baron and Kenny (1986). The results were: 1) primary anger-thoughts mediated partially between irrational beliefs and secondary anger-thoughts and 2) secondary anger-thoughts mediated perfectly between primary anger-thoughts and aggression. These results support the dual cognitive mediation model and suggest that secondary anger-thoughts seem to be the most proximal factor in the cognitive process of aggression provocation. This suggests an anger management program based on the dual cognitive mediation model can be used for adolescent patients.
본 연구는 성범죄자들에게 성범죄에 대한 외현적 및 암묵적 태도를 측정하고, 이 태도에 대한 일반성인과의 차이, 그리고 두 태도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성범죄자 집단은 소아성범죄 초범자들이며, 일반성인집단은 성범죄자들의 연령을 고려하여 구성하였다. 성범죄자와 일반성인 집단 별로 성범죄에 대한 암묵적 태도를 측정한 결과, 성범죄 IAT(Implicit Association Test)의 경우 비록 유의미하진 않았으나(t(73)=2.19, p=.062) 어느 정도 경향성을 보였으며, 소아기호 IAT에서는 두 집단 간 차이가 유의미하였다(t(73)=2.30, p<.05). 즉, 일반성인 집단과 다르게 성범죄자 집단이 성범죄 및 소아기호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지니고 있었으며, 특히 강간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일수록 성범죄를 자행하려는 의도나 실제 자행한 경험이 많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런 결과로 인해 성범죄자들의 성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측정하는데 있어 외현적 태도보다 암묵적 태도를 측정하는 것이 더 예측적임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또한 암묵적 태도는 잘 변화하지 않으므로 재범 위험의 가능성과 지속적인 관리의 필요성을 암시해준다.
In this study, we measured implicit and explicit attitudes about sexual violence in sex offenders via the Implicit Association Test (IAT), in order to identify any differences between sex offenders and ordinary adults, and to reveal any relationships between offenders' implicit and explicit attitudes toward same. The sex offender group was made up of pedophile first offenders. Measurement results of implicit attitudes of sexual violence between the sex offender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uggests that sex offend IAT shows tendency and pedophile IAT has difference significantly. This suggests that, in contrast to the controls, the sex offenders had a distorted understanding of sexual violence and pedophilia. The more positively the sex offenders accepted rape, the more attempts they had made to commit sexual violence and the more past experience they had with sexual violence. From these results, we may be better able to predict a sex offenders' distorted understanding of sex by measuring implicit rather than explicit attitudes. These results also show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such offenders will commit repeated sexually violent acts, because implicit attitudes are not easily changed.
본 연구에서는 섭식문제가 있는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Young(1990)이 제안했던 초기 부적응 도식을 경험적으로 확인해서 섭식문제를 초래케 하는 기저의 원인에 대한 근원적 수정과 변화를 줄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다. 먼저 450명의 여대생을 대상으로 신경성 식욕부진성향집단(AN), 신경성 식욕항진성향집단(BN), 식이제한을 하는 신경성 식욕항진성향집단(RBN) 그리고 정상집단을 선발하고 각 집단의 부적응 도식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정상집단에 비하여 섭식장애 집단의 도식이 더 부적응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섭식장애 집단에서는 AN집단이나 BN집단에 비해서 RBN집단에서 도식이 더 높은 점수를 보여서 더 부적응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더 자세히 살펴보면, 섭식장애 세 집단에서 불신/학대 도식이 동일하게 부적응적인 것으로 나타난 반면, 유기, 예속/복종, 이 2개 도식은 BN집단에 비하여 AN집단, AN집단에 비하여 RBN집단에서 더 부적응적인 것으로 나타나서(BN<AN<RBN), 이 도식들이 식욕항진성향 보다는 식욕부진성향과 더 관련이 있을 것으로 시사되며, 특히, 예속/복종 도식은 정상집단과 BN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으로 봐서, 식욕부진성향에서 특징적인 도식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융화/비분리, 정서적 억제, 부족한 자기통제, 이 3개 도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진 않았으나, AN집단에 비하여 BN집단, BN집단에 비하여 RBN집단에서 더 부적응적인 것으로 나타나서(AN<BN<RBN), 이 3개 도식이 식욕부진성향 보다는 식욕항진성향과 더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끝으로 섭식문제와 부적응 도식, 심리도식에 대처하는 방식간의 관계성과 본 연구가 시사하는 바와 제한점이 논의되었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이 제시되었다.
In this study, we empirically investigated early maladaptive schemas in subjects with eating problems to help identify the underlying origin of such problems. First, we identified groups of subjects having anorexic tendency(AN), bulimic tendency(BN), restricting bulimic tendency(RBN) and normal group from 450 female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derived using the Young Schema Questionnaire(YSQ), indicated that the eating disorder groups had higher scores than the normal group did and, among the eating disorder groups, the RBN group had higher scores than did the AN or BN group on YSQ scores. In detail, among the 3 eating disorder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regard to mistrust/abuse scores. On the other hand, the AN group showed more maladapted scores than the BN group did with regard to abandonment, subjugation, while the RBN group had the most maladapted scores of all in these areas(i.e., BN<AN<RBN). In fac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BN group and the normal group with regard to subjugation scores. This suggests such schemas are mo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AN tendency than with the BN tendency. Though scores pertaining to enmeshment, emotional inhibition and insufficient self-control were more maladapted in BN than AN and most maladapted in RBN(AN<BN<RBN), these differ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Nevertheless, this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these 3 schemas may be mo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BN tendency than with the AN tendency. We concluded by not only discussing the possible causality between eating disorders and maladaptive schemas, coping style on maladaptive schema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but presenting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본 연구는 마음챙김에 기초한 인지치료(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MBCT)가 일반 대학생의 정서조절 능력의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MBCT의 우울증 재발방지에 대한 이론을 우울, 불안, 분노에 대한 인지치료의 이론으로 수정 보완 한 후, 19명의 MBCT 집단과 20명의 통제집단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MBCT 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마음챙김의 주의집중과 비판단적 수용이 향상되었으며, 우울과 불안이 감소하였고 정서지능이 증가하였다. 또 이 변화는 4주 후의 추수 기간에도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MBCT 집단의 회기 내 변화를 시각적 검사를 통하여 살펴 본 결과, 마음챙김의 주의집중과 정서지능, 그리고 우울 및 불안은 2회기 이후 매 회기가 진행되면서 향상되기 시작하였으며, 마음챙김의 수용은 6회기 이후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MBCT가 일반 대학생의 정서조절 능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다양한 대상과 심리장애의 치료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해 주고 있다. 마음챙김의 주의집중과 비판단적 수용, 그리고 마음챙김 요소를 인지치료 이론으로 설명하는 것이 정서조절의 향상에 대한 MBCT의 치료적 기제로써 논의 되었다.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MBCT) on emotion regulation in students. After 8 weeks of MBCT modified by the cognitive theories about emotion (depression, anxiety, anger), the following effects were observed in subjects: nonjudgmental acceptance of mindfulness increased emotional intelligence reduced depression and reduced anxiety. These effects continued through 4 weeks follow-up. Visual inspection for continuous assessment within sessions showed that awareness, emotional intelligence, depression, and anxiety improvedfrom the second session, but nonjudgmental acceptance did not show improvement until the sixth session. This result indicates that MBCT was effective for improving emotion regulation in students, and it could potentially work for various populations and different psychological disorders. In this study, we also discussed the therapeutic mechanism of emotion regulation in MBCT.
본 연구에서는 탈북자의 문화적응을 측정하기 위해, 벤쿠버 문화적응척도(Vancouver Index of Acculturation)를 탈북자에 적절하게 번안하여 탈북청소년 70명을 대상으로 척도 타당화 작업을 실시하였다. 탈북자 문화적응 척도의 신뢰도 계수(Cronbach α)는 척도 전체 .63, 북한문화적응 하위척도 .80, 남한문화적응 하위척도 .82로 나타났다. 북한문화적응, 남한문화적응의 두 개의 하위척도를 잘 대표하는 문항을 선정하기 위해 문항-하위척도간 상관이 낮은 문항 4개를 제거한 후, 탈북자 문화적응척도의 2요인 구조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적합도 지수 CFI .865, TLI .830, RMSEA .080으로 나타나, 남한문화적응과 북한문화적응의 2개의 요인 구조가 적절한 모델임이 입증되었다. 구성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문화적응 관련 변인, 탈북자 심리적 문화적응전략 유형척도, 북한소속감 척도와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관련 변인들이 대체로 유의한 결과를 보여 구성타당도를 지지하였다. 한편, 자기효능감과는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아 이질적인 구성개념과 변별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탈북자 문화적응척도가 남한 공교육경험이 있는 집단과 공교육경험이 없는 집단을 잘 변별해주는지 살펴본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여 두 집단을 타당하게 구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후속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Vancouver Index of Acculturation (VIA) was developed to measure the acculturation of immigrants settling in Canada.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develope and validate a Korean version of the VIA, in order to measure the acculturation of defectors from North Korea who settle in South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70 North Korea adolescent defectors. Reliability, assessed by Cronbach' α, was .63, .80, .82 for the full scale, the North Korea acculturation subscale and the South Korea acculturation subscale, respectively, which confirm the Korean VIA's reliability. Item refinement resulted in a 16-item version of the North Korea defector acculturation scale because 4 items showing an item-subscale correlation lower than .40 were eliminated. A two factor structure model exhibited a reasonable fit on the basis of overall fitness criteria (CFI = .865, TLI = .830, RMSEA = .080) acquired by using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Korean version of the VIA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cculturation-related variables, North Korea defectors' acculturation strategy type and belonging to North Korea results. However, the Korean VIA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elf efficacy, which confirm discriminant validity. These results suggest satisfactory construct validity. Finally, criterion validity was supported by using the group that had a South Korea public school education and group that didn't.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The current study presents an integrated executive function model that explains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deficits in two executive functions (working memory and inhibition), ADHD symptoms, and two conditions (reading difficulty and substance abuse) that are commonly comorbid with ADHD in adulthood. The validity of the integrated model was tes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n adult sample consisting of consecutive referrals to a university-based research project. The final model suggested that working memory problems directly contribute to reading difficulty as well as to inattentive symptoms in adults. Direct contributions of inhibition to ADHD symptoms were not supported. However, ADHD symptoms had direct and indirect contributions to substance abuse symptoms. Current findings suggest the crucial role of working memory in the manifestation of ADHD symptoms and comorbid reading problems and also suggest ADHD symptoms'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adult substance abuse. These findings were interpreted as generally supporting the hypothesis of the developmental heterogeneity of executive function profiles associated with the manifestation of ADHD symptoms and comorbidities in adulthood.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장애인의 재기태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증상, 기능, 사회적 지지, 그리고 경제수준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재기태도가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지를 검증하는데 있다. 정신장애인 520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삶의 질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단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삶의 질에 대한 설명력은 재기태도(43%), 경제수준(8%), 기능(8%), 그리고 사회적 지지(2%) 순이었고, 증상은 설명력이 유의하지 않았다. 선행연구들과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를 함께 고려하여 증상, 기능, 사회적 지지, 그리고 경제수준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재기태도가 매개효과를 보일 것이라는 가설적 모형(재기태도 매개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검증을 위하여 공변량 구조분석을 수행한 결과, 전반적 부합지수는 χ2 = 900.95 (p < .001), GFI = .915, AGFI = .905, NFI = .921, NNFI = .934, CFI = .940으로 χ2를 제외한 모든 부합지수가 양호하였다. 공변량 구조분석에서 얻어진 경로계수를 분석한 결과, 증상을 제외한 나머지 변인들(재기태도, 기능, 사회적 지지, 경제수준)은 삶의 질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경제수준을 제외한 나머지 변인들(증상, 기능, 사회적 지지)은 재기태도를 매개하여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후속연구와 임상실무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identify the effects of attitude toward recovery on quality of life among persons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and 2) to test whether the individual effects of relevant variables (i.e., psychological symptoms, psychological functions, social support, and economic status) on quality of life variable are mediated by attitude toward recovery. Results from a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N = 520 persons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with quality of life as a dependent variable showed that attitude toward recovery explained 43% of the total variance in quality of life. Economic status, psychological functions and social support explained 8%, 8%, and 2% of the total variance, respectively. Psychological symptoms were not a significant predictor.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hese results, a hypothetical model (Attitude toward recovery mediating effects model) was developed. This model predicted that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symptoms, psychological functions, social support, and economic status on quality of life would be mediated by paticipants' attitude toward recovery. A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produced favorable goodness of fit indexes (GFI = .915, AGFI = .905, NFI = .921, NNFI = .934, CFI = .940) except for the chi-square value (χ2 = 900.95, p<.001). Analysis of the path coefficients in this model showed that each direct effect of attitude toward recovery, psychological functions, and social support on quality of life was positively significant, but the direct effect of psychological symptoms on quality of life was not significant. Also, the results showed that each indirect effects of psychological symptoms, psychological functions and social support on quality of life were significant when mediated by attitude toward recovery. However, the indirect effect of economic status, when mediated by attitude toward recovery, was not significant. In conclusion, the proposed attitude toward recovery mediating effects model was supported by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applicability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PTSD 증상과 우울, 불안, 대처방식 및 사회적 지지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현장경험이 있는 서울시와 대구시 소방공무원 396명을 대상으로 하여, PTSD 증상에 따른 인구통계학적 변인, 소방직무 요인을 측정하였으며, 불안, 우울, 대처방식 및 지각된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소방공무원의 PTSD 진단율은 11.1%이었고, 부분적으로 PTSD 증상을 경험하는 사례는 10.4%이었다. PTSD 집단은 비 PTSD 집단에 비해 IES-R 총점과 침투, 회피 및 과각성 증상, 상태불안, 특성불안, 우울, 소극적 대처, 지각된 사회적 지지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PTSD 집단은 준 PTSD 집단에 비해, IES-R 총점, 침투, 과각성 증상, 특성불안, 우울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준 PTSD 집단은 비 PTSD 집단에 비해 IES-R 총점, 침투, 회피 및 과각성 증상, 상태불안, 특성불안, 우울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IES-R 총점 및 하위 요인에 해당하는 침투, 회피, 과각성 증상을 종속 변인으로 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일관되게 특성불안, 우울, 소극적 대처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그리고 추후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anxiety, depression, coping style,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o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PTSD) symptoms in fire-fighters. A sample of 396 fire-fighters working in Seoul and Daegu provided demographic variables and job characteristics, and completed the Posttraumatic Stress Diagnostic Scale(PDS), Impact of Event Scale-Revised(IES-R),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Ways of Coping Checklist(WCC), and Social Support Scal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incidences of full PTSD and subsyndromal PTSD in the subjects were 11.1% and 10.4%, respectively. Subjects with full PTSD showed more state anxiety, trait anxiety, and depression, and a higher incidence of passive coping style than did those without PTSD symptoms; These subjects also showed more trait anxiety and depression than did subsyndromal PTSD subjects. Those with subsyndromal PTSD showed more state anxiety, trait anxiety, and depression than did subjects without PTSD symptoms. In addition, the results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trait anxiety, depression, and passive coping style were consistently significant predictors of PTSD symptom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의미치료가 신앙성숙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의미치료 집단 프로그램을 기독교인 학생들에게 실시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의미치료 프로그램의 내용은 Frankl이 제시한 창조적 가치, 경험적 가치 및 태도적 가치인 세 가지 가치를 중심으로 그 속에 포함된 인간 실존의 의미를 탐색하는 것으로 구성되었는데, 삶과 죽음, 고통, 죄, 일, 사랑 등 다섯 가지 영역에서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치료집단(8명)과 통제집단(9명)의 결과를 내재적 종교 성향, 종교적 대처, 삶의 의미, 정신건강, 자존감, 사회적 지지, 대인관계에서의 회피와 불편감 측정치로 비교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전과 실시 후, 그리고 추적 검사(1, 3개월)를 시행한 결과, 처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내재성향, 긍정적 종교적 대처, 삶의 의미, 정신건강, 자기 존중감, 사회적 지지, 대인관계에서의 회피와 불편감 척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긍정적인 향상을 보였으며, 추적 평가에서도 그 효과가 유지되고 있어 의미치료 집단 프로그램은 지속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의미치료가 삶의 의미뿐만 아니라 신앙의 성숙과 긍정적 종교적 대처의 향상에도 유용성이 있음을 밝혔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Logotherapy on faith maturity and mental health. In the study, we tested the effectiveness of Logotherapy were tested by conducting Logotherapy group with Christian students. As Dr. Frankl suggested, the Logotherapy programs are consisted of the three values on pertaining to the search for meaning and the five core existential meanings questions to regarding what it means to be a human being. The former is comprised of three values for creativity, experience, and attitude, and the latter are concerned with five meanings of life and death, pain, sin, work, and love. The treatment group(n=8) and control group(n= 9) were evaluated(pre/ post/ follow-up) for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positive religious coping, meaning of life, mental health,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social avoidance & distress. The treatment group showed improvement on the given measures. During the follow-up evaluation periods conducted one month and three months later, the improvement was found to have continued.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Logotherapy is useful for students who seek their meanings of life, faith maturity, and positive religious coping.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of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폭음집단을 대상으로 한국어판 변화동기척도(SOCRATES-K)의 요인구조를 확인하는 것이다. 참여자들은 남학생 폭음자 455명, 여학생 폭음자 281명, 총 736명이었다. SOCRATES-K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양호한 신뢰도를 보이는 2 요인 즉, 실천 요인과 인식-양가성 요인이 추출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는 2 요인 상관모델이 자료에 가장 적합함을 밝혔다. 대학생 폭음 집단의 경우에는 3요인 구조를 지지하는 증거를 찾아 볼 수 없었다. 이 결과를 이전의 연구들과 비교하였고, 연구들 간의 불일치 이유들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factor structure of the Korean-language version of the Stages of Change Readiness and Treatment Eagerness Scale(SOCRATES-K).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455 male and 281 female binge-drinking college students.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SOCRATES-K identified two factors, Taking Steps and Recognition-Ambivalence, that showed good internal consistenc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two correlated factors provided the best fit for the data. There was less evidence to support a three-factor structure. The results were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and the reasons for discrepancies were discussed.
노년기에는 부적 정서 경험을 최소화하고 정적 정서 경험을 최대화하려는 정서최적화 특성이 두드러지고 정서적 삶의 질의 중요성이 증대 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노년기 정서 특성이 노인 우울 집단에서는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65세-83세의 노인 300명(평균 연령 73.1세, 표준편차 4.85)에게 노인우울증척도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에 따라 노인 우울 집단과 정상 집단으로 구분한 후 정서 경험과 정서대처에 있어서 두 집단이 어떻게 다른지, 이러한 특성들이 노년기 주관적 안녕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우울 집단의 노인들이 정상 집단에 비해서 정적 정서를 덜 경험하고 부적 정서를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우울 집단의 노인들도 정상노인들과 마찬가지로 부적 정서에 비해 정적 정서를 더 자주 경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우울 증상을 경험하는 노인들도 정서최적화 특성을 갖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정서 대처방식을 비교한 결과 자기 방어적 대처 사용에 있어서는 두 집단의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노인 우울 집단이 정상 집단에 비해 수동 의존적 대처를 더 자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적 특성과 인구학적 변인들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집단별로 확인한 결과, 정상 집단의 경우에는 경제상태, 학력, 부적 정서, 수동 의존적 대처가 주관적 안녕감 유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진 반면, 노인 우울 집단에서는 경제상태,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경험이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노년기의 주관적 안녕감 유지에 영향을 주는 정서의 중요성 및 노년기 정서적 삶의 질을 높이고 노인 우울증을 예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depressive and normal elderly persons' emotional experiences and coping styles and to confirm the effects of emotional characteristics on subjective well-being in old age. Depression was assessed using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The participants were 99 depressive and 201 normal elderly pers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pressive elderly experienced more negative emotions and fewer positive emotions than the normal elderly did. However, members of both groups optimized their affective characteristics by maximizing positive, and minimizing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s. With regard to coping styles, both groups often used self-defensive coping, but the depressive elderly used passive-dependent coping more than the normal elderly di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economic status, education, negative emotions, and passive-dependent coping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subjective well-being in normal elderly persons, while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in depressive elderly persons. The importance of quality of emotional life and th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for depression were discussed with regard to the elderly.
아임상 수준의 강박 성향을 가지고 있는 여자 대학생들이 강박 장애 환자에서 관찰되는 시지각 특성, 즉 자극의 전체적 형태보다 세부적인 측면에 더 초점을 맞추는 세부-편향적 시지각 특성을 가지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 소재 S여대에 재학 중인 여대생 670명을 대상으로 강박 장애 척도인 Padua Inventory(PI)와 Maudsley Obsessive-Compulsive Inventory(MOCI)를 실시하여 PI에서 124점 이상, MOCI에서 44점 이상의 점수를 보인 학생들을 아임상 강박성향군으로 포함하였고(n=15), PI와 MOCI에서 평균 점수를 보인 학생들을 통제군에 포함하였다(n=15). 시지각 특성은 세부-전체 방안(local-global paradigm)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여러 개의 작은 숫자들이 모여 하나의 큰 숫자 형태를 이루도록 자극을 구성하였다. 자극의 전체 수준과 세부 수준이 일치하는 일치 자극, 전체 수준과 세부 수준이 일치하지 않는 불일치 자극과 중립 자극(자극의 전체 수준과 세부 수준에 위치하는 숫자가 피검자가 반응해야 하는 수준의 숫자와 무관한 경우)의 세 자극 유형이 사용되었다. 과제는 전체 과제와 세부 과제로 구분되었으며 전체 과제에서는 자극의 전체 수준에 대한 반응이 요구되는 반면 세부 과제에서는 자극의 세부 수준에 대한 반응이 요구되었다. 아임상 강박성향군과 통제군 모두 세부 과제보다 전체 과제에서 더 빠른 반응시간과 더 낮은 오류율을 보였으며, 일치 자극 보다 중립 및 불일치 자극에 대해 더 긴 반응시간과 더 높은 오류율을 보였다. 이에 덧붙여서 통제군은 전체 과제보다 세부 과제에서 불일치 자극에 대해 유의하게 더 긴 반응시간과 더 높은 오류율을 보인 반면 아임상 강박성향군에서는 이러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즉 통제군에서는 전체 간섭 효과가 관찰된 반면 아임상 강박성향군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MOCI 점수와 전체 과제의 반응시간 및 오류율 사이의 정적 상관이 아임상 강박성향군에서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아임상 강박성향군이 세부-편향적 시지각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과 강박 장애 환자들에서 관찰되는 세부-편향적 시각 특성이 아임상 강박 수준에 이미 존재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used a local-global paradigm to examine whether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sub-clinical obsessive-compulsive symptoms would overly focus on local aspects of stimuli and be more affected by incongruent stimuli than would normal controls. Participants were 15 sub-clinical obsessive-compulsive subjects as psychometrically defined by the Padua Inventory(PI) and the Maudsley Obsessive-Compulsive Inventory(MOCI) and 15 controls. We employed 3 types of stimuli(congruent, incongruent, and neutral), all large global numbers made up of small, local numbers. For global and local tasks,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respond to the global or local levels of stimuli, respectively. Both the sub-clinical obsessive-compulsive group(OC)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faster response time on the global task as compared to the local task. However, in the global task, the sub-clinical OC group committed significantly more errors than did the control group. No such difference was seen in the local task. In local versus global tasks, the control group showed more errors in response to incongruent stimuli, but the sub-clinical OC group did not show any such difference. Additionally, the sub-clinical OC group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MOCI scores and response times/error rates in the global task but not in the local task.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ub-clinical OC subjects have difficulties in processing global features and the local-biased tendency reported in patients with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is present even before OC symptoms are developed.
Deese-Roediger-McDermott(DRM) 패러다임(Deese, 1959; Roediger & McDermott, 1995)은 피험자에게 결정적 유인단어와 가장 의미적으로 가까운 연합단어들로 이루어진 목록을 학습시키면 목록에 포함되지 않은 결정적 유인단어에 대한 잘못된 회상과 재인이 일어남을 보여주는 실험 절차로, 최근 외상 생존자에게 DRM 패러다임을 적용함으로써 외상적 기억의 본질을 밝히고자 한 몇몇 시도가 있었다. 본 연구는 외상 생존자의 오기억과 정보처리과정을 밝히기 위한 예비 연구로, 외상 단어에 대한 DRM 목록을 개발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 forward 및 backward 연상방식을 사용하여 각 10개의 단어들로 구성된 8세트의 외상 관련 DRM 목록을 구성하였는데, 각 목록의 결정적 유인단어는 다음과 같다: 자살, 유괴, 화재, 전쟁, 장례식, 교통사고, 강간 및 피. 81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DRM 절차를 사용하여 실험을 실시한 결과, 각 단어 세트별로 피험자의 3.7-25.9%가 오회상을 보였고 13.6-70.4%가 오재인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외상 관련 DRM 목록은 향후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환자들의 오기억 연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에 대한 함의가 논의되었다.
In the Deese-Roediger-McDermott(DRM) paradigm(Deese, 1959; Roediger & McDermott, 1995), participants are asked to learn several semantically associated word lists, to recall each list immediately after its presentation, and to recognize list words. On both recall and recognition tasks, participants often falsely recall and/or recognize “critical lures”; nonpresented words semantically associated with each list. Recently, several studies have used the DRM paradigm with trauma survivors, to clarify the features of traumatic mem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rauma-related DRM lists and to provide initial benchmark data for future studie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PTSD) and false memories. Using forward and backward association methods, 10-word lists were developed around these critical lures: suicide, kidnap, fire, war, funeral, traffic accident, rape, and blood. Then, a DRM paradigm using these lists was administered to 81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mistakenly claimed the critical lures had been presented with frequencies of 3.7-25.9% on recall and 13.6-70.4% on recognition. These data will serve as a useful benchmark for designing experiments about false memories in PTSD patients.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