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The present study analyzes research trends in scholarly papers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from 1991 to 2001 concerning grandparents and grandchildren. The numbers of articles on grandparents and grandchildren has been increasing from 5 in 1990s to 80 in 2000s in the fields of gerontology, family studies, social welfare, child study, and education altogether. A large number of papers focused on grandparents, especially on grandmothers, who have been fully or partially responsible for grandchildren rearing for their adult children addressing quality of life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The papers, taken together, tended to imply that grandchildren rearing became more critical than ever in the life of elderly women.
권인수 (2000). 손자녀를 돌보는 조부모의 부담감과 사회적지지. 아동간호학회지, 6(2), 212-223.
김근영, 곽금주, 배소영 (2009). 다문화가정 연구개관과 향후 방향성.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8(3), 571-597.
김미정, 강인설 (2008). 애착 관련 국내 학술지 논문의 연구경향 분석: 1995년~2007년. 아동학회지, 29(5), 165-180.
김미혜, 김혜선 (2004). 저소득층 조손가족 조부모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노년학, 24(3), 153-170.
김승용, 정미경 (2006). 손자녀 돌봄에 대한 조모 및 취업모의 인식 조사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1(5), 67-96.
김승훈 (2005). 조손 가정의 실태와 복지욕구에 대한 사례연구: 경북성주지역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여성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은주, 서영희 (2007).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실제에 관한 질적연구. 아동학회지, 28(2), 175-192.
김정은 (2002). 손자녀를 양육하는 빈곤지역 조부모의 심리․정서적 안녕과 영향 미치는 요인.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진숙 (2009). 조손가족 청소년의 생활세계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청소년학연구, 16(9), 223-248.
김혜선 (2004). 조손가족 조부모의 양육태도와 양육스트레스가 손자녀 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18, 85-117.
김혜선 (2005). 농촌과 도시 지역 손자녀를 전담 양육하는 저소득층 조부모의 정서적 고통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28, 341-378.
김혜선 (2009). 저소득 조손가족 조모의 손자녀 양육 체험이 조모의 삶에 미치는 의미. 노인복지연구, 43, 61-92.
민기채 (2010). 조손가족 조부모의 소득구성원과 총소득 결정요인. 한국노년학, 30(2), 323-341.
민하영 (2004). 손자녀가 지각하는 조모/외조모의 사회적 지지 특성과 학령기 아동의 심리적 적응.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3), 23-34.
민하영 (2008). 부모간 갈등 및 조모/외조모의 심리적 지지와 학령기 아동의 안녕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2), 33-41
박경란 (1994). 부모-조부모 관계의 질이 청소년기 손자녀-친조부모간의 유대관계에 미치는 영향-부산시 중․고등학교학생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14(2), 74-89.
박경애 (2007). 사회적지지가 조손가족 조부모의 손자녀 돌봄보상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2(3), 25-45.
박미자 (2008). 조손가족 청소년의 문제행동 연구. 한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미자, 이창식 (2008). 조손가족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및 자아존중감과 문제행동간의 관계. 청소년복지연구, 10(1), 93-114.
박옥임, 김정숙 (2006). 조손가족과 3세대가족 손자녀의 가족생활적응 및 자존감 비교. 한국가족복지학, 11(3), 129-139.
박옥임, 김진희 (2008). 농촌 조손가족 손자녀의 일탈행동에 관한 연구: 3세대 가족과 비교 제목. 한국가족복지학, 13(3), 73-88.
박의순 (1990). 대학생이 지각한 조부모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창기 (2002). 농촌지역 조부모-손자녀 가족의 가족 기능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박충선 (2010). 조손가정의 형성원인과 양육경험에 따른 조모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5(2), 105-125.
박화윤, 이영숙 (1999). 유아기 손자녀에 대한 조모의 역할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19(2), 21-41.
배지희, 노상경, 권경숙 (2008). 조부모의 영유아기 손자녀 양육 현황 및 양육 지원에 대한 요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1), 379 -410.
배진희 (2007). 손자녀 양육 조부모의 심리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양육형태별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29, 67- 94.
서동인 (1989). 손자녀가 지각한 조모와 손자녀와의 접촉과 조모의 역할 수행. 한국가정관리학회지, 7(2), 45-60.
서동인, 유영주 (1991). 손자녀가 지각한 조모와의 심리적 친밀도. 아동학회지, 12(2), 154-172.
서 현 (2009). 농촌지역 조부모-손자녀 가정 유아의 양육에 대한 조부모의 어려움. 한국생활과학, 18(1), 13-27.
서혜석 (2005).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손자녀 양육 조부모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0(3), 61-81.
서홍란, 김양호 (2010). 조손가족 조부모를 위한 강점기반 집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노인복지연구, 47, 161-186.
성지혜 (2001). 빈곤한 조부모-손자녀세대 아동의 우울 및 불안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복지관 서비스 대상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송유미 (2009). 조손가족청소년의 학교 적응유연성의 발달 경로모형 연구. 사회복지개발연구, 15(2), 143-164.
송유미, 이윤형 (2009). 조손가족 조부모의 가족스트레스와 가족기능 간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43, 111-133.
신은정 (2004). 조부모손자녀세대의 가족기능과 손자녀의 심리적 특성과의 관계: 자아존중감, 우울, 불안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양소정, 정경미, 김원경 (2008). 공동양육 조모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 관련성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3(4), 415-432.
오선영, 장혜진, 조윤정 (2006). 조손가정 아동의 생활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아동권리연구, 10(4), 557-604.
오진아 (2006). 취업모 가정에서 손자녀를 돌보는 조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삶의 질. 아동간호학회지, 12(3), 368-376.
오진아 (2007). 손자녀를 돌보는 조모의 삶의 질 구조모형. 아동간호학회지, 13(2), 201 -211.
옥경희 (2005). 조부모-손자녀가족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4), 55- 65.
옥경희, 정계숙, 천희영, 황혜정, 최성학 (2006). 한국과 연변조선족 조부모-손자녀가족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4), 25-36.
윤승희 (2005). 조부모 가구 조모의 양육스트레스와 관련된 요인.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미숙 (2010). 장애아동 양육에 참여하는 조부모의 긍정적 적응을 위한 양육스트레스 분석.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1(2), 119-145.
이미영 (2007). 조손가정 형성과정 및 생활실태. 복지행정논총, 17(1), 203-230.
이미숙, 조병은, 강란혜 (2004). 학동기 손자녀에 대한 조모의 역할수행: 취업모 가족과 비취업모 가족 비교. 대한가정학회지, 42(4), 69-84.
이선형, 이경림, 임춘희 (2009).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4(4), 57-77.
이숙현 (2005). 여성과 돌봄: 모성과 부양의 여성화.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0(2), 133-149.
이영숙 (2004). 청소년기 손자녀에 대한 조부모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3(5), 673-681.
이영숙, 박화윤 (2000). 유아기 손자녀가 기대하는 조부모의 역할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0(3), 211-232.
이정이, 최명선 (2007a). 조손가정의 환경적 특성에 따른 아동 행동문제. 놀이치료연구, 10(1), 63-72.
이정이, 최명선 (2007b). 조손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행동문제에 대한 사회적지지 지각의 조절효과. 아동학회지, 28(2), 205-216.
이지연, 정경미, 김원경 (2008). 중산층 양육조모와 비양육 조모의 양육스트레스 및 정신건강 실태조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3(3), 325-341.
이지연, 김원경, 정경미 (2009). 지원 양육조모의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대처, 양육 행동에 대한 연구-주 양육모, 부분 양육모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9(2), 441-458.
이창식, 박미자(2009). 조손가족 청소년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지지 및 자아존중감간의 관계 -3세대가족 청소년과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3(4), 151-172.
이창식, 박미자, 장은순 (2010). 조손가족 청소년의 스트레스 대처,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5(1), 1-20.
이채호, 최인수 (2009). 유아 창의성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아동학회지, 30(5), 1-8.
이화진 (2004). 조손세대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조부모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 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희섭 (2004). 조손가족 조부모의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혜경, 손현미, 임정현 (2009). 조모의 손자녀 양육에 관한 문화기술지: 다중의 경계 밖에 가족 만들기. 한국사회복지학, 61(1), 109-134.
장희경, 조병은 (1995). 맞벌이 가족의 조모 - 손자녀 관계가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16(1), 211-224.
장희선, 김윤정 (2008). 농촌지역 조부모-손자녀가족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경험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40, 7-29.
전창진 (2009). 조손가정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복지개발연구, 15(2), 197-224.
정일선 (2004). 농촌 조손가정의 형성과 여성노인의 적응.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조병은, 이미숙, 강란혜, 矢富直美, 前原武子 (2002). 한국과 일본 취업모 가정의 조모 역할과 조모와 손자녀의 심리적 복지감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노년학, 21(3), 213- 229.
조복희 (1977). 조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성격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15(2), 75-82.
조석미 (1980). 조부모의 역할에 대한 노년층의 의식구조.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주소희, 이경은, 권지성 (2009). 조손가정 아동의 생활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30, 97-131.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 (2009). 2009년 아이돌보미 양성교육 교재. 보건복지가족부.
최명선, 이정이 (2007). 조손가정 아동의 외로움 연구. 놀이치료연구, 10(2), 33-43.
최해경 (2002). 저소득층 조손가정 여성노인의 우울감과 관련요인. 한국노년학, 22(3), 207-222.
최해경 (2006). 조손가정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적응유연성.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3, 37-58.
최혜지 (2003). 미국 손자녀 전담양육 조모의 가정생활만족에 관한 연구-세대간 관계와 과거 결혼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자료집, 346-358.
최혜지 (2006). 저소득층 조손가족의 조부모-손자녀 관계 결정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6(3), 641-655.
최혜지 (2009). 조손가족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 이해: Sen의 인간존재실현력(human capability) 패러다임을 통한 접근. 한국인구학, 32(3), 103-126.
통계청 (2005). 인구주택총조사. http://kosis.nso. go.kr.
한경혜, 주지현, 이정화 (2008). 조손가족 조모가 경험하는 손자녀 양육의 보상과 비용. 한국노년학, 28(4), 1147-1164.
허경옥, 이현진, 박귀영 (2009). 조손가계의 경제구조 분석-확대가계 및 핵가계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소비자정책연구, 5(1), 69- 84.
허남순 (2004). 친인탁가정위탁과 일반가정위탁아동의 심리사회적 특징 및 위탁가정의 서비스 욕구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아동복지학, 18, 243-270.
Bowers, B. F. & Myers, B. J. (1999). Grandmothers providing care for grandchildren: Consequences of various levels of caregiving. Family Relations, 48, 303-311.
Brian, S. T. (2000). A cross-cultural study of the school performance of children bring raised by their grandparents. Ph.D. Dissertation. Arizona University.
Brown, L. B. (2003).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An in-depth phenomenological study. The New Mexico State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Chen, X. & Silverstein, M. (2000). Intergenerational social support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older parents in China. Research on Aging, 22(1), 43-65.
Cox, C. (2009). Custodial grandparents: Policies affecting care. Journal of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 7, 177-190.
Creswell, J. W. (2007).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2nd ed.). Thousand Oak: Sage Publications.
Fuller-Thompson, E. & Minkler, M. (2001). American grandparents providing extensive child care to their grandchildren: Prevalence and profile. The Gerontologist, 41, 201-209.
Fuller-Thompson, E., Minkler, M., & Driver, D. (1997). A profile of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in the United States. The Gerontologist, 37, 406-411.
Geen, R. (2004). The evolution of kinship care policy and practice. The Future of Children, 14,(1), 130-149.
Hayslip, B. Jr., Shore, J., Henderson, C., & Lambert, P. (1998). Custodial grand parenting and the impact of grandchildren with problems on role satisfaction and role meaning. The Journal of Gerontology, 53B, 164-173.
Jendrek, M. P. (1993). Grandparents who parent their grandchildren: Lifestyl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5, 609-921.
Jendrek, M. P. (1994). Grandparents who parent their grandchildren: Circumstances and decisions. The Gerontologist, 34, 206-216.
Marshall, K. (2006). Converging gender roles. Perspectives on Labour and Income, 18, 7-19.
Minkler, M., Driver, D., Roe, K. M., & Bedeian, K. (1993). Community intervention to support grandparent caregivers. The Gerontologist, 33(6), 807-811.
Minkler, M. & Roe, K. M. (1996). Grandparents as surrogate parents. Generations, 20(1). 34-38.
Ravanera, Z., Beaujot, R., & Liu, J. (2009). Models of earning and caring: Determinants of the division of work. Canadian Review of Sociology, 46(4), 319-337.
Solomon, J. C., & Marx, J. (1995). To grandmother's house we go: Health and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raised solely by grandparents. The Gerontologist, 35(3), 386-394.
Stelle, C., Fruhauf, C. A., Orel, N., & Landry-Meyer, L. (2010). Grandparenting in the 21st century: Issues of diversity in grandparent-grandchild relationships.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ork, 53(8). 682-701.
U.S. Bureau of the Census (2003). U.S. grandparents living with grandchildren: 2000. U.S. Bureau of the Cens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