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메뉴

권호 목록

이분법적 사고와 MMPI-2로 측정한 정신병리의 관계
황성훈(한양사이버대학교) ; 이훈진(서울대학교) pp.1-14 https://doi.org/10.15842/kjcp.2009.28.1.001
초록보기
초록

이분법적 사고는 사물이나 대상을 둘로 나누어서 판단하는 양식이다. 이에 따른 양극적 결론은 정서, 행동 등에서 극단성과 부적응을 초래하므로, 정신 병리와 연관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이분법 사고와 MMPI-2로 측정한 정신 병리의 관련성을 탐색했다. 이분법 사고 집단은 L, K척도에서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낮았고, F, 2, 4, 6, 7, 8, 9, 0번 척도는 높았으며, 1, 3, 5번 척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즉, 신체화 등 일부 증상을 제외한 다양한 임상 척도들이 높아서, 이분법 사고의 정신 병리적 편재성을 시사한다. 또한 이분법 사고에 의지하는 사람들은 임상 척도가 유의하게 상승하는 프로화일을 보이고, 스스로 상담치료를 원한다고 밝히는 경향이 있었다. 특히, 이분법 집단의 MMPI-2 프로화일은 각각 0번과 9번 척도가 상승되는 경우가 발견되어서, 자아상의 양극적인 모순을 시사한다. 이에 더해 MMPI-2가 제공하는 120개 척도와 이분법 사고의 상관을 포괄적으로 탐색하였는데, 개념적인 분류와 분석에 따르면 이분법 사고의 정리병리 영역은 전반적인 부적응과 방어의 약화, 부정적 정서, 분노와 소외의 경향, 기분이 들떠있어서 충동조절을 못하는 모습, 지각이 왜곡되고 사고 과정이 흩어지는 경향과 관련되어 있었다.

Abstract

Dichotomous thinking(DT) refers to the tendency to judge objects, people or events in terms of extremes. DT can have psychopathological consequences. The binary conclusions drawn as a result of DT can lead to extreme reactions and maladaptive patterns of emotions and behaviou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DT and psychopathology using the clinical scales of the revised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MMPI-2). The participants were college students assigned to two contrast groups(DT vs normal controls) on the basis of Dichotomous Thinking Index. The DT group showed lower L, K and higher F, D, Pd, Pa, Pt, Sc, Ma, Si scale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This confirmed the expected relationship between DT and various domains of psychopathology. As predicted, dichotomous thinkers showed elevated MMPI-2 profiles and revealed higher level of intention to participate in psychotherapy. A result of particular importance is that the profile of dichotomous thinkers was characterized by the elevation of each Si and Ma scale(Spike 0, Spike 9) which implies contradictory self images. The correlations between DT and the various MMPI-2 scales were investigated as a preliminary exploration of future researches. A conceptual analysis of the correlations found in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psychopathology of DT may be categorized into five domains: 1) global dysfunction, 2) negative affect, 3) anger and alienation, 4) elation and impulsivity, and 5) disorganization of thought.

성격유형, 정서표현, 정서표현갈등 간의 관계 -정신분열병 환자들과 일반인들의 비교
양세경(전남대학교 심리학과) ; 오수성(전남대학교) pp.15-33 https://doi.org/10.15842/kjcp.2009.28.1.0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정서표현, 정서표현갈등 그리고 성격유형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일반인들과의 차이를 비교해보았다. 정신분열병 환자들과 일반인들에게 정서표현질문지와 정서표현갈등질문지, 아이젱크 성격척도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분열병 환자들은 일반인들에 비해 정서표현과 정서표현갈등이 유의하게 낮았다. 일반인들은 정서표현이 적을수록 정서표현갈등이 높았으나, 정신분열병 환자들은 정서표현이 많을수록 정서표현갈등이 높았다. 정신분열병 환자들은 증상의 정도가 심할수록, 부정적 정서표현이 많을수록 정서표현갈등이 높았다. 둘째, 정신분열병 환자들은 일반인들에 비해 정신병적 성향과 내향성향이 더 높았다. 일반인들은 외향성향이 높을수록 정서표현이 많았고, 내향성향이 높을수록 정서표현이 적었다. 정신분열병 환자들은 외향성향이 높을수록, 정신병적 성향이 낮을수록 정서표현이 많았고, 내향성향과 정신병적 성향이 높을수록 정서표현이 적었다. 또한 일반인들은 내향성향과 신경증적 성향이 높을수록 정서표현갈등이 높았고, 정신분열병 환자들은 신경증적 성향이 높을수록 정서표현갈등이 높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schizophrenia patients and normal controls in terms of emotional expressivenes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ersonality type.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included the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EEQ),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AEQ), and the Ey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EPQ).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were much lower in the schizophrenia subjects than in the normal controls. For the normal controls, the lower emotion they expressed, the higher was their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However, for the schizophrenia subjects, the higher emotion they expressed, the higher their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 additional finding was that for the schizophrenia group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increased with severity of symptoms and the degree of negatively expressed emotions. Secondly, the schizophrenia group showed higher levels of psychoticism and introversion than the normal controls. For the normal subjects, scores on the extraversion/introversion dimension were related to emotional expressiveness with high extraversion associated with high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high introversion associated with low emotional expressiveness. For the schizophrenia patients, the higher their extraversion and the lower their psychoticism scores, the higher were their scores for emotional expressiveness. However, the higher their introversion and psychoticism scores, the lower were their emotional expressiveness scores. Further findings were that, for normal subjects, the higher their introversion and neuroticism scores, the higher was their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For the schizophrenia patients, the higher their neuroticism scores, the higher was their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우울한 기분에 대한 반응양식과 에세이 작성처치가 우울변화에 미치는 영향
김수연(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정신과) ; 신민섭(서울대학교병원) ; 조용래(한림대학교) pp.35-54 https://doi.org/10.15842/kjcp.2009.28.1.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우울에 대한 반추적 및 반성적 반응양식집단이 에세이작성 처치조건에 따라 우울기분의 변화가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참가자들이 작성한 에세이 내용이 반응양식집단 및 에세이 처치조건 별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를 검토하였다. 우울한 기분에 대한 반응양식 질문지 점수에 기초하여 반추적 및 반성적 반응양식집단별로 선발된 각 32명의 대학생들, 총 64명의 대학생들의 실험 자료가 최종 분석되었다. 먼저 실험참가자들의 기저선 기분을 측정하고 어휘력 과제를 실시한 직후 그 결과에 대한 부정적 피드백을 제공하여 우울기분을 유도하였다. 그 후, 부정적 피드백 경험에 초점을 둔 에세이와 그 경험과 무관한 중립에세이 처치조건에 각 집단의 참가자들을 무선 할당하였다. 연구 결과, 반추적 및 반성적 반응양식집단 양자 모두 에세이작성 후 우울기분이 호전되었으나, 이러한 기분의 호전정도에 대한 반응양식과 에세이 작성처치의 주효과는 둘 다 유의미하지 않았다. 하지만, 중립에세이 처치조건에서는 반추적 반응양식집단이 반성적 반응양식집단보다 우울호전 정도가 유의미하게 더 큰 경향을 보인 반면에, 초점에세이 처치조건에서는 두 집단 간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초점에세이 처치조건에 속한 참가자들의 에세이 내용을 분석한 결과, 두 반응양식집단 모두 부정적인 내용의 빈도가 높았으나, 문제 해결적 및 긍정적인 내용의 빈도의 경우 반성적 반응양식집단이 반추적 반응양식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의의에 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response styles and essay writing treatments on changes in depressed mood and the contents of essays. The participants were 64 college students, who were divided into either ruminative or reflective response style groups, based on their scores on the Responses to Depressed Mood Questionnaire. All were given false negative feedback about their performance on a vocabulary test to induce a moderately depressed mood. The participants were then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treatment conditions designed either to focus on the negative feedback or to distract from that by writing essays. The results indicated that main effects of both response style and essay writing treatment on improvements in depressed mood were not significant. However, while in the failure experience-focused condit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mood improvement between the two response style groups, there was a margin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eutral condition with the ruminative response style group showing greater improvements in depressed mood than the reflective response style group. A content analysis of the essays in the failure experience-focused condition indicated that the reflective response style group showed both problem-solving and positive contents more frequently than the ruminative response style group. While both of the groups produced a high frequency of negative content, the differences in frequency of negative content were not significant. Finally,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비행청소년의 분노조절과 분노감소를 위한 웃음치료와 인지행동치료의 효과 비교
류창현(경기대학교 범죄심리학과) ; 이수정(경기대학교) pp.55-79 https://doi.org/10.15842/kjcp.2009.28.1.00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촉법소년, 우범소년, 범죄소년으로 구분되는 비행청소년들의 분노조절과 분노감소를 위한 집단치료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것이다. 본 프로그램의 웃음치료에는 복식호흡, 분노조절, 고통 감내, 태극권 웃음요법 등을 포함시켰으며, 인지적 재구조화, 마음ㆍ챙김ㆍ명상을 통한 이완 훈련기법, 자기통제최면, 수용촉진(ACT), 용서치료, 사이코드라마(역할극), 대인관계문제해결 등과 같은 인지행동치료요소가 근간을 이루어 진행하였다. 이 프로그램들이 비행청소년들의 분노조절과 분노감소를 측정하기 위해 자기보고식 검사를 통해 검증하였다. 2006년 3월부터 8월까지, 총 5개월 동안, 각각의 치료프로그램집단의 피험자는 45명씩, 주 1회, 120분씩, 총 10회기를 구성하여 진행하였다. 피험자들은 천안소년교도소에 실제 수형 중인 소년수형자(少年受刑者)들로써 임의로 할당되었다. 범죄유형은 절도 24명(29.36%), 강도 상해 19명(24.41%), 성폭력 15명(17.17%), 병역법위반 5명(6.13%), 살인 5명(6.16%), 사기 3명(3.78%), 강도 살인 3명(3.73%), 공무집행방해 2명(2.45%), 강간 2명(2.42%), 그리고 도주차량, 특수강도, 폭행치사, 강간치상이 각각 1명(1.27%)씩 구성되며, 총 82명(전체 90명 중 탈락자 8명 제외: 웃음치료집단 6명, 인지행동치료집단 2명)대상으로, 연령은 17~24살, 평균 연령은 20.12로 구성되었다. 연구 자료는 치료 전과 치료 후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실시한 후, 집단 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분노사고의 변화에 관한 두 치료집단의 일차적 분노사고와 적대적 자동적 사고척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분노표현의 변화에 관한 치료집단의 분노표출태도척도상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부정적 대인관계 결과예상에서 집단 × 검사시기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지행동치료집단은 치료 후에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부정적 대인관계 결과예상은 증가하였다. 반면에, 웃음치료집단의 분노억제에 대한 부정적 태도 척도점수결과는 판단보류(.06 유의확률)로 검증되었으며, 이에 대해서는 향후 재검증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본 연구의 임상적 의의와 제한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방향에 대해서 제시하였다.

Abstract

While there is a growing accumulation of independent studies to show effectiveness of anger management programs with institutionalized juvenile delinquents, there is a dearth of clinical trials on the therapeutic effects of laughter therapy(LT) in these areas of research. Hence, the specific aim of this clinical trial was to compare the differential therapeutic effects of laughter therapy(LT) and cognitive behavior therapy(CBT) on anger reduction and management in institutionalized juvenile delinquents. Ninety male participants (mean age 20.12 yrs) were recruited from the Cheonan Juvenile Correctional Facility and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n integrative psychotherapy group with laughter therapy(IPG+LT) (n=45) or a cognitive behavior therapy group(CBTG) (n=45). Both groups attended a total of 10 sessions(120 minutes a week) over a 10-week period. The IPG+LT program entailed abdominal breathing laugher, anger control laugher, pain control laugher, and Taichichuan laugher skills. The CBTG program included anger management training, cognitive restructuring,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MBSR), self-control hypnosis,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ACT), forgiveness therapy, psychodrama(role play), and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The outcome measures used were the Primary Anger Thought Scale, the Secondary Anger Thought Scale, the Anger Expression Scale(AX), the Anger Behavior-Verbal Scale(AB-VS), the Hostile Automatic Thought Scale(HATS), the Rosenberg Self-Esteem Scale(SES), and the Revised General Attitude and Belief Scale (R-GABS). While both interventions were associated with improvements in anger control and management over the duration of the study, post-hoc analysis indicated that IPG+LT was superior to CBTG. In conclusion, these novel findings suggest that institutionalized juvenile delinquents can benefit from both LT and CBT. It is further suggested that LT might have produced more a powerful contribution to anger management than CBT by means of its higher greater enhancement of self-esteem, satisfactory relationships and motiva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정서 얼굴에 대한 노인의 선택적 주의 과정 특성
고선규(고려대학교) ; 강효신(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이태호(육군사관학교) pp.81-96 https://doi.org/10.15842/kjcp.2009.28.1.005
초록보기
초록

사회 정서적 선택이론에서는 노화에 따라 정서조절에 대한 동기가 증가하는 경향성이 있으며, 이는 노인으로 하여금 부정적이고 중립적인 자극 보다 긍정적인 정보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이도록 이끈다고 제안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부정 정서 얼굴(분노), 긍정 정서 얼굴(행복감)에 대한 선택적 주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연령차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노인 집단(남 12명, 여 16명), 청년 집단(남 16명, 여 14명)으로 총 58명이었다. 참여자들은 정서 표현 얼굴(부정 정서 얼굴; 분노, 긍정 정서 얼굴; 행복감)과 중립표정의 얼굴 쌍을 본 후 두 얼굴 중 한쪽의 위치에 제시되는 탐침에 반응하였다. 탐침 탐사 과제의 반응 시간 분석 결과 노인 집단의 경우 긍정-중립 얼굴 쌍에서 탐침이 중립 자극 위치에 제시되어 있을 때 유의하게 더 빠른 반응을 보였다. 하지만 청년 집단에서는 긍정-중립, 부정-중립 얼굴 쌍 모두에서 반응 편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서구 문화권에서 수행된 선행 연구와 달리, 우리나라 노인들은 오히려 행복한 얼굴 표정으로부터 멀어지려는 경향성을 보여주어 긍정 정보에 대한 주의 편향이 나타나지 않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Abstract

Socioemotional selectivity theory suggests that people are motivated to derive emotional meaning from life with age, leading them to pay more attention to positive rather than negative/neutral stimul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ge differences in selective attention to faces expressing anger and happiness. A total of 58 subjects(28 older adults and 30 younger adults) participated. Participants saw a pair of faces, one emotional and one neutral, and then a dot probe that appeared in the location of one of the faces. Older adult's responded faster to the dot if it was presented on the same side as a neutral face than if it was presented on the same side as a positive face. There were no significant attentional biases in younger adults. In contrast to previous Western findings, older adults, but not younger Korean adults, looked away from happy facial expressions. This suggests that Korean older adults do not show attentional preferences for positive stimuli.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완벽주의와 분노 표현양상 간 관계에서의 인지적 대처전략의 매개효과 검증
고희경(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현명호(중앙대학교) pp.97-116 https://doi.org/10.15842/kjcp.2009.28.1.0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적 대처 전략이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분노표현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데이터는 총 238명의 대학생(남성 127명, 여성 111명)에게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 인지 정서 조절 질문지, 상황-특성 분노표현 질문지를 작성하게 함으로써 수집했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의 매개 모델에 대한 가설이 세워졌다. 첫 번째 모델은 적응적 인지 대처가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적응적 분노표현 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라는 가정을 근거해 형성되었다. 두 번째 모델은 부적응적 인지 대처가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와 부적응적 분노표현 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설정되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기지향 완벽주의는 적응적 분노표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적응적 대처를 설명하지 못했다. 적응적 인지 대처는 적응적 분노표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자기지향 완벽주의 및 적응적 인지 대처는 적응적 분노표현에 대한 단순 가산 효과를 나타냈다.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는 부적응적 분노표현에 직접적 효과를 가진 동시에 부적응적 인지 대처를 통한 간접적인 효과도 있었다. 다시 말해서, 자기지향 완벽주의는 적응적 분노표현을 증가시키지만, 적응적 인지 대처의 매개 효과는 지지되지 못했다. 반면, 적응적 인지 대처는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와 부적응적 분노표현 간의 관계를 매개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자기지향 완벽주의자와 사회부과 완벽주의자가 실패에 대해 서로 다른 인지적, 행동적 처리과정을 보임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추후 연구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gnitive coping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and anger expression. A sample of 238 undergraduate students(127 men and 111 women) completed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Questionnaire, and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Two mediating models were hypothesized in this study. In the first model, it was assumed that adaptive cognitive coping would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adaptive cognitive coping. In the second model, it was assumed that maladaptive cognitive coping would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maladaptive anger expression.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redicted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coping. The results showed that self-oriented perfectionism directly influenced adaptive anger expression, and tha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influenced maladaptive anger expression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maladaptive cognitive coping. Therefore, while self-oriented perfectionism increased adaptive anger expression, the mediating effect of adaptive cognitive coping predicted in the first model was not supported. However, as predicted in the second model, maladaptive cognitive coping did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maladaptive anger expres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elf-oriented perfectionists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ts cognitively process failure experiences in different way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with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한국판 CBCL 1.5-5의 표준화 연구
김영아((주) 휴노컨설팅) ; 이진((주) 휴노컨설팅) ; 문수종((주) 휴노컨설팅) ; 김유진((주) 휴노컨설팅) ; 오경자(연세대학교) pp.117-136 https://doi.org/10.15842/kjcp.2009.28.1.0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판 영유아 행동평가척도 부모용(CBCL 1.5-5)을 표준화하고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한국판 CBCL 1.5-5의 규준집단(남아 1,232명, 여아 1,201명)은 2005년 대한민국 인구 및 주택 총조사 자료를 참조하여 수집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는 미국판 원 검사의 요인구조가 한국의 경우에도 적절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고, 검사-재검사 신뢰도 값(.67~.85)과 각 하위척도들의 내적 합치도 수준(Cronbach’s α = .56~.94)이 모두 양호하였다. 본 척도의 하위척도들이 내재화 및 외현화의 상위 요인별로 높은 상관을 보였고, 총점을 비롯한 대부분의 척도에서 소아정신과에 내원한 적이 있는 임상집단(n=183)과 정상집단(n=183) 간에 상당한 효과크기 수준의 평균차이를 보여, 수렴타당도 및 변별타당도를 지지하였다. 각 하위척도별 평균점수를 연령과 성별에 따라 비교한 결과 36개월 전후 연령대로 규준을 제시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CBCL 1.5-5의 임상장면 및 연구 장면에서의 활용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norms and te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1.5-5 (CBCL1.5-5). The selection of a normative sample for the CBCL 1.5-5 (1,232 boys and 1,201 girls) was based on data from the 2005 Korean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and this supported that the factor structure of the original CBCL 1.5-5 can be plausibly applied to the Korean version of the CBCL 1.5-5. Reliability was assessed in terms of internal consistency (.56~.94) and test-retest reliability (.67~.85). The subscales of the CBCL 1.5-5 showed high correlations with its higher-order-factors such a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and this provided good evidence of convergent validity. When the CBCL1.5-5 was administered to a clinical sample (n=183) and normative sample (n=183), discriminant validity was confirmed by the mean differences on the subscales between the two samples and by Cohen's effect sizes of these differences. When differences in mean subscale scores for different age and sex groups were explored, the conclusion was that it would be reasonable to use independent norms for two age groups (18-35 months and 36-72 months) for the Korean version of the CBCL 1.5-5. The implications of using the CBCL1.5-5 in Korea both as a clinical tool and a research instrument are discussed.

ADHD로 진단된 아동의 ADS 및 KEDI-WISC의 반응 특성
정선녀(한양대학교) ; 정승아(한양대학교 신경정신과학교) pp.137-151 https://doi.org/10.15842/kjcp.2009.28.1.00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로 진단 받은 아동을 대상으로 ADS의 수행 결과 및 지능 수준에 따라 ADS 결과가 어떻게 변하는지 알아보고, 지능과 ADS 자극 속성(시각 및 청각)과의 관련성을 통해 ADHD 진단에 있어서 ADS를 보다 민감하고 정확하게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소아정신과에 내원한 아동 중 첫 내원 시, 소아 정신과 전문의에 의해 DSM-Ⅳ 진단 기준에 따라 주의력결핍과잉행동(ADHD)로 진단받은 195명이었으며, 이들의 인지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전산화된 한국판 주의력 장애 진단 시스템(ADHD Diagnostic System: ADS)과 한국판 웩슬러 아동용 지능검사(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al Institute-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KEDI-WISC)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지능검사에서 일반적으로 부주의 요인으로 포함되는 ‘산수’ 과제의 경우 주의력 문제를 알아보기 위한 변별력이 떨어지고 있으며, 이는 단순 암기식의 산수 공부를 중요시하고 과잉 학습 시키는 한국만의 특수한 문화적 차이가 산수 과제에 개입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한국 아동에게 있어 산수 과제는 주의력을 평가하는데 민감한 요인이 되지 못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ADS 하위 요인들 중, 시각 및 청각 과제 모두에서 주의력을 평가하기 위한 가장 좋은 단일 측정치는 '반응시간 표준편차'이다. 셋째, KEDI-WISC와 ADS간의 상관 분석 결과, 몇몇 소 검사에서만 낮은 상관을 보인 시각 과제와는 달리 청각 과제의 경우 KEDI-WISC 대부분의 소검사와 높은 상관을 보였다. 또한 지능이 우수한 집단일수록 청각 과제에서 T점수 60점 미만의 정상 수행을 보인 반면, 시각 과제의 경우 지능 수준과 상관없이 모든 집단에서 주의력 문제를 보였다. 연구 결과에 나타난 바를 토대로 ADHD로 진단된 아동들의 KEDI-WISC와 ADS 반응을 해석할 때 주의해야 할 점과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how ADS results change according to ADS assessments results and intelligence level of children diagnosed with ADHD, and how results of intelligence level and visual and auditory can show more accurate compare to ADS in analyzing diagnose ADHD. The participants were 195 clinically diagnosed ADHD children who visited the child-adolescent psychiatry clinic of a university medical center.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ADHD children were assessed using the ADS and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KEDI-WISC).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showed scores on the arithmetic subtest of the KEDI-WISC showed no significant discriminant sensitivity even though this subtest is associated with the Freedom from Distractibility factor index. Due to difference between the cultural aspects of the academic environment in Korea where children are concentrating heavily in arithmetic. Secondly, the best diagnostic measure in both the visual ADS and auditory ADS scores showed that the 'standard deviation of hit reaction time'. Finally, whereas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auditory ADS scores and the KEDI-WISC subtests were generally high, those between the visual ADS scores and the KEDI-WISC were found to be low for four of the subtests.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children with high IQ scores obtained T scores of less than 60 on the auditory ADS, whereas on the visual ADS children obtained T scores over 60 regardless of IQ level. The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우울 증상과 사회적 기술이 스트레스 생활사건에 미치는 영향
김영란(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 정신과) ; 이영호(가톨릭대학교) pp.153-170 https://doi.org/10.15842/kjcp.2009.28.1.009
초록보기
초록

우울증이 스트레스 사건을 예측한다는 스트레스 유발 가설과 스트레스 유발 과정의 기제로서 사회적 기술이 우울과 스트레스 사건 간의 관계를 중재한다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각 연구대상자를 1개월에 걸쳐 2회 측정하는 단기 종단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학생 224명을 대상으로 주요 스트레스 사건, 우울 증상, 사회적 기술을 측정하였으며, 교차지연 상관패널 분석, MANOVA,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트레스가 1개월 후의 우울 증상을 예측하였고, 우울 증상이 1개월 후의 스트레스를 예측하였다. 둘째, 각 참가자들이 1개월 동안 경험한 스트레스 사건을 사건의 발생에 자신이 원인을 제공하는가의 여부에 따라 독립적 사건과 의존적 사건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독립적 사건에 있어서는 우울집단과 정상집단 간 차이가 없었으나 우울집단이 정상집단보다 더 많은 의존적 사건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울 증상의 세 가지 하위요인(부정적 태도, 수행결함, 신체증상)이 스트레스 사건에 미치는 차별적 효과를 검토한 결과, 수행결함이나 신체증상보다 부정적 태도가 스트레스 사건의 유의한 예언 요인이었다. 넷째, 스트레스 유발 기제로서 사회적 기술의 중재효과를 검토했을 때, 사회적 기술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표현성 및 정서적 조절성, 사회적 표현성, 사회적 조절성이 우울 증상의 스트레스 사건에 대한 영향을 조절하는 중재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의 임상적 함의와 본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was a prospective study designed to test the stress generation theory which suggests that depression predicts stressful life events and to investigate the role of social skills as a mechanism of stress-generation in depression. The participants were 224 under-graduate students who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about major stressful life events, depression and social skills on two occasions, one month apart.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ross-lagged panel correlation analysis, M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tressful events predicted subsequent depression, and depression predicted subsequent stressful events.(2) Depressed people had more dependent events and more interpersonal events after one month than non-depressed people, but depressed people did not have more independent events than non-depressed people. (3) In terms of the three factors on the BDI, negative attitudes towards self predicted subsequent stressful life events more than the other two factors, performance impairment and somatic disturbance. (4) Although social skills in general were not shown to have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bsequent stressful events, moderating effects were found for various sub-factors of social skills such as emotional expressivity, social expressivity, emotional control and social control. The clinical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한국판 CBCL 1.5-5의 변별타당도 및 임상적 유용성
이진((주) 휴노컨설팅) ; 김영아((주) 휴노컨설팅) ; 오경자(연세대학교) pp.171-186 https://doi.org/10.15842/kjcp.2009.28.1.01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근래에 한국판으로 개발된 영유아 행동평가척도 부모용(CBCL 1.5-5)의 변별타당도를 검증하고 임상 장면에서의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종합병원 소아 정신과에 내원한 1.5~5세 영유아 228명의 임상집단과 이 집단의 성별․연령과 동일하게 대응시킨 228명의 정상집단을 규준산출을 위해 수집된 2,433명의 모집단에서 무선적으로 선별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ANOVA 분석 결과 한국판 CBCL 1.5-5의 모든 하위척도 평균 점수는 임상집단이 정상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판별분석과 ROC 분석에서도 신체증상 및 수면문제 소척도를 제외한 모든 하위척도를 통한 임상집단과 정상집단 변별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이 확인되었고, 특히 DSM 전반적 발달장애 및 주의집중 하위척도의 변별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승산비(odds ratio) 분석을 통해 CBCL 1.5-5에서 임상범위의 판단기준으로 제시하고 있는 T점수로 임상집단과 정상집단을 예측해본 결과, 역시 신체증상 및 수면문제 척도를 제외한 모든 하위척도의 승산비가 유의하였고, 하나의 하위척도라도 임상범위 점수에 해당하는 경우를 임상집단으로 분류하는 기준으로 평가했을 때 승산비가 더욱 높아져 각 하위척도들의 임상적 변별력이 지지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확인된 한국판 CBCL 1.5-5의 변별 타당도 및 임상적 유용성과 그에 대한 한계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validity and clinical ut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for Ages 1.5-5 (CBCL 1.5-5) by demonstrating that the total and subscale scores of the checklist provide valid criteria for classifying referred and non-referred group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a referred group of 228 preschoolers (153 boys, 75 girls, age range 1.5-5 yrs, mean age 3.3 yrs) and a non-referred group which was demographically matched for sex and age (n=228, mean age 3.3 yrs). An ANOVA, ROC curve analysis, discriminant analysis, and odds ratio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syndrome scale data obtained on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supported the efficienc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BCL 1.5-5 in referral status screening and its clinical validity. The overall results showed that, with the exception of the somatic complaints and sleep problem scales, the sub-scales of the Korean version of CBCL 1.5-5 were effective in discriminating between clinical and non-clinical groups, and the DSM pervasive developmental problems and DSM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problems scales were the most successful. The clinical cutoff-score-criteria adopted for the Korean version of CBCL 1.5-5 were shown to be statistically valid. Further studies with a larger clinical sample and more detailed diagnostic information will be necessary in order to clarify why some sub-scales were more successful than others in discriminating the referral status of the pre-schoolers. The implications of using the CBCL 1.5-5 in Korea as a clinical and research tool were discussed.

뉴로피드백을 통한 전두엽 EEG 비대칭 조절이 동기에 미치는 효과
지연경(분당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 최승원(대전대학교) ; 안창일(고려대학교) pp.187-203 https://doi.org/10.15842/kjcp.2009.28.1.0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뉴로피드백을 통한 전두엽 뇌파 비대칭의 변화가 접근-회피 동기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17명의 오른손잡이 피험자들은 준무선적으로 LEFT 집단(좌측 전두엽의 활동을 증가시키는 집단)과 RIGHT 집단(우측 전두엽의 활동을 증가시키는 집단)으로 할당되었으며, 3일간 총 15회기(4분씩 5회기/1일)에 걸쳐 뉴로피드백을 수행하였다. 피험자들은 뉴로피드백 실시 전후에BDI-II, BIS/BAS 척도(Behavioral Inhibition System/ Behavioral Activation System scale), 정서 필름(긍정적인 정서, 부정적인 정서, 중성적인 정서)에 대한 정서 평정을 실시하였다. 뉴로피드백 훈련결과 LEFT 집단은 우반구 알파파 활동이 증가되었으며 RIGHT 집단은 좌반구 알파파 활동이 증가되었다. 동기의 측정결과 LEFT 집단은 RIGHT 집단에 비해 BAS 점수가 향상되었으며, 정서필름에 대한 반응에서는 뚜렷한 정서가를 가진 자극에 대한 반응성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LEFT 집단의 접근 동기 경향성이 증가하였음을 시사하며, 전두엽 뇌파 비대칭이 동기 방향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임상적 의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manipulating the frontal EEG asymmetry by neuro-feedback on the approach/withdrawal motivational response, and to ascertain the frontal asymmetrical activity associated with the motivation direction. 17 right-handed participants were partially randomly assigned to receive neurofeedback training, and this training was designed to increase the left frontal activity relative to the right frontal activity (the LEFT group) or they received train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RIGHT group). 3 consecutive days of neurofeedback training was done, and this was consisted of 5 4-min sessions (a total of 15 sessions). All the participants completed the BDI-II and, BIS/BAS and the affective rating scale for the positive, negative and neutral emotionally evocative film clips at the first and last day. As a result, the individuals in the LEFT group increase their left frontal activity relative to the right frontal activity, and the and individuals in the RIGHT group increase their right frontal activity relative to their left frontal activity. Consequently, the LEFT group reported a higher BAS score and stronger affect in response to obvious emotional film clips than did the RIGHT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groups and the BIS score. These results suggest frontal asymmetrical activity is related to the motivational direction and it is not related to the affective valence.

지역사회 유아 ADHD 선별에서 CBCL 1.5-5 유아용 행동평가척도의 유용성
장은경(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하은혜(숙명여자대학교) pp.205-221 https://doi.org/10.15842/kjcp.2009.28.1.01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부모가 유아의 행동을 평가하는 CBCL 1.5-5 유아용 행동평가척도를 활용하여 지역사회에서 유아 ADHD를 선별할 때 그 유용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충청북도 지역에 있는 유치원, 어린이집의 만 4세와 5세(남아 196명, 여아 165명)등 총 361명이었다. 사용된 척도는 CBCL 1.5-5 유아용 행동평가척도(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Preschool), 단축형 코너스 부모 평가척도(Abbreviated Conners`s Parent Rating Scale), 주의력 결핍 장애 평가척도-가정판(Attention Deficit Disorder Evaluation Scale-Home Version: ADDES-HV), 가정 상황 질문지(Home Situations Questionaire: HSQ), C-TRF 1.5-5 교사용 행동평가척도(Korean Caregiver-Teacher Report Form 1.5-5)였다. CBCL 1.5-5 유아용 행동평가척도의 공인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ADHD 평가척도들(코너스 부모 평가척도, ADDES-HV, HSQ)과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CBCL 1.5-5 유아용 행동평가척도의 주의집중, 공격성, 외현화 문제, 총문제행동 척도와 ADHD 평가척도들은 대부분의 측정치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변별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ADHD 평가척도들(코너스 부모 평가척도, ADDES-HV, HSQ)의 절단점을 기준으로 ADHD 집단과 일반집단을 구분한 뒤 주의집중, 공격성, 외현화 문제, 총문제행동 척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ADHD 집단이 일반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지역사회 ADHD 선별에서 CBCL 1.5-5 유아용 행동평가척도의 민감성(sensitivity)과 특수성(specificity)을 검토한 결과 상위 90%tile인 주의집중 척도 4점, 공격성 척도 15점이 최적의 절단점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 등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verify the diagnostic utility of the CBCL 1.5-5 in screening of ADHD preschoolers. The subjects were the 4-5 year old children who were enrolled in the kindergartens and day-cares in the Choong-Chung-Do region, and 361 parents participated in evaluating their children. The parents evaluated their children with various scales; the 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Preschool: CBCL 1.5-5, the Abbreviated Conner's Parent Rating Scale, the Attention Deficit Disorder Evaluation Scale-Home Version: ADDES-HV, the Home Situation Questionnaire: HSQ, and the Caregiver-Teacher Report Form 1.5-5: C-TRF 1.5-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s among the well known ADHD scales(Corner's Parent Rating Scale, ADDES-HV, HSQ) and the CBCL 1.5-5 showed that most scales(CBCL 1.5-5`s, Internalizing Problems, Externalizing Problems, Total Behavior Problems and ADHD scales) had meaningful positives correlations. In order to examine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CBCL 1.5-5,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CBCL 1.5-5 and C-TRF 1.5-5, which teachers and caregivers use to evaluate their students, were somewhat low. Second, on the results for the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CBCL 1.5-5, the ADHD group had significantly high scores than the normal group for Attention Problems, Aggressive Behavior, Externalizing Problems and Total Behavior Problems. Third, in screening ADHD with using the CBCL 1.5-5,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examined, and when raw score of 4 for the Attention Problems and the raw score of 15 for the Aggressive Behavior were set as the 90th percentile,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shown to be meaningful.

수형자 자살 위험 선별 척도 개발
송한수(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 ; 이정애(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 pp.223-244 https://doi.org/10.15842/kjcp.2009.28.1.01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수형자들의 자살 위험을 예측하고 자살 위험성이 높은 수형자를 선별하여 자살을 사전에 예방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먼저, 연구 1에서는 우울감, 무망감, 충동성, 자살 및 자해를 차후 자살 위험의 중요 요인으로 보고, 수형자들의 자살 위험을 예측하는 예비척도를 구성하였다. 이항분석을 통해 예비문항을 선정한 후, 예비문항을 재구성하여 ○○교도소와 ○○여자교도소에 수감 중인 수형자 267명(남자 142명, 여자 125명)을 대상으로 재구성된 질문지를 실시, 분석하였다. 연구 2에서는 전국의 수감소에서 자살 위험이 높은 수형자에게 질문지를 추가로 실시하여 396명을 대상으로 본 척도가 자살 위험이 높은 수감자와 그렇지 않은 수감자를 변별해주는 민감도와 특이도를 평가하였다. 요인 분석 결과, 무망감, 충동성, 우울감, 자살 및 자해 요인으로 구성된 총 32문항의 척도가 개발되었다. 개발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도 양호하게 나타났다. 수형자 자살위험 선별 척도의 AUC는 .95로 높게 나타나 본 척도가 수감자의 자살 위험 선별 척도로 유용함을 시사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a scale that could predict and screen offenders’ suicidal risk level and prevent their suicide from occurring by using this scale. In the first study, the hopelessness, depression, impulsivity, suicide and self-injury variables were considered essential to the risk of suicide, and the pilot scale was composed with using them. After the pilot items were selected through binomial analysis, 267 offenders(142 males and 125 females) in ○○ women’s correctional institution and ○○ men’s correctional institution participated in the scale development. In the second study, we administered the questionnaire and we examined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to select the offenders who were at a high risk of suicide for a total 396 incarcerated offenders in the country.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help develop a scale with 32 items that focused on hopelessness, depression, impulsivity, suicide ideation and self-injur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eveloped scale turned out to be appropriate. The AUC of the suicide risk screening scale was .95. So we suggest that this scale is useful for screening the suicide risk of incarcerated offenders.

정서장애와 정서조절방략의 관계
이지영(서울디지털대학교) ; 권석만(서울대학교) pp.245-261 https://doi.org/10.15842/kjcp.2009.28.1.01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정서조절방략의 측면에서 정서조절과 정서장애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는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정서조절방략 질문지(ERSQ)와 우울, 불안 및 자존감 측정치로 구성된 부적응 지표와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부정적으로 생각하기’, ‘타인 비난하기’, ‘타인에게 부정적 감정 분출하기’, ‘안전한 상황에서 부정적 감정 분출하기’, ‘폭식하기’, ‘탐닉활동 하기’ 등의 6개 방략이 정적 상관을 보였고, ‘능동적으로 생각하기’, ‘수동적으로 생각하기’, ‘즐거운 상상하기’, ‘문제해결행동 취하기’, ‘조언이나 도움 구하기’, ‘친밀한 사람 만나기’, ‘기분전환활동 하기’ 등의 7개 방략이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연구 2에서는 우울장애 및 불안장애 집단과 정상통제 집단에 ERSQ를 실시하였다. 연구 1에서 부적응적 방략으로 나타난 6개 방략은 정서장애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자주 사용하는 부적응적 방략으로 재확인되었다. 연구 1에서 적응적인 것으로 확인된 7개 방략에 ‘인지적으로 수용하기’가 추가로 통제 집단이 정서장애 집단에 비해 자주 사용하는 적응적 방략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한계점 및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disorders in terms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tudy I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Questionnaire(ERSQ) and the maladaptiveness index, including depression, anxiety and the self-esteem measure, for the undergraduate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6 strategies(‘Think negatively’, ‘Blame others’, ‘Burst into negative emotion to others’, ‘Burst into negative emotion in a secure situation’, ‘Binge eating’ and ‘Be engaged in addictive activity’) are correlated positively and 7 strategies(‘Think actively’, ‘Think passively’, ‘Imagine pleasurable things’, ‘Take problem-solving action’, ‘Ask for advice or help’, ‘Meet intimate person’ and ‘Refresh oneself’) a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it. In study II, 31 patients with depressive disorder, 26 patients with anxiety disorder and 32 normal controls responded to the ERSQ.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with emotional disorders reported 6 strategies, which all turned out to be maladaptive in study I, more often than did the normal controls. On the contrary, the normal controls reported 7 strategies that manifested as adaptive in study I and ‘Accept cognitively’ more often than did participants with emotional disorder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성격장애와 정서의 인식, 경험, 표현, 갈등 간의 관계
황순택(충북대학교) ; 조수덕(충북대학교 심리학과) ; 노은정(충북대학교 심리학과) ; 이숙희(충북대학교) ; 이희화(충북대학교 심리학과) pp.263-280 https://doi.org/10.15842/kjcp.2009.28.1.01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성격장애 및 성격장애 군집과 관련된 정서의 인식, 경험, 표현의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성격장애 진단검사와 정서 인식, 경험, 표현, 그리고 양가감정 측정용 검사를 실시하였다. 상관분석과 변량분석 결과 개별 성격장애 및 군집별로 다른 정서 양상이 관찰되었다. A 군집은 정서 인식, 경험, 표현이 낮으면서 정서 표현 갈등과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특히 분열성 성격장애에서 정서성의 위축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다. 반면 B 군집은 A, C 군집보다 높은 정서 인식, 경험, 표현을 보였으며 정서 표현 갈등은 가장 낮게 나타나 B 군집의 높은 정서성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연기성 성격장애는 정서의 경험과 표현이 양적으로 풍부하고 내용은 긍정적인 것에서부터 부정적인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10개 성격장애 중 정서표현의 어려움을 경험하지 않는 유일한 성격장애임이 시사되었다. C 군집은 B 군집에 비해 낮은 정서 인식, 경험, 표현을 보였다. 다만, C 군집 중 강박성 성격장애에서는 정서표현과 관련된 어려움을 경험하지만 그 정도가 다른 장애에 비해 크지 않으며, 정서의 인식과 표현이 특히 위축되어 있거나 과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선행 연구 결과와 함께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various aspects of emotions in ten Personality Disorders(PDs) and three Clusters of PDs. 614 college students completed the Diagnostic Test of Personality Disorders, the Trait Meta-Mood Scale, the Affect Intensity Measure, the Emotional Expressivity Scale, the Emotion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and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ANOVA revealed different emotional features among the 11 PDs and among the 3 PD Clusters. The characteristics of Cluster A Among the 3 Clusters were lower levels of recognition, experience, expression of emotion and higher levels of conflict in the expression of emotion. Emotional restrictions were very high in the Schizoid PD. Cluster B revealed higher levels of recognition, experience, expression of emotion and few conflict in the expression of emotion. This showed the plentiful emotionality of the Cluster B PDs. These features were obvious in the Histrionic PD. The Histrionic PD was the only PD experiencing no difficulties in expression of emotion. Compared to Cluster B, Cluster C had lower levels of recognitions, experiences, and expressions of emotion. But the Obsessive-Compulsive PD had no restriction of recognition and expression of emotion and no difficulties in emotional expression.

MMPI-2 재구성 임상척도의 타당도
조혜선(충북대학교 심리학과) ; 황순택(충북대학교) pp.281-297 https://doi.org/10.15842/kjcp.2009.28.1.01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MMPI-2 재구성 임상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대학생들에게 다면적 인성검사-2(MMPI-2),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R), Millon 다축 임상 성격 질문지(MCMI-Ⅲ)를 실시하였으며, 총 393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타당도 검증을 위해 재구성 임상척도와 MMPI-2의 임상척도를 비롯한 여러 하위 척도, 그리고 SCL-90-R과 MCMI-III의 하위 척도와의 상관을 분석하였다. MMPI-2의 재구성 임상척도들과 기존 임상척도들 간의 상관을 산출한 결과 개개 재구성 임상척도는 부모 척도(parent scale)가 아닌 임상척도보다 부모 척도인 임상척도와 더 높은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다만 RC3은 부모 척도인 임상척도 3(Hy)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이는 RC3을 제외한 7개 재구성 임상척도가 각각 그들의 부모 척도와 매우 유사한 개념을 측정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또한 재구성 임상척도들 간의 상관은 기존 임상척도들 간의 상관보다 낮게 산출되어 척도들간 변별의 측면에서 재구성 임상척도들이 임상척도들보다 우수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리고 재구성 임상척도들과 MMPI-2의 여러 하위 척도들, SCL-90-R과 MCMI-III의 하위 척도들 등과의 상관분석 결과 개념적으로 상응하지 않는 척도보다 상응하는 척도와의 상관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MMPI-2 재구성 임상척도의 타당도를 입증해주는 것으로, 새로 제작된 이 척도가 기존의 임상척도에 비해 개인의 성격과 정신병리에 관한 보다 특화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validity of the Restructured Clinical(RC) scales of the MMPI-2. The participants were 393 university students who completed the MMPI-2, the SCL-90-R, and the MCMI-Ⅲ. The inter-correlations among the RC scales were lower than those among the original clinical scales. The result is interpreted that the RC scales were well discriminated with each other.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RC scales and the original clinical scales was that each of the RC scales excepting RC3 were most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 parental clinical scales. The RC3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linical scale 3(Hy). The RC scales were strongly correlated with the conceptual corresponding sub-scales more than the conceptual non-corresponding sub-scales of the MMPI-2, SCL-90-R, and MCMI-Ⅲ.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MMPI-2 RC scales have good validity, and these scales could provide specified informations about the personality and psychopathology as compared with the original clinical scales.

신경성 식욕부진증과 신경성 폭식증 위험성이 높은 여자 청소년들의 MMPI-A 프로파일 양상
임지영(호서대학교) pp.299-308 https://doi.org/10.15842/kjcp.2009.28.1.01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신경성 식욕부진증 위험성과 신경성 폭식증 위험성을 가진 여자 청소년들의 MMPI-A 프로파일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818명의 여자 중고생을 대상으로 EAT-26KA와 DSM-IV 섭식장애 진단기준에 기초한 섭식행동검사를 실시하여 신경성 식욕부진증 위험집단(24명)과 신경성 폭식증 위험집단(20명)을 선별하고, 섭식장애 비위험집단 중 24명을 무선표집하여 각 집단의 MMPI-A 프로파일을 비교하였다. 섭식장애 위험집단은 L, K, Mf 척도를 제외한 대부분의 척도가 비위험집단에 비해 상승된 가운데, 신경성 식욕부진증 위험집단은 신경증과 관련된 세 척도(Hs, D, Hy척도)와 Si 척도가 상승되고 Ma 척도점수는 낮은 반면, 신경성 폭식증 위험집단은 F척도 상승과 함께 Hy, Pa, Sc 척도를 중심으로 대부분의 임상척도들이 상승되었다. 신경성 식욕부진증 위험집단은 신경성 폭식증 위험집단에 비해 Si, A-las, A-sod척도가 유의미하게 높았고, 신경성 폭식증 위험집단은 신경성 식욕부진증 위험집단에 비해 F, Pd, Pa, Sc, Ma, A-aln, A-biz, A-fam, MAC-R, ACK 척도점수가 유의미하게 상승되었다. PSY-5 척도 중 신경성 폭식증 위험집단의 AGGR, PSYC, DISC, 척도점수가 다른 두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상승되었다.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는 충동적 성향(Ma)이나 내향적 특성(Si, INTR)이 두 섭식장애 위험집단을 분류하는 데 중요함을 나타냈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MPI-A profiles of adolescent girls who are at high risk for anorexia nervosa and bulimia nervosa. The participants (818 girls) completed the EAT-26KA and the eating disorder screening test based on the DSM-IV, Twenty-four girls were identified as being at high risk for anorexia and twenty girls were identified as being at high risk for bulimia. The comparison group consisted of twenty-four girls who were randomly selected from those students who had a low risk for anorexia or bulimia. The girls with a high risk for anorexia showed elevated scores on the Hs, D, Hy, and Si scales, while those with a high risk for bulimia obtained elevated scores on almost all the clinical scales, with highly elevated scores on the F, Hy, Pa, and Sc scales. The girls with a high risk for anorexia obtain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the Si, A-las, and A-sod scales than did those girls with a high risk for bulimia, whereas girls with a high risk for bulimia showed significantly elevated scores on the F, Pd, Pa, Sc, Ma, A-aln, A-biz, A-fam, MAC-R, and ACK scales compared to those girls with a high risk for anorexia. Girls with a high risk for bulimia also obtain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the AGGR, PSYC, and DISC scales than did the other two groups. The results of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impulse-related issues and introversion may be important in discriminating between the girls with a high risk for bulimia and the girls with a high risk for anorexia.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also discussed.

한국판 수면에 대한 역기능적 신념 및 태도 척도에 대한 타당화 연구
유은승(고려대학교) ; 고영건(고려대학교) ; 성기혜(국립암센터 정신건강클리닉) ; 권정혜(국립암센터 정신건강클리닉) pp.309-320 https://doi.org/10.15842/kjcp.2009.28.1.01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수면에 대한 역기능적 신념 및 태도 척도(Dysfunctional Beliefs and Attitudes about Sleep Scale-16; DBAS-16)를 번안한 한국판 DBAS-16의 요인구조, 신뢰도 및 타당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대학생 313명(남자 251명, 여자 62명)에게 한국어판 DBAS-16, 불면증 심각도 척도(Insomnia severity index,; ISI), 간이증상진단검사(Symptom Checklist-90-R; SCL-90-R)의 우울, 불안 및 적대감 소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살펴보기 위해 4주 후 98명에게 한국판 DBAS-16을 재실시 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원척도와 동일한 4개의 하위요인을 가진 요인구조가 확인되었으며 각 요인에 대해 요인1 “불면증의 원인 및 결과에 대한 오귀인”, 요인2 “수면에 대한 통제감 상실과 걱정”, 요인3 “수면에 대한 잘못된 기대”, 요인 4 “수면제에 대한 태도”로 명명하였다. 한국판 DBAS-16의 신뢰도 계수(Cronbach α)는 .85 그리고 4주 간격 검사-재검사 신뢰도(r)는 .53으로 나타났다. 한국판 DBAS-16의 점수는 SCL-90-R의 우울, 불안 및 적대감 소척도 점수 그리고 ISI 점수와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하지만 중다회귀분석을 했을 때, SCL-90-R의 우울, 불안 및 적대감 소척도 점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DBAS-16 점수가 ISI에 미치는 직접 효과가 유의미하였다. 마지막으로 일반 성인 213명(남자는 84명, 여자 129명)을 대상으로 같은 질문지를 실시하여, 한국판 DBAS-16의 요인구조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적합도 지수는 GFI=.88, CFI=.85, NNFI=.82, RMSEA=.08로 나타나 한국판 DBAS-16의 4요인 구조가 비교적 적절한 모델임이 입증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reliability, validity and factor structure of a Korean version of the Dysfunctional Beliefs and Attitudes about Sleep-brief version (DBAS-16). The Korean version of the DBAS-16, ISI and the, SCL-90-R depression, anxiety and hostility subscale were administered too the313 undergraduate students and 213 adults in the general population.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of the K-DBAS-16 revealed a 4-factor structure: “misattribution or amplification of the insomnia's causes and consequences”, “loss of control and worry about sleep”, “unrealistic sleep expectation”, and “attitude toward medication.” In addition, the results showed relatively high internal consistency, adequate test-retest reliability over a four-week period and, good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K-DBAS-16. Finally,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