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성별 관련 조직 요인들이 조직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Gender-Related Organizational Factors on the Organizational Output

초록

많은 기업에서 직장인 지원 프로그램(EAP)의 도입이 검토되고 있는 요즘에, 본 연구에서는 성별관련 조직 요인들이 조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직장인 826명과 중앙 및 지방공무원 203명으로 구성된 총 1,029명을 대상으로 성평등적 조직문화, 성평등적 직장 관행, 그리고 정보접근성, 업무 명확성, 성희롱경험과 같은 직장 내 개인적 성차별 경험 및 가족친화정책 도입과 같은 성별관련 조직 요인들이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러한 변인들이 직장-가정 갈등(WIF)과 가정-직장 갈등(FIW)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며, 특별히 정책적 시사점을 찾기 위하여 이러한 일-가족 갈등이 조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족친화정책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정보접근성, 성평등 직장관행, 가족친화정책이 조직 성과를 높였고, 여성의 경우 직장관행이 성평등적일수록, 일-가족 갈등(직장-가정 갈등(WIF), 가정-직장 갈등(FIW))이 낮아졌으나 성평등 조직문화는 반대의 관계를 보였다. 또한 정책과 관련하여 여성의 경우는 가정-직장 갈등(FIW)에서, 남성의 경우에는 직장-가정 갈등(WIF)에서, 일-가족 갈등이 조직 성과를 예언하는데 있어서 가족친화 제도 활용의 조절 효과가 두드러졌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기업체에서 가족친화적 정책을 도입하여 조직 성과를 높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공한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의의와 한계 및 앞으로 연구 과제를 논의하였다.

keywords
성평등 조직문화, 조직 성과, 직무만족, 이직의도, 가족친화정책, 직장-가정 갈등, 가정-직장 갈등, gender equality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output,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family-friendly policies, work-family conflict, family-work conflict

Abstract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he gender-related organizational factors on organizational output was investigated. The present research conducted 1029 workers consisting of 826 employees and 203 central government officials or local officials about the effects of personally experienced discrimination in the workplace, such as gender equality organizational culture, gender equality work practices, information accessibility, job clarity and sexual harassment experience es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nd the effect of gender-related organizational factors such as introduction of family-friendly policies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is also examined. And, the effect of these factors on the work-family conflict(WIF) and family-work conflict(FIW) was conducted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family-friendly policies is prominent at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on organizational output. In sum, the present research suggest that accessibility information, gender equality work practices and family-friendly policies have improved organizational output. And for women, the more work practices is gender equality, the less work-family conflict(WIF) and family-work conflict(FIW) are.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gender equality organizational culture is opposite. Futhermore, for women, the moderating effects of family-friendly policies is prominent at prediction of organizational output by family-work conflict(FIW). In contrast, for men, the moderating effects of family-friendly policies is prominent at prediction of organizational output by work-family conflict(WIF). This research introduced that a family-friendly policies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output is meaningful. The last,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keywords
성평등 조직문화, 조직 성과, 직무만족, 이직의도, 가족친화정책, 직장-가정 갈등, 가정-직장 갈등, gender equality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output,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family-friendly policies, work-family conflict, family-work conflict

참고문헌

1.

강혜련 (2002). 기업의 가족친화적 복지정책과 여성인력의 생산성. 생산성논총, 16, 1-23.

2.

강혜련, 임희정 (2000). 성취동기와 가족친화적제도가 기혼여성의 직장-가정 갈등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조절변인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5, 1-14.

3.

강혜련, 최서연 (2001). 기혼여성 직장-가정 갈등의 예측변수와 결과변수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6, 23-42.

4.

김양희, 정경아 (1999). 한국형남녀평등의식검사 개발. 한국여성개발원 연구보고서, 99-250-4.

5.

김태현, 임선영 (2004). 가족이념, 생활교류가 부모자녀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중년세대와 성인세대를 중심으로, 가족관계학회지, 9(1), 85-109.

6.

김태홍, 고인아 (2001). 가족친화적인 고용정책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한국여성개발원 연구보고서.

7.

김혜숙, 이선이, 윤소연, 김영래, 김호섭 (2005). 대학의 여성리더: 남녀교수의 리더십 자기 지각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0(3), 293-319.

8.

김혜숙, 장재윤 (2002). 여성 공무원 리더의 효율성, 성 정체성 사람의 만족도와 조직의 성차별 문화.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8, 191-208.

9.

신의항, 송효환 (2003). 한국재벌기업의 집단주의와 사회적 연결망. 유석춘 외(편), 우리에게 연고는 무엇인가, 서울: 전통과 현대.

10.

윤정애 (2004). 조직 내 기업 루머 활성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조직구성원의 조직 신뢰도, 정보 접근성을 중심으로. 서강대 영상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이성은 (2005). 한국의 조직문화와 여성의 사회적 연결망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학, 21(1), 126-164.

12.

장재윤, 김혜숙 (2003). 직장-가정간 갈등이 삶의 만족 및 직무태도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서의 성차: 우리나라 관리직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9, 23-42.

13.

전지현 (2004). 취업모의 직장가정간 갈등이 삶의 만족 및 직무태도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서의 성차: 우리나라 관리직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9(1), 23-42.

14.

정진경 (1990). 한국성역할검사(KSRI).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5, 82-91.

15.

최수찬, 우종민, 윤미영, 김상아, 박웅섭 (2006). 남녀근로자의 직장-가정간 갈등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가족친화적 기업복지제도의 도입을 위한 논의. 가족복지, 17, 143-171.

16.

한국여성개발원 (2001). 여성통계연보.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17.

한정자 (2001). 직장내 성차별 문화와 여성 정책 효과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8.

한정자, 함인희, 조혜원 (2004). 군대내 양성평등 현황 분석 및 확산방안 연구. 국방부, 여군발전단.

19.

Cammann, C., Fichman, M., Jenkins. D., & Klesh, J. (1983). The Michigan Organizational Assessment Questionnaire.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Michigan, Ann Arbor.

20.

Champoux, J. E. (1980). The world of nonwork: Some implication for job re-design effort. Personnel Psychology, 33, 61-75.

21.

Frone, M. R., Russell, M., & Cooper, M. L. (1992). Antecedents and outcomes of work-family conflict: Testing a model of the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7, 65-78.

22.

Greenhaus. J. H., & Beutell, N. J. (1985). Sources of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role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0, 76-88.

23.

Johnson, A. A. (1995). The business case for work-family program. Journal of Accountancy, 18, 53-62.

24.

Kossek, E. E., & Ozeki (1998). Work-family conflict, policies, and the job-life satisfaction relationship: A review and directions for organizational behavior-human, Resources Research.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2, 139-148.

25.

Neal, M. B., Campman, N. J., Ingersoll-Dayton, B., & Emlen, A. C. (1993). Balancing Work and Caregiving for Children, Adults and Elders. Sage Publications

26.

Newman, J. (1996). Gender and cultural change. Itzin, C., & Newman, J. (eds.), Gender, Culture and Organization Change, London and NY: Routledge.

27.

Sager, J. K. (1994). A Structural model depicting salespeople’s job stres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22(1), 74-84.

28.

Spearritt, K. & Edgar, D. (1994). The Family-Friendly Front: A Review of Australian and International Work and Family Research, Australia: National Key Centre in Industrial Relations, Monash University.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