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기혼 공무원의 재택근무 만족도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성별 및 자녀유무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Married Public Servants’ Satisfaction with Working from Hom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and Presence of Children

초록

본 연구는 기혼 공무원을 대상으로 재택근무 만족도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과 성별과 자녀유무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해 한국행정연구원 「2021년 공직생활 실태조사」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재택근무 경험이 있는 기혼 공무원 1,599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기혼 공무원의 재택근무 만족도는 조직몰입, 직무만족, 조직시민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여성은 남성보다 재택근무 만족도가 조직몰입,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더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시민행동에는 유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자녀유무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녀유무는 재택근무 만족도와 조직몰입, 직무만족,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재택근무 만족도, 성별, 자녀유무 간의 3원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녀가 있는 여성의 경우 자녀가 없는 여성보다 재택근무 만족도가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추후 연구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Work from Home, Oganizational Effectiveness,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공무원, 재택근무, 조직유효성, 조직몰입, 직무만족, 조직시민행동, 성별, 자녀유무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satisfaction with working from hom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and presence of children among married public official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irst, married public officials’ satisfaction with working from home had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econd, It was found that for women, satisfaction with working from home had a smaller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than for men. There was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Third, having children did not have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working from hom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Last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 it was found that for women with children, satisfaction with working from home had a greater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than for women without children.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theoretical scope of research will be expanded if groups are classified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institutions and tasks and the research subjects are expanded to private institutions.

keywords
Work from Home, Oganizational Effectiveness,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공무원, 재택근무, 조직유효성, 조직몰입, 직무만족, 조직시민행동, 성별, 자녀유무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