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권호 목록

성별 및 성희롱 경험에 따른 성희롱 통념과 성역할 관련 태도들 간의 관계
김정인(서비스테크) ; 손영미(명지대학교) ; 김효창(중앙대학교) pp.377-39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성희롱 통념과 성역할 관련 태도들에 대한 남녀 간 인식차이를 확인하고, 이들 변인들과 성희롱 경험과의 관계성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318명(여자 166명, 남자 15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희롱 통념과 성역할 관련 변인들에 대한 남녀 간의 시각차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남학생들은 성희롱 사건이 피해자의 행위에 대한 오해와 과잉반응으로 인해 제기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향이 강했다. 둘째, 남학생들의 성희롱 경험 유무에 따른 성희롱 통념과 성역할 관련 변인 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희롱 경험이 있는 집단이 없는 집단에 비해 성희롱 행동을 친근감의 표현, 직장생활의 활력소 정도의 가벼운 것으로 지각하는 경향이 높고, 성희롱 피해자의 반응을 앙심을 품거나, 지나치게 과장되게 표현한 과잉반응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성희롱 경험이 있는 집단은 없는 집단에 비해 대인 폭력적 행동에 대해 더욱 수용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남학생들의 성희롱 행동에 대한 성희롱 통념과 성역할 관련 변인들 간에 유의미한 설명변량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성희롱 행위에 대한 과잉반응과 대인폭력에 대한 수용성 정도(‘대인폭력수용’요인)의 기여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들 결과에 대한 시사점 및 제한점을 논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gender differences of the sexual harassment myths and sex role related attitude. Moreover We examined effects of sexual harassment myths and sex role related attitudes on sexual harassment. A total of 318 undergraduate students(166 female students, 152 mal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sexual harassment myths and sex role related attitude. Especially, male undergraduates were more likely to regard sexual harassment as behavior caused by misunderstanding and excessive response than females. Second, It was found that experience of sexual harassment wrongdoing had effect on sexual harassment myths and sex role related attitude. That is, sexual harassment wrongdoer group was more likely to think sexual behaviors as an expression of intimacy and a vitamin of work life. We also found that they were more acceptive to violent behaviors than non-group. Third,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when the effects of a grade and sex experience were partialled out, revealed that sexual harassment myths and sex role related attitude predicted sexual harassment significantly.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대상화 경험이 여성의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손은정(계명대학교) pp.399-417
초록보기
초록

여성들에게 특히 유병률이 높은 정신 장애에 대해 그동안 여러 관점에서 그 원인을 설명하고자 했으나 부분적인 설명만을 제공할 뿐이었다. 본 고에서는 대상화 이론을 살펴봄으로써 정신 건강 문제들에서 나타나는 성차에 대해 새로운 대안적인 관점을 제안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대상화 이론에 대한 내용을 소개한 후 대상화 이론과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살펴봄으로써 이 이론의 실증적인 가치에 대해 점검하였다. 대상화 이론에서는 여성의 신체는 남성의 신체보다 타인에 의해 관찰되어지는 성적 대상화를 더 많이 경험하게 된다고 보았고, 여성들은 반복되는 성적 대상화 경험을 통해 관찰자의 관점을 자신의 주요 관점으로 내면화함으로써 자기 대상화를 발달시키게 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자기 대상화에 의해 여러 가지 부정적인 심리적 경험들을 하게 되며, 이러한 부정적인 경험이 축적되어 섭식 장애, 우울증, 성기능 장애와 같은 정신 장애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보았다. 대상화 이론과 관련해서 그동안 이루어진 경험적 연구들에서는 (a) 성적 대상화는 자기 대상화를 초래하며, (b) 대상화 경험에 있어서 남녀 성차가 있고, (c) 대상화 경험은 연령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며, (d) 대상화 경험은 섭식 장애, 부정적인 정서들, 수행 능력, 부적응적인 행동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대상화 이론이 실증적으로 입증될 수 있는 것임을 보여주고 있다. 대상화 이론은 자기 대상화라는 개인차를 보이는 심리적 변인을 제안하였다는 것에서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자기 대상화에 대한 개념에 대해 더 명확히 밝힐 필요가 있으며, 대상화 이론을 적용한 연구의 영역을 보다 확대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There were some theories explaining the reason of gender differences in a few mental disorders whose women's prevalence ratio is higher than men's. However, the previous theories have provided just partial explanations for gender differences. In this study, the alternative explanation for women's mental health would be presented by exploring objectification theory. Women's body is more objectified by others than men. It is called sexual objectification. The repetition of sexual objectification may cause self-objectification by internalizing the observer's point for their body. Self-objectification is likely to bring about some negative experiences: shame, anxiety, the lack of peak motivational state, the deficiency for an awareness of internal bodily states. The accumulation of negative experiences lead to mental health risks: eating disorders, depression, sexual dysfunctions. The objectification theory has been proved by empirical studies by this time.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showed that (a) sexual objectification causes self objectification, (b) the experiences of objectification are different between women and men, (c) the experiences of objectification changes according to developmental stages (d) objectification had an effect on eating disorders, negative emotions, performance ability, and non-adaptive behaviors. The implication of objectification theory is the proposal of the individual psychological concept 'self objectification'. The concept of 'self objectification' might be clarified, and the range of research based on the objectification theory should be broaden in the future research.

성폭력 피해 자녀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 MMPI, BDI, STAI에 관한 비교연구
강민아(해바라기 아동센터) ; 임경희(계명대학교) pp.419-43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자녀의 성폭력 피해에 수반되는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을 MMPI, BDI, STAI를 통해 비교 연구하고자 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자녀가 성폭력 피해를 경험한 어머니들로써, 이들을 어머니의 성폭력 피해 유무에 따라 두 집단으로 나누었다. 어머니 자신이 성폭력 경험이 있는 집단은 15명이었고, 성폭력 경험이 없는 집단은 32명이었다. 비교대상은 일반 자녀 어머니 32명이었다. 연구자들은 모든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MMPI, BDI, STAI에 대해 평가하였고, 세 집단 간의 평균에 대한 차이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폭력 피해 자녀 어머니 중 성폭력 경험이 있는 집단이 MMPI의 임상척도에서는 Pd 척도, 내용척도에서 적대감(ANG), 불안(ANX), 강박성(OBS) 척도가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얻었다. 이들에게는 분노 통제의 어려움, 사회적 냉대감, 불안과 관련된 생각이 증가되어 있었다. 성폭력 피해 자녀 어머니 중 성폭력 경험이 없는 집단은 MMPI의 임상척도는 Hs 척도, Sc 척도, 내용척도는 건강염려(HEA) 척도가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얻었다. 이들은 모호한 신체적 증상에 대한 호소가 많고, 주변 사람들에게 의지하고 싶은 욕구가 증가되어 있음이 나타났다. 성폭력 피해 자녀 어머니 두 집단 모두 Pa 척도, Pt 척도, BDI와 STAI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것은 자녀의 성폭력 피해가 어머니들에게 불안정한 정서, 증가된 타인에 대한 의심을 가져다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폭력 피해 자녀 어머니의 군집분석 결과, 집단 1, 2의 2가지로 분류되었고, 그 유형은 차이가 있었다. 집단 1은 적응적 방어나 합리성을 주장하고 있고, 집단 2는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데 심리적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이유에 대해 다양한 가능성들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oth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following their children's disclosures of sexual abuse by MMPI, BDI and STAI.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mothers who had sexually abused children. Based on the fact whether the mothers had been sexually abused or not, the mothers were separated into two groups (Group 1 and 2). In these sexually abused children’s mothers, 17 out of 47 mothers had suffered from the sexual abuse in the past. Control group contained 32 mothers who did not have sexually abused children and who had not been sexually abused in their childhood (Group 3). All mothers were evaluated with MMPI, BDI, and STAI tests. The difference in the average based on the above three tests was examined among the three groups. The results as follows; Group 1 had higher index in the level of Pd, Anger(ANG), Anxiety(ANX) and Obsessiveness(OBS) content in MMPI test, which means that they were closely related to anger, social inhospitality and thought with anxiety. Group 2 had higher index in the level of Hs, Sc and Health Concern(HEA), which means that they were abundant in obscure physical symptoms and desire to depend upon friends and acquaintance. It was shown in the BDI and STAI tests that the indexes to Group 1 and 2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Group 3, which means that sexually abused children made mothers experience unstable emotion and suspect others. The results of cluster analysis of mothers who had sexually abused children made those mothers classified into 2 different types. Group 1 insisted on defense for adaptation or rationalization and Group 2 had psychic difficulty in solving problem by themselves. Some reason for the results might be assumed.

한국 남녀 대학생 집단에서 자아해석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김현미(한림대학교) ; 방희정(이화여자대학교) ; 소유경(한림대학교) ; 옥정(이화여자대학교) ; 김은경(포천중문의과대학교) pp.437-45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남자 대학생 158명과 여자 대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자아해석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남녀 집단에서 독립적 자아해석, 관계적-상호의존적 자아해석, 자아존중감, 심리적 안녕감이 어떤 차이와 상관을 보이는가를 살펴 본 결과, 각 변인에서 성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여자 집단에 비해 남자 집단에서는 독립적 자아해석과 관계적-상호의존적 자아해석과의 상관이 유의미하였다. 독립적 자아해석, 관계적-상호의존적 자아해석이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독립적 자아해석은 자아존중감을 매개하여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모형을 설정하고, 이 모형이 남녀 집단에서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가를 구조방정식에 근거한 다집단 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남녀 두 집단에서 심리적 안녕감 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집단에 따라 제안된 모형의 모수추정치를 비교하였더니, 남녀 집단에서 독립적 자아해석이 자아존중감을 매개해서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미하였다. 또한 남자 집단에서는 독립적 자아해석이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여자 집단에서는 관계적-상호의존적 자아해석이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elf-construals on psychological well-beings. Participants were 158 university males, 150 university females in Korea. First, gender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on relational-interdependent self-construal, independent self-constual,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ut in the case of males, independent self-construa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relational- interdependent self-constual. The present study proposes that the independent and that relational- interdependent self-construals are predi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at the effect of an independent self-construal on psychological well-being is mediated through self-esteem. We examined the influence of self-construals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lso analyzed the results according to gender differences through the multi-sample analysis based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s a result, the goodness of fitness of the proposed model was acceptable. Comparing parameter estimates, we found the effect of an independent self-construal on psychological well-being as mediated through self-esteem in both groups.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influence of independent self-constual on psychological well-being was significant in males, whereas the influence of relational-independent self-constual on psychological well-being was significant in females.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의 하위 유형에 따른 남녀 차이 비교
이명주(부산대학교) pp.459-47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아동을 대상으로 주의력 결핍 우세형 기준에 해당하는 아동과 복합형 기준에 해당하는 아동의 성비 및 동반되는 문제에서의 차이를 비교해 보는 것이다. 부산시내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717명의 1학년에서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부모용 K-ARS와 또래 수용도, 그리고 KPI-C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복합형기준에 해당하는 아동이 6.4%(46명), 남녀비율은 3.2(35):1(11), 주의력 결핍 우세형 기준에 해당하는 아동이 4.3%(31명)으로 남녀비율은 2.1(21):1(10)로 나타났다. 하위 유형별 관련문제를 비교해 본 결과, 복합형기준에 해당하는 아동과 주의력 결핍 우세형 기준에 해당하는 아동은 내재화문제와 외현화 문제에서 정상아동에 비해 높은 어려움을 보였다. 특히, 복합형 기준에 해당하는 아동은 주의력 결핍 우세형 기준에 해당하는 아동에 비해 비행문제를 더 많이 보였으며, 내재화장애에서는 두 하위 유형간에 차이가 없었고, 성차도 유의하지 않았다. 다만, 또래 수용도의 경우 하위 유형과 성차의 상호작용이 유의하였으며, 복합형 기준에 해당하는 남아는 주의력 결핍 우세형 기준에 해당하는 남아와 정상남아에 비해 또래 수용도에 유의한 어려움을 보인 반면, 여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끝으로 이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goal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male-to-female ratio according to the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ADHD) subtype in community-based population and exploring related problem of two subtype of ADHD(ADHD-Combined type and ADHD-Inattention type). 717 school children were evaluated by the parent ratings on a Korean ADHD rating scale(K-ARS) and Korean 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KPI-C). From 717 school children, 77 ADHD <46(6.4%) ADHD-Combined type and 31(4.3%) ADHD-Inattention type> were identified. The male-to-female ratio for the ADHD-Combined type is 3.2:1 and the male-to-female ratio for the ADHD-Inattention type is 2.1:1. ADHD-Combined children and ADHD-Inattention children were rated as displaying more externalizing problem and internalizing problem than control group. ADHD-Combined children were rated as displaying more externalizing problem than ADHD- Inattention children, but ADHD-Combined group and ADHD-Inattention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on the internalizing problem. The most interesting results wa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subtype and the gender. In case of the male, ADHD-Combined children were rated as displaying more peer dislike problem than ADHD-Inattention type and control group. In case of the female, there was not differecne in peer dislike.

기혼여성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분리개별화, 희망이 결혼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명옥(충북대학교) ; 하정희(충북대학교) pp.477-49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에서 결혼적응과 관련성을 보이는 스트레스 대처방식, 분리개별화, 희망을 상정하여 이들 변인들과 결혼적응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결혼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혼여성 337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처방식과 결혼 적응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대처 방식 하위 차원의 영향력이 각각 통제되었을 때, 적극적 대처방식의 하위변인인 문제중심 대처방식을 많이 사용할수록, 소극적 대처방식의 하위변인인 정서중심 대처방식을 적게 사용할수록 결혼적응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분리개별화가 잘 될수록 결혼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희망이 클수록 결혼적응을 잘하는데, 특히 희망의 하위변인 중 주도사고가 결혼적응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결혼적응에 대한 대처방식, 분리개별화, 희망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결혼적응에는 분리개별화, 희망의 순으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논의와 함께 시사점과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to find the relationships between coping style, separation-individuation and hope on married woman's marital adjustment. There were 337 married woman who had lived in Korea in this study. The significant results were revealed as follows. : First, when effects of other sub-dimensions of coping style were controlled, the more positive coping style of 'problem-focused coping style', the less passive coping style of 'emotion-focused coping style', the better marriage adjustment was: Second, women who showed high separation-individuation level from their parents tend to have better marital adjustment. Third, women who had high hope level tend to have also better marital adjustment, especially agency thinking, sub-dimensions of hope, had great impact on marital adjustment Forth, When effects of other variables were controlled, we could be convinced that separation-individuation and hope had great impact on marital adjustment. When such results were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suggested.

Career search self-efficacy: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gender and career services
양은주(연세대학교) ; 이기학(연세대학교) pp.497-5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 졸업예정자들의 진로서비스 이용에 따른 구직 관련 자기 효능감의 성차를 조사하였다. 구직 관련 자기 효능감으로는 구직 효능감, 사회지지망 사용 효능감, 인터뷰 효능감, 자기 탐색 효능감의 네 영역이 포함되었으며, 이들이 성별 및 진로 서비스 이용 경험의 유무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가 검증되었다. 미국 남녀 대학 졸업예정자 123 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구직 관련 자기 효능감 척도가 사용되었다. 척도의 점수가 다소 부적 편포를 보였으므로 정상 분포에 가깝도록 변환된 점수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이미 졸업 후 직업이 결정되었는지의 여부는 공변량으로 통제되었다. 다중 공변량 분석 결과, 성별 자체는 유의미한 주효과가 없었으나, 진로 서비스 이용 경험의 유무의 주효과와 성별과 진로서비스 이용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미하였다. 여성의 경우, 진로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은 집단은 이용한 집단보다 네가지 유형 모두의 효능감 수준이 낮았으나, 남성은 진로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은 집단과 이용한 집단 간의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진로서비스의 효과에 있어서 성차가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gender differences in career search self-efficacy of graduating college students. The differences in four types of career search self-efficacy, job search efficacy, networking efficacy, interviewing efficacy, and personal exploration efficacy, were examined based on gender and the previous use of career services. One hundred twenty three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ho were graduating in two months completed Career Search Efficacy Scale. Due to the moderate negative skewness, the scores of career search self-efficacy measures were power transformed. Whether they already received job offers or not was controlled as a covariate. The result of MANCOVA indicated the main effect of the use of career services and the interaction between gender and the use of career services on career search self-efficacy. Women who used career services showed higher scores on four types of career search self-efficacy measures than those who did not. Men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the use of career services. These results suggest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earch self-efficacy and the use of career services is stronger for women than for men, possibly implying that the relative importance of career services may be based on gender.

구직 관련 자기 효능감: 성별과 진로서비스 이용간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양은주(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이기학(연세대학교 심리학과) pp.497-5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 졸업예정자들의 진로서비스 이용에 따른 구직 관련 자기 효능감의 성차를 조사하였다. 구직 관련 자기 효능감으로는 구직 효능감, 사회지지망 사용 효능감, 인터뷰 효능감, 자기 탐색 효능감의 네 영역이 포함되었으며, 이들이 성별 및 진로 서비스 이용 경험의 유무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가 검증되었다. 미국 남녀 대학 졸업예정자 123 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구직 관련 자기 효능감 척도가 사용되었다. 척도의 점수가 다소 부적 편포를 보였으므로 정상 분포에 가깝도록 변환된 점수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이미 졸업 후 직업이 결정되었는지의 여부는 공변량으로 통제되었다. 다중 공변량 분석 결과, 성별 자체는 유의미한 주효과가 없었으나, 진로 서비스 이용 경험의 유무의 주효과와 성별과 진로 서비스 이용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미하였다. 여성의 경우, 진로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은 집단은 이용한 집단보다 네가지 유형 모두의 효능감 수준이 낮았으나, 남성은 진로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은 집단과 이용한 집단 간의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진로서비스의 효과에 있어서 성차가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gender differences in career search self-efficacy of graduating college students. The differences in four types of career search self-efficacy, job search efficacy, networking efficacy, interviewing efficacy, and personal exploration efficacy, were examined based on gender and the previous use of career services. One hundred twenty three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ho were graduating in two months completed Career Search Efficacy Scale. Due to the moderate negative skewness, the scores of career search self-efficacy measures were power transformed. Whether they already received job offers or not was controlled as a covariate. The result of MANCOVA indicated the main effect of the use of career services and the interaction between gender and the use of career services on career search self-efficacy. Women who used career services showed higher scores on four types of career search self-efficacy measures than those who did not. Men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the use of career services. These results suggest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earch self-efficacy and the use of career services is stronger for women than for men, possibly implying that the relative importance of career services may be based on gender.

성피해의 심리적 후유증에 관한 연구 -성적 영역을 중심으로-
이주용(성신여자대학교) ; 김정규(성신여자대학교) pp.511-53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성적 영역을 중심으로 한 성피해의 후유증을 살펴보았다. 성피해가 성인기 성(性)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되며, 성적 영역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우선 ‘성의식 및 성활동 질문지’와 ‘자아존중감척도’를 사용하여 양적연구를 실시하고, 심한 성피해를 경험한 5명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심층인터뷰의 녹취록을 분석하여 주제별로 분류한 결과, 크게 성피해 관련장면과 성피해 후유증으로 나눌 수 있었다. 성피해 관련은 ‘성피해 당시의 경험’과 ‘성피해에 대한 인식’의 2가지 소주제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성피해 후유증은 ‘신체지각과 성’, ‘정서변화’, ‘대인관계와 성’, ‘성적 과민성,’ ‘성장기의 성’, ‘왜곡된 성의식’, ‘해결해야할 과제로서의 성’, ‘첫 성관계의 중요성’, ‘첫 성관계 이후의 성행동’이라는 9가지 소주제로 분류할 수 있었다. 각각의 주제 내에서 시간에 따른 변화가 관찰된 경우에는 이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기술하였다. 또한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결과를 통합하여 해석하고자 하였다.

Abstract

To find that how the sexual abuse has affected adulthood sexual behavior and how change the aspects in process of time,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tegrate interpretation of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ults. The quantitative study was administered to 20~50 aged 144 women, and were used ‘The sexual concept and sexual behavior questionnaire’ and ‘Self esteem scale’. The qualitative study was analized recording files of depth interview done to 5 women experienced several sexual abuse. I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victims of sexual abuse had little awareness of the situation was sexual abuse, and they become to know that the situations they sufferd were. Then, They interested and stydied in sex, and they conforms of their worries as sexual actions. The results increased percentage of sexual actions in sexual abused women before marriage. Victims that experienced several sexual abuse, have negative feelings of their sexual body-part, low insensibility of orgasm, more complain of sexual dysfunction, and it related to decreasing of sensibility about body awareness. Although women victims have low self-esteem, and they positioned and experienced in adverse condition repeatedly, they experiences stability, intimacy and sufficiency after sexual actions with love.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