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718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the school violence experience from the perspective of school violence perpetrators. In order to achieve this aim, this study us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nd examined cases of school violence as experienced by school violence perpetrators. Under the assumption that school violence perpetrators and relevant factors are intimately related and influence each other, this study employed a contextual construct analysis method to develop contextual structures that integrated all cases. The results of our analysis showed that first, school violence context was a function of not only the school violence perpetrator himself/herself, but also family, peer group, school, and local community as a whole. Second, among various phenomena and experiences that occurred prior to incidents of school violence, permissive attitude toward violence, exposure to violence within family, emotional distance, study and rewards for violence all had a negative impact, whereas experiences of emotional intimacy within the family, care and affection, and trust all acted as positive factors that helped to stop violence perpetration and prevent re-occurrence of violence. Third, in terms of trigger factors for those incidents, personality traits, such as impulsiveness, aggression, and—when emotionally unstable—stress, were the main causes. When they were psychologically dependent on peer groups, some people joined the perpetrator group because they strongly identified with the peers and were unable to actively express their opinions. Fourth, while perpetrators sometimes felt frustration about punishment during the process of handling cases, they were positively impacted by care and affection received from the police, parents, and teachers. Finally, when we categorized cases by similar types according to both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contextual characteristics, the following subtypes were found: “socially conditional follower,” “emotionally vulnerable,” and “antisocial personalit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effective and systematic counseling intervention methods according to each subtype, in order to prevent reoccurrence of school violence.
구정화 (2000). 청소년의 폭력성 멀티미디어의 수용정도가 폭력성향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권지성 (2012). 사회복지 질적 연구접근의 재구성: 그리고, 은밀한 맥락을 찾아서. 사회복지연구, 19, 159-181.
권현용, 김현미 (2009). 학교폭력 가해청소년의심리사회적 요인에 관한 질적 분석.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12(1), 1-12.
김명자 (2002). 청소년의 학교폭력행위 예측모형구축.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선아 (2005). 중학생의 스트레스와 애착이폭력가해와 피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16(2), 5-36.
김성민 (2013). 학교폭력에 대한 심층심리학적고찰과 대책. 신학과 실천, 35, 403-434.
김성은 (2014). 청소년의 비행-탈비행화 과정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재엽, 김희진, 송아영, 장용언 (2009). 부모간 폭력 목격 청소년의 아르바이트 경험과 학교폭력 가해행동 간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6(10), 1-31.
김재철, 최지영 (2011). 부모 학대가 공격성에미치는 영향: 자존감, 학교폭력 피해경험의 매개효과. 아동교육, 20(1), 19-23.
김준호, 노성호 (1989). 사회계층과 청소년 비행의 관계에 대한 경험적 연구. 형사정책, 4, 197-237.
김천기 (2014). 학교폭력에 대한 인정이론적이해와 정책적 함의 탐색. 교육종합연구, 12(2), 133-155.
도기봉 (2008).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 요인에 대한 공격성과 충동성의 조절효과. 한국가족복지학, 22(4), 5-34.
박다애 (2001).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관한 연구. 한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성희 (2015). 청소년 가해자의 생애사 재구성을 통한 학교폭력 예방 방안. 교육의 이론과 실천, 20(1), 33-57.
박종효 (2007).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대한이해: 대인관계의 매개효과. 교육학연구, 45(1), 1-24.
박효정, 정미경 (2006). 질적분석을 통한 학교폭력 현상의 이해. 한국교육, 33(4), 167-197.
신희경 (2006). 가해 청소년, 피해 청소년, 가해/피해 청소년 집단유형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한국청소년연구, 17(1), 297-323.
심응철 (1999). 청소년의 충동성 및 공격성과폭력행동의 상관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2(2), 24-34.
엄명용 (2000). 비행예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청소년 비행 예측 요인의 발굴. 한국사회복지학, 42, 254-286.
이규미, 이대식, 김영혜 (2003). 심각한 폭력(살인) 가해학생에 대한 사례분석: 폭력유발요인과 예방안.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심리치료, 15(2), 367-382.
이명신 (2003). 괴롭힘 행동 결정에 있어 개인동기와 집단의 매개효과. 한국아동복지학, 15, 39-81.
이명우, 신효정, 김태선, 송은미, 김소라, 이윤아 (2005). 경찰 다이버전 체제 운영을 위한학교폭력 가해자 상담모형 개발,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이명자 (2009). 학교폭력 가해청소년의 배경 요인에 대한 질적 분석.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상균 (1999). 학교에서의 또래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웅혁 (2006). 학교폭력행위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지, 25, 245-265.
이은희, 공수자, 이정숙 (2004). 청소년들의 가정, 학교, 지역의 심리사회적 환경과 학교폭력과의 관계: 분노조절과 비행친구 접촉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심리치료, 16(1), 123-145.
이희연 (2013). 학교폭력 경험에 관한 문화기술지. 학교사회복지, 25, 275-309.
이해경, 김혜원 (2000). 폭력노출이 집단괴롭힘가해와 피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3(1), 95-113.
장은진 (2013). 학교폭력 가해연구 개관과 향후방향성. 발달지원연구, 2(2), 153-175.
정종진 (2012). 생태학적 측면에서 본 학교폭력의 유발 요인. 초등상담연구, 11(3), 331-350.
정진희 (2009). 학교기반 학교폭력 예방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석사학위논문.
조영일 (2013). 학교폭력 가해자와 피해자 특성 연구- 학교폭력 집단유형의 변화에 미치는 변인.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6(2), 67-85.
조한익, 조민경 (2013). 학교폭력 피해경험과가해경험의 관계: 자존감과 자존감 안정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심리치료, 25(4), 913-932.
조춘범 (2010). 청소년의 가정폭력경험 및 부모-자녀 상호작용이 폭력비행에 미치는영향. 청소년복지연구, 12(1), 93-121.
청소년폭력예방재단 (2013). 2012년 전국 학교폭력 실태조사 발표 및 경향.
청소년폭력예방재단 (2014). 2013년 전국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발표 보도자료.
허승희, 최태진 (2008). 초등학교 폭력예방을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적용과 그 효과(Ⅰ): 가해 성향 아동을 대상으로. 초등교육연구, 21(3), 175-197.
Bandura, A. (1987). Learning and Behavioral Theories of Aggression. In I. L., Kutash, S. B. Kutash., & L. B. Schlesinger(eds), violence. San Francisco: Jossy-Bass Publishers: 25-57.
Bronfenbrenner, U. (1979).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Cambridge, MA: Harvard Univ. Press.
Earls, F. (1979). Social reconstruction of adolescence: Toward an explanation for increasing rates of violence in youth, In H. M. Rose (ed.), Lethal aspects of urban violence, Lexington, M.A: Heath Sexington Books.
Elliott, D. (1985). The Assumption That Theories Can be Combined With Increased Explanatory Power: Theoretical Integrations. Theoretical Methods in Criminology. edited by Robert F. Meier, Beverly Hills, CA: Sage. 123-149.
Hirschi, T. (1986). On the compatibility of rational choice and social control theories of crime. In the Reasoning: Rational choice perspectives on offending. edited by D. B. Cornish and R. V. Clarke. New York: Springer-Verlag. 105-118.
Kandel, E., Mednick, S. A., Kirkegard-Sorensen, L., Hutchings, B., Knop, J., Rosenberg, R., &Schulsinger, F. (1988). IQ as a protective factor for subjects at high risk for antisocial behavior.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6, 224-226.
Kim Y. S., B. Levenchal, Y. J. Koh & Boyce. W.T. (2009). Bullying increased suicide risk:Prospective study of Korean adolescents. Archives of Suicide Research. 13(1), 15-30.
Kumpulainen, K., Rasanen, E., & Puura, K. (2001). Psychiatric disorders and the use of mental health services among children involved in bullying. Aggressive Behavior, 27, 102-110.
Olweus, D. (1993). Victimization by peers: Antecedents and long-term outcomes. In K. H. Rubin & J. B. Asendorpf (Eds.), Social withdrawal inhibition and shyness in childhoo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Olweus, D. (1997). Bully/victim problems in school: knowledge base and an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 Irish Journal of Psychology, 18(2), 170-190.
Roberts, W. B., & Coursol, D. H. (1996). Strategies for intervention with children and adolescent victims of bullying, teasing, and intimidation in school settings. Elementary School Guidance & Counseling. Feb. 205-212.
Sadoff, R. S. (1978). Violence in juveniles In R. S. Sadoff (Ed.). Violence and responsibility. Flushing, N.Y: Spectrum Publication, Inc.
Tillmann, K. J., Holler-Nowitzki, B., & Holtappels,H. G. (1999). Schuelergewalt als Schulproblem. Verursachende Bedingungen, Erscheinungsformen und paedagogische Handlungsperspektiven. Weinheim, Muenchen: Juventa.
Wetzels, P., et al. (2001). Jugend und Gewalt. Baden-Baden: Nom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