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논문 상세

초등 고학년용 부모연계 인터넷 중독 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Internet Addiction Counseling Program for Upp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초록

본 연구는 초등 고학년의 인터넷 중독과 부모관련변인(부모양육태도, 모의 애착, 의사소통, 모의 인터넷 중독)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인터넷 중독군에 속하는 초등생 고학년을 대상으로 부모연계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경기도 소재의 H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 중 인터넷 이용습관 진단척도 상에서 인터넷 중독군에 속하는 학생(처치집단: 24명, 통제집단: 22명)들이다. 인터넷 중독 상담 프로그램의 내용은 (1) 인터넷 중독 및 폐해 알기 (2) 자신의 인터넷 이용습관 및 인터넷 과다사용 원인 인식하기 (3) 인터넷 사용으로 인한 갈등 상황 인식 및 대처기술 증진하기 (4) 인터넷 사용과 관련된 왜곡된 인지 수정하기 및 자기 조절력 키우기 (5) 대안활동 모색 및 경험하기 (6) 변화인식 및 올바른 인터넷 사용 다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터넷 중독 상담 프로그램에는 부모 연계활동이 포함되며, 그 내용은 (1) 부모와 자녀가 인터넷 과다 사용원인 및 중독 정도를 이야기하기 (2) 다양한 인터넷 대안활동을 같이 실시하기 (3) 일일 인터넷 사용시간 작성하고 점검하기로 이루어져있다. 상담 프로그램은 총 6회기이며, 매 회기는 45분으로 이루어졌다. 처치집단은 4주 동안 매주 1회기 또는 2회기씩 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치료효과 검증을 위해 처치집단과 통제집단에 속한 학생과 부모는 프로그램 실시 전, 실시 후에 인터넷 이용습관 진단척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처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학생과 부모가 각각 작성한 인터넷 이용습관 진단척도 점수가 모두 유의미하게 감소되었다. 이런 결과는 본 프로그램이 인터넷 중독군 초등생 고학년 학생의 인터넷 중독 성향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논의에서 프로그램의 효과와 제한점 및 앞으로의 연구에 관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keywords
인터넷 중독 상담 프로그램, 초등생, 인터넷 중독, 부모연계, Internet addiction counseling program,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ternet addic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ternet addiction-counseling program for older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Forty-six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for a high-risk user group (intervention group, n = 24) and a potential-risk user group (the control group n = 22). The counseling program was developed to help students to recognize problems caused by Internet addiction, establish the degree of their Internet addiction and use habits, learn how to control their Internet use, and experience alternative activities that could replace addictive use of the Internet. In the case of Internet addiction, parent participation is important, so tasks involving parents were included in the sessions. The program comprised six 45-minute sessions. To evaluate the treatment efficacy, the Internet Use Habit Diagnosis Scale (IUHDS) and a self-report measure of the length of time spent on the Internet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The observer portion of the IUHDS was completed by the parents. The intervention group exhibited a reduction in problems in daily life, withdrawal symptoms, and deviation behaviors, and increased tolerance, as evinced by scores on the sub-scales of the IUHDS. Parent observation indicated that degree of Internet addiction was significantly lowered in the intervention group.

keywords
투고일Submission Date
2013-01-15
수정일Revised Date
2013-02-21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13-02-22

참고문헌

1.

권수경, 장은영 (2010). 정신과 방문 아동들의 인터넷 사용문제: 동시이환 장애 및 영향 요소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9(4), 1067-1086.

2.

김기숙, 김경희 (2009). 초등학생의 인터넷 게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관련변인. 아동간호학회, 15(1), 24-33.

3.

김경희 (2008). 인터넷 중독 초등학생의 학교적응력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개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명식 (2009). PTSD의 인지행동치료. 한국심리치료학회, 1(1). 45-61.

5.

김보형 (2011). 인터넷게임 중독 예방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게임중독성향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상훈 (2008). 인터넷 중독, 집중치료캠프로 고쳤어요. 동아일보, 2008년 6월 16일, p.A11.

7.

김연화, 정영숙 (2005).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및 또래관계와 아동의 인터넷 중독경향. 대한가정학회지, 43(10), 103-114.

8.

김지현 (2003).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인터넷 게임 중독 감소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김한규(2005). 애착이 중학생의 대인관계 및 인터넷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경기도교육청(2007). 나누는 마음 따뜻한 세상. 초등상담장학자료 제 2007-1호.

11.

놀이미디어 교육센터 (2008). 인터넷 게임 생활 실태 조사. 놀이미디어 교육센터.

12.

민족의학신문(2007. 7. 27). 한방으로 건강지킨다-초등학생게임중독.http://mjmedi.com/news.

13.

문성원, 김성식(2004). 아동을 위한 다차원형 병리적 인터넷 이용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1부. 한국심리학회: 발달, 17(3), 61-77.

14.

박선희 (2007). 초등학생 인터넷 사용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4(1), 75-91.

15.

박지숙(2011). 초등학생의 인터넷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인터넷 이용동기, 부모의 양육태도, 자기통제력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박화자 (2006). 초등학생의 학년에 따른 인터넷 중독 수준과 학교적응력과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보건교육연구회 (2007). 전국 초중고 학생 건강태도와 의식 조사. 서울: 보건교육연구회.

18.

보건복지가족부 (2008). 자녀를 위한 미디어교육 이렇게 해보면 어떨까요: 우리 아이 미디어 리더로 기르기 위한 학부모교육 교재-초등 고학년 학부모용.

19.

보건복지가족부 (2009). 청소년 디지털문화 이용실태.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20.

이경님 (2002).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와의 의사소통과 자기통제가 게임중독에 미치는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1(1), 77-91.

21.

이경옥, 김민화, 김승옥, 김혜수 (2007). 유․아동 및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중독 척도 개발. 서울: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2.

이숙정, 전소현 (2010). 인터넷 중독에 대한 부모중재 효과 연구. 한국방송학보, 24(6), 289-322.

23.

이인숙 (2003). 초등학생들의 인터넷 중독과 인터넷 기대 및 자기 효능감. 아동간호학회지, 9(4), 376-383.

24.

이현덕, 홍혜영(2011). 중학생의 애착과 인터넷중독성향간의 관계. 외로움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18(10). 271-294.

25.

이형초, 안창일 (2002). 인터넷 게임중독의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7(3), 463-486.

26.

이형초 (2010). 중학생 인터넷 게임 중독 사례와 개입방안,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발표집, 432-433.

27.

우영숙 (2008).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 통제력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오익수, 김춘자, 김철 (2007) 초등학생 인터넷 중독 예방을 위한 부모․아동 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정보교육학회, 11(3), 307-316.

29.

오혜영, 이은경, 송수민, 이윤희 (2011). 초등학생의 인터넷중독 예방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 여성가족부.

30.

전숙영, 안윤영, 이정숙 (2005), 학령기 아동의 심리적 성장환경이 인터넷 중독과 사이버 비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권리연구, 9(3), 489-505.

31.

정호선, 박경 (2009). 인터넷중독 초등학생의 특성에 관한 선행연구고찰. 심리치료, 9(1), 27-45.

32.

진영희 (2002). 부모자녀 애착 및 부모의 컴퓨터 게임에 대한 태도, 자기 통제력이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33.

조미헌, 신경선 (2004). 초등학생의 인터넷 중독 현황 및 원인.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7, 45-56.

34.

조은정, 김지현 (2010). 가정내 인터넷 게임 사용실태와 유아의 인터넷 게임 중독. 한국생활과학학회지, 19(6), 967-980.

35.

최나야, 한유진 (2006). 충동성, 부모와의 의사소통 및 인터넷 게임에 대한 기대가 아동, 청소년의 게임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2), 209-219.

36.

한국정보문화진흥원(2005). 성인 인터넷 중독 척도 개발 연구.

37.

한국정보화진흥원(2006). 인터넷 중독 생애주기별 상담치료 프로그램, 초등학교 고학년용.

38.

한국정보화진흥원(2009). 인터넷이용습관진단척도 아동청소년용 A 유형.

39.

한국정보화진흥원(2009). 인터넷이용습관 관찰자척도 부모진단지.

40.

한국정보화진흥원(2010). 2009년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41.

한국정보화진흥원(2011). 2010년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42.

한국콘텐츠진흥원(2010). 2010 대한민국 게임백서.

43.

황수정 (2000). 청소년의 인터넷중독과 사회적 지지 및 사회적응력간의 관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YTN(2012). "한 사람당 하나“ 무선인터넷 보급률 놀라워. 2012. 7. 22.

45.

Arrindell, W. A. & Engebretsten, A. A. (2000). Convergent validity of the short-EMBU and the parental bonding instrument(PBI): Dutch findings. Clinical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an international journal of theory & practice, 7(4), 262-266.

46.

Brenner, V. (1997). Psychology of computer use: XLVLL. Parameters of internet use, abuse and addiction: The first 90 days of internet usage survey. Psychological Report, 80, 879-882.

47.

Burnett, P. C. (1995). Cognitive behavior therapy vs rational-emotive education; Impact on children's self talk, self-esteem and irrational beliefs. Australian Journal of Guidance and Counselling, 5, 59-66.

48.

Cho, C. H., & Cheon, H. J. (2005). Children's exposure to negative Internet content: Effects of family content. Journal of Brodcasting & Electronic Media, 49(4), 488-509.

49.

Conyne, R. K. (2004). Prevention Groups. In J. Delucia-Waack, D. Gerrity, C. Kalodner, & M. Rvia (Eds), Handbook of group counseling and group psychotherapy. Thousand Oaks, CA.:Sage.

50.

Eggan, P., & Kauchak, D. (2004). Educational Psychology: Windows on Classrooms(6th ed.). Pearson Education, Inc, Prentice Hall.

51.

Kabat-Zinn, J., Lipworth, L., & Burney, R. (1985). The clinical use of mindfulness meditation for the self-regulation of chronic pain.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8, 163-190.

52.

Kamphaus, R. W. & Reynolds, C. R. (2006). PRQ(Parenting Relationship Questionnaire) Maunal: Person Assessment.

53.

Nathanson, A. I. (2001). Parent and child perspectives on the presence and meaning of parental televison mediation.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45(2), 201-220.

54.

Rae-Grant, N., Thoma, B. M., Offrod, D. R., & Bolyle, N. M. (1989). Risk, protective factors and the prevalence of behavioral and emotional disorders in children and adolescent. Journal of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28, 262-268.

55.

Tasi, C. C., & Lin, S. S. J. (2001). Analysis of attitudes toward computer networks and internet addiction of Taiwanese adolescents. Cyberpsychological Behavior, 1(3), 237-244.

56.

Watters, S. O. (2003). 인터넷 중독의 이해. (이소희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3에 출판)

57.

Young, K. S. (2000). Internet addiction: symptoms, evaluation, and treatment. In Vande-Creek, L., & Jackson, T. (Eds.), Innovations in Clinical Practice: A Source Book, Vol. 17, (pp. 19–31). Sarasota, FL: Professional Resource Pres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