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권호 목록

여성의 합법성, 안정성 및 성별사회정체성이 양성평등신념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 -여대생을 중심으로-
김금미(성균관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 한영석(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pp.1-2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사회정체성이론에 근거를 두고, 여대생을 대상으로 합법성과 안정성이 성별사회정체성, 양성평등신념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들을 가정하고 실증연구를 통해서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합법성과 안정성이 성별사회정체성에, 그리고 성별사회정체성은 양성평등신념에, 다시 양성평등신념은 양성평등행동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여자 대학생 332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각 세부 경로들에 대한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공변량구조분석을 통하여 전반적 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를 보면 합법성, 안정성의 사회구조적 변인들은 성별사회정체성의 요인들 가운데 집단몰입에 영향을 미치고, 집단몰입이 높을수록 양성평등 신념이 높았으며, 양성평등신념이 높을수록 양성평등 행동수준도 높았다. 종합적인 상호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공변량구조 분석의 결과에서 합법성에서 양성평등신념과 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포함한 최종 모형의 전반적 부합지수는 대부분 양호했다. 이 결과는 여성의 성별사회정체성 가운데에도 집단몰입요인이 양성평등행동에 중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중요한 결과들의 의의를 사회정체성이론의 관점에서 논의하고, 본 연구의 한계와 장래 연구의 과제도 함께 논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covariance structural models that include the effects of legitimacy, and stability of women on gender social identity, and gender equality. In order to test the fitness of this model and each detailed path,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data collected from 332 female. The results revealed that this model was well-fitted to the data. Among the specific examinations of the relationship, most of the hypotheses were confirmed; along with the increase of the effect of legitimacy, group commitment increased. And along with the increase of the group commitment, gender equality increased, too. This result shows usability of social identity theory in male-female intergroup relationship and differentiation of factors of gender social identity. The significanc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and topics to be investigated in the future study were mentioned.

여성간 자기확증 피드백이 관계 친밀도와 개입수준에 미치는 영향
김양하(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김기범(중앙대학교 심리학과) pp.21-4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사람들이 자신이 보는 것처럼 상대도 자신을 봐주길 원한다는 자기확증 이론을 검증하고자 했다. 지금까지 데이트나 결혼관계에 있는 이성간의 관계에 초점을 두어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여성들간의 우정관계에 초점을 두고 친교기간과 자기확증여부, 자기개념 확실성에 따른 친밀감과 개입수준 인지반응과 정서적 반응 등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초기관계에서는 자기 고양친구들에게, 진전된 관계에서는 자기 확증 친구들에게 높은 친밀감과 개입수준을 보였다. 피드백수용자의 자기개념 확실성에 따라 상대에 대한 친밀감과 개입수준의 차이가 있을 거란 가설과 자기고양보다 자기확증피드백을 인지적으로 더 정확하다고 평가할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지 못했다. 그러나 자기확증 평가보다 자기고양 평가를 정서적으로 더 선호할 것이라는 가설은 초기관계에서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elf-verification on close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which common people are eager to be seen by others as seen by themselves. In particular, we focused on female friendship among college women and investigated cognitive and emotional response, closeness and level of commitment based on whether to be self-verified and self-confident.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tendency on high level of commitment and closeness to friends in on-going relationships, whereas, in initial relationship, respondents felt close and committed to friends who valued them.

주관적 삶의 질의 구조모형: 기혼 직장여성을 중심으로
윤창영(대구대학교 응용심리연구소) ; 이순묵(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응용심리연구소) pp.43-7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주관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간의 관계를 밝히고 삶의 질을 포괄적으로 설명하는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혼 직장 여성 605명을 대상으로 조사가 실시되었다. 기존 연구 결과와 면접을 토대로 삶의 질의 선행변수와 측정변수를 구성하였고, 그 변수들을 토대로 모형을 검증하였다. 각각의 변수들은 탐색적 요인분석으로 그리고 모형검증은 LISREL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직장 생활의 질의 선행변수는 직장관여, 동료지원, 상사지원, 직무과부하, 직장기대, 직무통제성 및 가정→직장갈등으로 그리고 가정 생활의 질의 선행변수로는 자녀양육갈등, 부부의사소통갈등, 가족기대, 가정관여, 경제적 갈등, 배우자지원, 시부모지원, 친정부모지원 및 직장→가정 갈등으로 구성하였다. 모형 검증 결과, 직장생활의 질의 선행변수는 동료지원, 직장관여, 가정→직장 갈등으로 그리고 가정생활의 질의 선행변수는 경제적 갈등, 의사소통갈등, 배우자지원, 및 가족기대로 밝혀졌으며, 직장→가정 갈등, 직장생활의 질 및 가정생활의 질은 주관적 삶의 질의 선행변수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추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comprehensive model which expla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dictors of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among married Korean career women. A sample of 605 married Korean career women completed a questionnaire survey.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quality of work life was predicted by job involvement, peer support, supervisory support, job overload, job expectation, job control, and family-work conflict. In contrast, the quality of family life was predicted by child care conflicts, conflicts due to the problems in the communication with one's spouse(i.e., communication conflicts), family expectation, family involvement, financial conflicts, support from one's spouse, supports from one's parents in law, supports from one's parents, and work-family conflicts. In the comprehensive model, the quality of work life was predicted by peer support, job involvement, and family-work conflict. In contrast, the quality of family work was predicted by financial conflicts, communication conflicts, support from one's spouse, and family expectation. Also, subjective quality of life was predicted by work-family conflict, quality of work life, and quality of family work. The implication, some possible limits, and the directions of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여성 영업직종간 전기자료 타당도의 안정성
이종구(대구대학교 심리학과) ; 김명소(호서대학교 경영학부) ; 윤창영(대구대학교 응용심리연구소) pp.73-8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하나의 여성 영업직을 대상으로 개발된 전기자료의 가중치를 다른 여성 영업직에 적용했을 때 타당도가 안정적으로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경험적 점수화 방법을 사용하여 대표본을 가중치 개발집단으로 이용하고 소표본을 교차타당화 집단으로 이용했을 때나 그 역으로 자료를 이용했을 때 모두 가중치 개발집단의 타당도는 물론 교차타당화 집단의 타당도가 유의하게 나타나 한 조직에서 개발된 전기자료의 가중치가 일반화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가중치 개발집단으로 대표본을 이용했을 때가 소표본을 이용했을 때보다 교차타당화 집단의 타당도 감소가 적음과 동시에 타당도도 더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대규모 조직에서 개발된 전기자료 검사는 소규모 조직의 유사 직종에 적용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또 검사개발과정에서 대표본을 확보하기 위해 여러 조직에 걸쳐 전기자료 검사의 개발의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tability of validity in two female sales jobs(1130 life insurance sales women and 282 female tele-marketers). After a series of item analyses were conducted for each group, 37 items and 33 items among 75 biographical items were included to the validation study, respectedly. The resulting validities and cross-validities were generalizable, regardless of whether sample size of item-keying group was large or small. But, large sample-based empirical keys showed larger cross-validity than small sample-based empirical keys. The finding in this study show that large sample-based keying of biodata scale can yield generalizable validities. And, the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consortium-based, multiple-organization biodata researches are needed.

성역할관계에 맥락화된 지각이 범주간/범주내 정보의 회상에 미치는 효과
이해경(한국싸이버대학교 교육학부) pp.87-11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성역할 관계에 맥락화된 지각이 범주간/범주내 정보의 회상에서 성고정관념적 처리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은 성역할 관계에 맥락화된 지각이 비맥락화된 지각보다 정보의 회상에서 성고정관념 처리가 더 증가할 것으로 보았다.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두 개의 실험이 시행되었다. 실험1에서는 가상적인 두개의 성유사범주(오리엔틸족과 아르크족)를 사용하였고, 실험 2에서는 중립적 특성을 사용한 가상범주를 사용하여 성역할관계에 몰입하도록 처치한 성역할맥락화조건과 특정 역할을 부여하지 않은 비맥락화조건으로 각각 조작하였다. 성고정관념 처리 정도는 범주간 정보와 범주내 정보의 회상에서 일어나는 오류량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실험1, 2 모두에서 첫째, 비맥락화조건보다 성역할맥락화조건에서 정보의 회상에 있어서 성고정관념적 처리(범주간 정보회상 오류는 감소하고 범주내 정보회상 오류는 증가)가 증가하였다. 둘째, 비맥락화조건보다 성역할맥락화조건에서는 성고정관념이 성범주와 관련차원(기능과 친화특성)이 비관련차원(중립특성)에서보다 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가설이 지지되었다. 논의에서는 연구결과에 따라 성고정관념적 처리의 원인과 과정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ender role contextualization on recall of intercategory and intracategory infomation. It is hypothesized that contextualized perception than uncontextualized perception on gender role(husband or wife) make more gender stereotype that inter-gender errors(inter-category errors) make less than intra-gender errors(intra-category errors) on traits recall of target person. In order to test this hypothesis, Experiment I and Experiment II were conducted. In experiment I and experiment II, After subjects were allocated to two fictional category(to gender analogy category in Experiment I, to neutral category in Experiment II, both uncontextualization condition and role contextualization condition were manipulated, respectively. The uncontextualization condition only was manipulated by allocating two fictional category both Experiment I and Experiment II. In contrast, The role-contextualization condition was manipulated by giving gender role, husband and wife role, respectively. Gender stereotype as dependent variables was measured by inter-category errors and intra-category errors on traits recall of target. In the result, both Experiment I and Experiment II, first, the role-contextualization condition than the uncontextualization condition make more gender stereotype. Second, the role-contextualization condition than the uncontextualization condition make more gender stereotype in relevant traits(agentic traits and cammunal traits) relative to gender category than irrelevant traits(neutral traits). These hypotheses were confirmed by the given two experimental data. Results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process and the content origin in processing of the gender stereotype.

비본질주의 관점에서 본 여성의 자아정체성
조혜자(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pp.115-130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에서는 자아는 사회적이며 상황과 상호작용하는 측면을 가진다는 전제하에, 다양한 역할을 담당하는 인간의 조건은 다원적이고 관계적인 자아를 갖게 만든다는 입장을 취한다. 그러나 심리학이론들은 남성보다는 여성들이 관계적으로 자아를 구성하고 있다고 정의내리고 그 이유를 신체구조나 발달과정에서 찾으려 해 왔다. 본 논문은 여성이 남성보다 더 관계적 자아를 갖고 있다면 그 이유는 여성이 남성과의 본질적인 차이 때문에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여성들이 놓여있는 상황과 조건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그 이유를 비본질주의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여성에게 사회가 적용하는 고정관념과, 남성과 비대칭적인 역할, 지위, 파워의 조건이 여성을 관계적으로 만들었을 가능성을 지적하였고, 관계적 자아만이 강요될 때의 위험이 무엇인지를 지적하였다.

Abstract

This paper starts with an usual presupposition that self is social and interacts with others, and agrees with a thesis that human conditions are such that roles people play are pluralistic and force people to have relational selves. But this paper pays an attention to the theories that women construct relational selves more than men due to physiological states or developmental processes, and proposes an alternative interpretation that if women show relational selves more than men, the cause of the difference may be found not in some essential substances but in historical-cultural contexts in which women ate placed. The difference is analyzed from a non-essential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 by showing that conditions like social stereotypes. non-symmetrical roles, and unequal power status are operating in leading women to be more relational. This paper concludes by suggesting what kind of dangers would result when women's selves are constructed only in relational term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