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여성 영업직종간 전기자료 타당도의 안정성

Validity Generalization Study of Biographical Data for Two Female Sales Job Groups

초록

본 연구는 하나의 여성 영업직을 대상으로 개발된 전기자료의 가중치를 다른 여성 영업직에 적용했을 때 타당도가 안정적으로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경험적 점수화 방법을 사용하여 대표본을 가중치 개발집단으로 이용하고 소표본을 교차타당화 집단으로 이용했을 때나 그 역으로 자료를 이용했을 때 모두 가중치 개발집단의 타당도는 물론 교차타당화 집단의 타당도가 유의하게 나타나 한 조직에서 개발된 전기자료의 가중치가 일반화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가중치 개발집단으로 대표본을 이용했을 때가 소표본을 이용했을 때보다 교차타당화 집단의 타당도 감소가 적음과 동시에 타당도도 더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대규모 조직에서 개발된 전기자료 검사는 소규모 조직의 유사 직종에 적용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또 검사개발과정에서 대표본을 확보하기 위해 여러 조직에 걸쳐 전기자료 검사의 개발의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keywords
전기자료, 타당도 일반화, 경험적 점수화, 여성 영업직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tability of validity in two female sales jobs(1130 life insurance sales women and 282 female tele-marketers). After a series of item analyses were conducted for each group, 37 items and 33 items among 75 biographical items were included to the validation study, respectedly. The resulting validities and cross-validities were generalizable, regardless of whether sample size of item-keying group was large or small. But, large sample-based empirical keys showed larger cross-validity than small sample-based empirical keys. The finding in this study show that large sample-based keying of biodata scale can yield generalizable validities. And, the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consortium-based, multiple-organization biodata researches are needed.

keywords
biographical data, biodata, validity generalization, empirical keying, female sales job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