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성피해의 심리적 후유증에 관한 연구 -성적 영역을 중심으로-

The research regarding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the Sexual abuse-Focusing on the sexual field-

초록

본 연구는 성적 영역을 중심으로 한 성피해의 후유증을 살펴보았다. 성피해가 성인기 성(性)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되며, 성적 영역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우선 ‘성의식 및 성활동 질문지’와 ‘자아존중감척도’를 사용하여 양적연구를 실시하고, 심한 성피해를 경험한 5명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심층인터뷰의 녹취록을 분석하여 주제별로 분류한 결과, 크게 성피해 관련장면과 성피해 후유증으로 나눌 수 있었다. 성피해 관련은 ‘성피해 당시의 경험’과 ‘성피해에 대한 인식’의 2가지 소주제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성피해 후유증은 ‘신체지각과 성’, ‘정서변화’, ‘대인관계와 성’, ‘성적 과민성,’ ‘성장기의 성’, ‘왜곡된 성의식’, ‘해결해야할 과제로서의 성’, ‘첫 성관계의 중요성’, ‘첫 성관계 이후의 성행동’이라는 9가지 소주제로 분류할 수 있었다. 각각의 주제 내에서 시간에 따른 변화가 관찰된 경우에는 이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기술하였다. 또한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결과를 통합하여 해석하고자 하였다.

keywords
sexual abuse, sexual field, quantitative study, qualitative study, sexual abuse, sexual field, quantitative study, qualitative study, 성피해, 성적영역, 양적연구, 질적연구

Abstract

To find that how the sexual abuse has affected adulthood sexual behavior and how change the aspects in process of time,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tegrate interpretation of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ults. The quantitative study was administered to 20~50 aged 144 women, and were used ‘The sexual concept and sexual behavior questionnaire’ and ‘Self esteem scale’. The qualitative study was analized recording files of depth interview done to 5 women experienced several sexual abuse. I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victims of sexual abuse had little awareness of the situation was sexual abuse, and they become to know that the situations they sufferd were. Then, They interested and stydied in sex, and they conforms of their worries as sexual actions. The results increased percentage of sexual actions in sexual abused women before marriage. Victims that experienced several sexual abuse, have negative feelings of their sexual body-part, low insensibility of orgasm, more complain of sexual dysfunction, and it related to decreasing of sensibility about body awareness. Although women victims have low self-esteem, and they positioned and experienced in adverse condition repeatedly, they experiences stability, intimacy and sufficiency after sexual actions with love.

keywords
sexual abuse, sexual field, quantitative study, qualitative study, sexual abuse, sexual field, quantitative study, qualitative study, 성피해, 성적영역, 양적연구, 질적연구

참고문헌

1.

(2003) 청소년 성 피해자들의 성폭력 인식과 자기손해적 성행동,

2.

(1998) 성피해의 심리적 후유증,

3.

(2000) 아동기 성피해의 심리적 후유증 성인기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4.

(1997) 성폭력 피해의 평가와 심리상담,

5.

(1999) 성피해의 현황 및 실태와 피해자들의 성행동에 관한 연구,

6.

(1996) 어린이 성폭력 피해자의 경험 인식에 대한 연구,

7.

(2002) 성폭력 피해경험이 청소년기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 ,

8.

(1990) 성폭력의 실태 및 대책에 관한 연구,

9.

(2000) 친족 성폭력 피해경험,

10.

(1995) 우리사회의 성폭력 실태와 성문화 블평등 사회와 왜곡된 성의 실상과 대책 ,

11.

(1998) 성폭력 전문 상담원 교육 자료집,

12.

(2000) 우리사회의 성문화와 성폭력 ,

13.

(1993) Self reported amnesia for abuse in adults molested as children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4.

(1986) Impact of child sexual abuse A review of the research,

15.

(1995) Rape Crisis and Recovery,

16.

(1988) Adult Survivors in Therapy, Healing the Incest Wound

17.

(1985) The Traumatic impact of Child sexual abuse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18.

(1989) The impact of adolescent sexual victimization Standardized measures of anxiety, depression and behavioral deviancy

19.

(1987) Recovery and verification of memories of childhood sexual trauma,

20.

(1996) Resilient child sexual abuse survivors: Cognitive coping and illusion,

21.

(1986) A review of post traumatic and adjustment disorders,

22.

(1995) Adult Survivors of Sexual Abuse,

23.

(1995) Counseling for Sexual abuse, Oxford University Press

24.

(1981) edited by Rutter,

25.

(1989) Disclosure of child sexual abuse,

26.

(1993) Dissociative disorders in psychiatric inpatients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27.

(1992) The sexual abuse of Afroamrican and white american women in childhood,

28.

(1992) The sexual abuse of Afroamrican and white american women in childhood,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