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The Development and Inner Structure Exploration of a Scale to Measure the Peer Initiative of Young Childre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ale of peer initiative with 327 young children aged 3-5 years. The statistical programs of SPSS 21.0 and MPLUS 7 were used to analyze data and 2 factors and 39 items were identified. The factor names were “friendly” and “unfriendly” peer initiatives respectively. Peer initiative is the role of the child who is interested in controlling or leading peers in the play process. The child who leads the play in a friendly way plays the game through the play definition, explanation, suggestion, information provision, negotiation, and provides a structure for the play to proceed smoothly. The young child who leads the play in an unfriendly way plays the role of controlling his friend at will through play command, rejection, threat, and disregard.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is scale, we conducted a correlation analysis with peer competence and leadership scal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high correlations among peer initiative, peer competence, and leadership in young children.

keywords
Submission Date
2017-06-29
Revised Date
2017-07-07
Accepted Date
2017-08-31

Reference

1.

고윤지, 김명순 (2013). 유아의 놀이성, 놀이주도성 및 의사소통능력 수준에 따른 놀이행동. 한국아동학회지, 34(1), 175-189.

2.

고은경, 전효정 (2016). 영유아교사 인성교육지도역량척도 개발. 한국아동학회지, 37(5), 129-144.

3.

교육과학기술부 (2009).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4.

국립국어원 (2017). 표준국어대사전. (http://stdweb2.korean.go.kr/main.jsp)

5.

강유진 (2013). 유아의 놀이주도성과 또래놀이상호작용의 관계.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 논문.

6.

강승희, 오명녀 (2008). 가정과 연계한 몬테소리 일상생활 프로그램이 유아의 기본생활습관과 자기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17(4), 35-48.

7.

권지연, 이종희 (2003). 유아의 인지양식과 성격에 따른 놀이스타일의 차이. 생활과학연구, 8, 205-216.

8.

김보영 (2016). 유아의 실행기능, 자아존중감, 정서지능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육아지원연구, 11(3), 29-51.

9.

김명순, 변혜원, 김길숙 (2011). 영유아 기본생활습관 부모 평정척도 개발 연구. 한국아동학회지, 32(2), 82-104.

10.

김정숙 (2001). 인기도에 따라 사회가상놀이에서 나타나는 의사소통전략. 한국유아교육연구, 3, 79-124.

11.

노인순, 문혁준 (2012).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유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5), 25-45.

12.

문수백 (2009). 구조방정식 모형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13.

박순진 (2011). 유치원에서의 협력활동 경험이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연구, 13(2), 87-113.

14.

박주희 (2001). 아동의 또래유능성에 관련된어머니의 양육목표, 양육행동 및 또래관계 관리전략. 한국아동학회지, 22(4), 1-15.

15.

박주희, 이은해 (2001). 취학 전 아동용 또래유능성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9(1), 221-232.

16.

박혜원, 곽금주, 박광배 (1996). 한국형 유아지능검사(WPPSI) 지침서. 서울: 도서출판특수교육.

17.

박혜원 (2001). 한국 웩슬러 유아지능검사의 간편형 개발. 아동학회지, 22(2). 1-13.

18.

백지연 (2007). 교사 평정에 의한 유아의 놀이성과 실제 놀이주도성의 관계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

신은미, 손복영 (2011). 유아교사들이 인식하는 유아 주도성의 의미. 한국교원교육연구, 28(4)465-492.

20.

신유림 (1995). 유아의 상상놀이에서 주도적-추종적 놀이스타일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15(2), 23-36.

21.

송진숙, 권희경 (2003).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의 적응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 및 문제행동에 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8(3), 207-225.

22.

오숙현 (2004). 유아의 주도성 척도 개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3.

오숙현 (2005). 자기표현활동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지, 26(5), 165-183.

24.

오현주, 김현지, 이정수 (2015). 유아의 연령, 모자화 분석을 통한 모자애착, 자아존중감과 또래유능성의 관계. 어린이미디어연구, 14(1). 147-170.

25.

우하연 (2016). 그림책을 활용한 극놀이가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6.

유혜순 (2001). 5세 유아의 창의적 사고력 수준과 놀이 스타일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7.

이명숙(2006). 유아 셀프 리더십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이순묵(1995). 요인분석 Ⅰ. 서울:학지사.

29.

이순묵, 윤창영, 이민형, 정선호 (2016). 탐색적요인분석: 어떻게 달라지나?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5(1), 217-255.

30.

이영주 (2002). 유아의 인기도에 따른 놀이성 및 놀이스타일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1.

이은해, 박주희, 최혜영 (2005). 영유아용 (만2-5세) 발달검사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 한국아동학회지, 26(6), 73-88.

32.

이채호, 최인수 (2008). 교사용 유아 리더십 평가척도 개발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3(3). 23-37.

33.

이현주 (2006). 창의적 신체 표현활동 프로그램이 창의성과 자기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4.

양병화 (2011). 다변량 데이터 분석법의 이해.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35.

조선미 (2000). 기질에 따른 유아의 놀이스타일에 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6.

장윤희, 문혁준 (2011). 유아의 리더십과 자기조절능력이 또래 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정관리학회지, 29(2), 73-87.

37.

최미숙, 황윤세 (2007).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에대한 교사-유아관계와 또래유능성의 관계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1), 103-123.

38.

최수경, 박인전 (2012). 유아의 놀이성, 사회적유능감, 리더십 간의 구조 관계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70, 55-76.

39.

최자영, 박유영 (2012). 유아의 놀이특성과 또래유능성 및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6(3), 229-244.

40.

최혜영, 이은해 (2005). 아동의 또래 상호작용과 교사신념 및 교사행동 간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5(5), 319-342.

41.

최인수, 표정민 (2014). 한국인의 창의성에 대한 암묵적 이론 척도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8(1). 27-47.

42.

한동원(1998). 유아의 사회극놀이에서 나타나는의사소통전략 및 놀이스타일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3.

Adcock, D., & Segal, M.(1981). Just pretending ways to help children through imaginative play. Engelwood Cliffs N.J: Prentice Press.

44.

Adcock, D., & Segal, M. (1983). Play together grow together. Mailman Family Press.

45.

Adler, P. A., & Adler, P.(1998). Peer power: Pre adolescent culture and identity. New Brunswick, NJ: Rutgers University Press.

46.

Bakker-Pieper, A., & Oostenveld, W.(2010). Leadership=Communication? The relations of leaders'communication styles with leadership styles, knowledge sharing and leadership outcomes. Journal of Business and Psychology, 25(3), 367-380.

47.

Black, B. (1992). Negotiation social pretend play:Communication differences related to social status and sex. Merrill-Palmer Quarterly, 38(2), 212-232.

48.

Bollen, K. A. (1989). Structural equation with laten variables. New York: John Wiley & Sons.

49.

Browne, M. W., & Cudeck, R.(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pp.136-162).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s.

50.

Brown, T. A. (2006). Confirmator factor analysis for applied research. NY: Guilford Press.

51.

Byrne, B. M. (2001). Structural equation modeliing with AMOS, EQS, and LISREL: Comparative approaches to testing for the factorial validity of a measuring instru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Testing, 1, 55-86.

52.

Cattell, R. B.(1966). The scree test for the number of factor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1, 245-276.

53.

Connolly, J. A., & Doyle, A. B. (1984). Relation of social fantasy play to social competence in preschoolers. Developmental Psychology, 20(5), 797.

54.

Cureton, E. E. (1957). The upper and lower twenty-seven per cent rule. Psychometrika, 22, 293-296.

55.

Elkind, D. (2007). The power of play: How spontaneous, imaginative activities lead to happier, healthier children. Cambridge, MA: DaCapo lifelong books.

56.

High/Scope Educational Research Foundation(1992). The High/Scope child observation record for ages 2.5 to 6. Ypsilanti, MI: High/Scope Press.

57.

Goncu, A. (1993). Development of intersubjectivity in the dyadic play of preschoole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8, 99-116.

58.

Goncu, A., & Kessel, F. (1984). Children's play:A contextual-functional perspective. In F. Kessel(Ed.), Analyzing children's play dial ogues(pp.5-22). San Francisco: Jossey-Bass.

59.

Hazen, N., Black, B., & Fleming-Johnson, F. (1984). Social acceptance: Strategies childr en use and how teachers can help children learn them. Young children, 39(6), 26-36.

60.

Hazen, N., & Black, B. (1989). Preschool peer communication skills: The role of social status and interaction context. Child Development, 60(4), 867-876.

61.

Kelley, T. L. (1939). The selection of upper and lower groups for the validation of test item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30(1),17-24.

62.

Oliver, S., & Klugman, E. (2003). Play and learning day by day incorporating constructive play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Child Care Information Exchange, 149, 62-65.

63.

Scalett, W. G. (1983). Social isolation from agem ates among nursery school children. Early childhood development and education, New York:Guilford.

64.

Schwartzman, H. (1978). Transformations: The anthropology of children's play. New York:Plenum press.

65.

Sylva, K., Roy, C., & Painter, M. (1980). Childwatching at playgroup and nursery school (Vol. 2). High/Scope Foundation.

66.

Trawick-Smith, J. W. (1994). Interactions in the classroom: Facilitating play in the early years. Pearson College Division.

67.

Trawick-Smith, J. (1988). “Let's say you're the baby, ok?” Play leadership and following behavior of young children. Young Children, 43, 51-59.

68.

Tucker, L. R., & Lewis, C. (1973). The reliability coefficient for maximum likelihood factor analysis. Psychometrika, 38, 1-10.

69.

Vandenberg, R.J., & Lance, C. E. (2000). A Review and Synthesis of the Measurement Invariance Literature: Suggestions, Practices, and Recommendations for Organizational Research.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 3(1), 4-70.

70.

Yu, C-Y. (2012). Evaluating cut off criteria of model fit indices for latent variable models with binary and continuous outcomes. Unpublished Doctoral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