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권호 목록

개인특성 및 자아해석 양식의 단기 활성화에 따른 도움행동의 양상에 관한 연구
조숙자(이화여자대학교) ; 방희정(이화여자대학교) ; 조혜자(이화여자대학교) ; 김현정() pp.267-28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개인특성인 성별 및 애착유형과 단기적으로 활성화된 자아해석 양식이 도움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단기 활성화된 점화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고 개인특성 효과가 나타나, 남성보다 여성의 도움행동 점수가 높았으며, 불안 애착 집단이 안정애착 집단보다 도움행동 점수가 높았다. 여성의 경우, 점화 효과에 따른 도움행동에서의 차이가 나타나 여성은 독립적 자아해석이 활성화되는 점화 조건에서 도움행동 점수가 높았다. 도움행동 유형별로 볼 때 개인적 도움행동보다 관계적 도움행동의 점수가 더 높았다. 논의에서는 결과를 자아우선성 가설과 성고정관념 차원에서 검토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individual trait effects of gender and attachment type and short term priming effects of relational and independent self on helping behavior. The results were summed up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f gender and attachment type on relational helping behavior but no effect of short-term priming (2) female participants‘ scores were higher on all kind of relational helping items than male participants, (3) anxious attachment group's scores were higher on relational helping behavior than secure attachment group's. (4) female participants of independent priming condition showed higher relational helping score, (5) participants' scores were higher on relational helping behavior than individual helping behavior. As the reasons of the results, individual-self-primacy hypothesis and gender stereotype were discussed.

조직내 승진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남녀간 차이: 네트워크 특성, 리더십 행동, 성정체성, 다양한 역할에의 몰입, 멘토 관계를 중심으로
구자숙(경희대학교) pp.287-3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자본과 리더십 행동에 있어서의 성차와 그러한 요인이 승진, 삶에 대한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사회적 자본과 관련하여서는 네트워크적 특성과 멘토관계를 살펴보았고, 남녀관리자의 성정체성, 리더십행동, 다양한 역할에의 몰입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남성보다는 오히려 여성의 경우에 사회적 자본이 승진과 삶에 대한 만족도에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여성은 남성지배적인 조직문화에 자신을 맞추고, 이상적인 관리자상으로서 남성성에 더 가치를 둔다는 시사점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전의 연구들과는 달리 다양한 역할에 관여할수록 승진이나 삶에 대한 만족도가 증진되지 않는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Abstract

Promotion and satisfaction of women in organization: Network characteristics, leadership behaviors, sex roles, commitment to multiple roles, and mentoring relationships

재혼가정에 대한 단기가족놀이치료의 적용 사례
김유숙(서울여자대학교) pp.311-325
여대생의 성피해 경험과 자살사고와의 관계: 귀인양식과 대처방식의 매개 효과
박경(서울여자대학교) pp.327-34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여대생의 성피해 경험과 자살사고간의 관계가 있는지와 이들의 관계에 대처방식과 귀인양식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여자대학생 738명이며 이들 가운데 성 피해 경험이 있는 120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측정 도구는 성 피해 경험질문지, 스트레스 대처방식척도, 귀인양식 질문지, 자살사고 척도이다. 연구대상자들의 성 피해 경험의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성 피해경험, 대처방식, 귀인양식, 자살사고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성 피해 경험과 자살 사고간의 관계에서 대처 방식, 귀인양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 피해 경험은 자살사고와 정적 상관이 있었고, 대처방식의 경우 문제 중심적 대처만이 자살사고와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인양식에 있어서는 내외성과 전반성이 자살사고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성 피해 경험과 자살사고 사이에서 대처방식과 귀인양식의 매개효과 검증에서는 성 피해 경험이 직접적으로 자살사고로 이어지기도 하지만 문제 중심적 대처 및 내적 귀인을 통해 영향을 미침으로서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rgued that suicidal ideation was related to experience of sexual harassment of female college students, and that mediating effects of coping style and attribution style were testifie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uicidal ideation and experience of sexual abuses. Survey group were 738 female college students, and among them, 120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sexual abuses were selected as experimental group. The instruments of measurement were questionnaire for sexual abuse experiences, scale of coping style of stress, questionnaire for negative attribution style, and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 of sexual abuses were analysed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implemented to test relationship among experience of sexual abuses, coping style, attribution style, and suicidal ideation. The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testify mediating effects of coping style and attribution sty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of sexual abuse and suicidal ideation. As the result, experience of sexual abuse and suicidal ideation had some positive relation. For coping style, problem-oriented coping style had only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 to suicidal ideation. For attribution style, internality and globality ha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Even though experience of sexual abuse affected directly on suicidal ideation, problem-oriented coping and internal attribution mediated sexual abuse to suicidal ideation indirectly.

팀 진단을 위한 SRM의 활용: 팀, 성별 및 개인 수준에서의 분석
정태연(중앙대학교) ; 박제일(용인대학교) ; 김도환(중앙대학교) ; 임승환(T & C 심리교육컨설팅) ; 이동훈(한국청소년상담원) pp.345-36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팀 진단을 목적으로 사회적 관계모형(Social Relations Mode 혹은 SRM, Kenny, 1984)을 활용하여 특정 기업체 팀원들 사이의 대인지각양상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11명의 팀원들은 성격 및 과업과 관련된 5개 차원 10개 문항에서 자신 및 다른 팀원 각각을 모두 평가했으며, 이 차원에서 다른 팀원들 각각이 나를 어떻게 볼 것인지에 대한 나의 추측 즉 메타평가도 평가했다. 이러한 타인지각, 메타지각 및 자기지각을 팀 수준, 성별 수준 및 개별 팀원 수준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팀 수준의 경우, 타인지각에서는 지각자 효과, 지각대상자효과 및 관계효과가 모두 존재했으며, 과업 및 성격차원에서 남녀 간의 차이도 존재했다. 또한, 평가차원 및 성별에 따라 초지각의 부정확성과 자기-동료 간 불일치도 다르게 나타났다. 개별 팀원 수준의 경우, 타인지각에서의 지각자 효과, 지각대상자효과 및 관계효과, 그리고 초지각의 정확성과 자기-동료간 일치에서 팀원 간 개인차가 상당히 존재했다. 이러한 결과를 팀의 진단과 개발의 차원에서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terpersonal perception among team-members in business setting using Kenny's Social Relations Model(1994). To pursue this goal, 1 team-members were asked to rate each other on the five dimensions composed of 10 items. Also, they made self-reports and also rated what they think each of others perceives them for the same items. Through those ratings, self-perception, other-perception, and meta- perception were measured and then analyzed at the team, gender and the individual levels. There were three different types of effect, perceiver, target, and relationship effect and gender differences in those effects were identified. Also, meta-accuracy and self-other agreement were uncovered and different across gender. However, analysis at the individual level showed that individual differences among team-members are quite large for those measurements listed above. Thos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eam-diagnosis and development.

중년 여성의 우울증과 통합적 부부치료
조현주(영남대학교) pp.363-376
초록보기
초록

중년기 여성의 심리적 특징과 중년기 우울증의 다양한 임상적 특징 및 관련 위험요인을 살펴보았다. 중년기 우울증은 노화에 대한 지각, 자아 정체성 위기, 부부 갈등이 중요한 위험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중년기 우울증의 다양한 사례를 제시하였고, 중년 여성의 우울증에 통합적 부부 치료를 접목한 사례의 예를 소개하였다. 나아가 개인의 우울증이 심각하고 만성적인 경우, 부부치료는 개인치료와 병행되는 통합적 부부치료가 효과적임을 시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의 중년 여성의 우울증 치료에 통합적 부부치료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제언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a lot of clinical feature and risk factor of depression during the midlife. Several studies of depression had been reported that it was related to marital conflicts. Midlife women with depression are at risk for view of aging, crisis of ego-identity and marital conflicts. Now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martial therapy for depression. In this paper, four cases of women's depression including a treatment case were introduced. A integrative marital therapy might be effective the treatment of depression with chronicity and severity. Finally, the effect and limit of a integrative marital therapy for couple including a depressive wife were suggested.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