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논문 상세

한국형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제 3판 사회-정서 척도의 타당도 연구

A Validity Study of the Social-Emotional Scale of the Korean Bayley Scales of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 Third Edition

초록

본 연구는 한국형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3판(K-Bayley-III) 사회-정서 척도 표준화본의 자폐스펙트럼장애 선별도구로서 유용성과 구인타당도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강원도, 충청도, 전라도 지역에 거주하는 생후 16일에서 42개월 15일에 해당하는 정상군 영유아 248명(ROC 분석 48명, 법칙적 연결망 분석 200명)과 임상군(자폐스펙트럼장애) 영유아 44명이 표집되었다. 본 척도의 자폐스펙트럼장애 집단에 대한 변별력 및 절단점을 확인하기 위해 반응자 조작특성(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ROC) 분석을, 구인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법칙적 연결망 분석(Nomological Network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ROC 분석 결과, 사회-정서 척도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선별도구로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회-정서 척도 환산점수 7점이 민감도 93%, 특이도 83%로 자폐스펙트럼장애 집단과 정상 집단을 변별하는 절단점으로서 가장 적절한 것으로 제안하였다. 둘째, 법칙적 연결망 분석 결과, 이론에 근거해 상정한 모형이 양호한 적합도를 보여 구인타당도에 대한 증거를 확보하였다. 마지막으로 평가도구로서 사회-정서 척도의 활용 가능성 및 후속 연구에 대해 제안을 하였다.

keywords
사회-정서 척도, 민감도, 특이도, 구인타당도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sefulness and construct validity of the standardized Korean version of the social-emotional scale from the Bayley Scales of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Third Edition (K-Bayley-III) as a screening tool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Participants were 248 typically developing infants and toddlers and 44 infants and toddlers with autism who ranged in age from 16 days to 42 months and 15 days. We used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ROC) analysis to identify the scale's discriminant power and a cut-off point, and nomological network analysis to verify the construct valid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OC analysis showed that the social-emotional scale was useful as a screening instrument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Further, 7 points was found to be suitable as the cut-off point for discriminating children with autism from children with typical development. Second, in the nomological network analysis, the postulated model based on Greenspan's functional-emotional theory provided a reasonably good fit to the date, so the construct validity was ascertained. Practical ap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keywords
투고일Submission Date
2015-07-14
수정일Revised Date
2015-08-31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15-09-07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