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비본질주의 관점에서 본 여성의 자아정체성

Self-Identity of Women: A Non-Essential Interpretation

초록

본 논문에서는 자아는 사회적이며 상황과 상호작용하는 측면을 가진다는 전제하에, 다양한 역할을 담당하는 인간의 조건은 다원적이고 관계적인 자아를 갖게 만든다는 입장을 취한다. 그러나 심리학이론들은 남성보다는 여성들이 관계적으로 자아를 구성하고 있다고 정의내리고 그 이유를 신체구조나 발달과정에서 찾으려 해 왔다. 본 논문은 여성이 남성보다 더 관계적 자아를 갖고 있다면 그 이유는 여성이 남성과의 본질적인 차이 때문에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여성들이 놓여있는 상황과 조건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그 이유를 비본질주의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여성에게 사회가 적용하는 고정관념과, 남성과 비대칭적인 역할, 지위, 파워의 조건이 여성을 관계적으로 만들었을 가능성을 지적하였고, 관계적 자아만이 강요될 때의 위험이 무엇인지를 지적하였다.

keywords

Abstract

This paper starts with an usual presupposition that self is social and interacts with others, and agrees with a thesis that human conditions are such that roles people play are pluralistic and force people to have relational selves. But this paper pays an attention to the theories that women construct relational selves more than men due to physiological states or developmental processes, and proposes an alternative interpretation that if women show relational selves more than men, the cause of the difference may be found not in some essential substances but in historical-cultural contexts in which women ate placed. The difference is analyzed from a non-essential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 by showing that conditions like social stereotypes. non-symmetrical roles, and unequal power status are operating in leading women to be more relational. This paper concludes by suggesting what kind of dangers would result when women's selves are constructed only in relational terms.

keyword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