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단체카톡방 언어성폭력에 대한 태도 연구

Attitudes towards sexual comments in group texting

초록

본 연구에서는 현재 한국 사회에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대학 내 소셜네트워크 단체 채팅방 (단톡방) 언어성폭력에 대한 사람들의 태도를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텍스트 분석 연구(연구 1)와 심리학 설문 연구(연구 2)를 통해 탐색하였다. 연구 1에서는 단톡방 언어성폭력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해당 사건에 대한 인터넷 뉴스기사를 수집하고, 댓글들을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댓글에 동시 출현한 단어 쌍을 이용하여 단어 동시출현 네트워크를 생성하였으며, 토픽모델링 기법을 이용하여 댓글의 하위토픽들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단어 동시출현 네트워크는 가해자/피해자가 속한 환경인 대학과 관련된 단어, SNS 상 언어성폭력의 특징과 관련된 단어, 그리고 여성 혐오를 표현하는 단어 그룹으로 구분되었고, 토픽모델링 결과 댓글의 주요 주제로 교육, 사회문제, 여성비하, 성적표현 토픽 등이 도출되었다. 연구 2에서는 사람들이 단톡방 언어성폭력의 공공성과 그 피해를 인식하는지 알아보고자, 단톡방 언어성폭력 사건에 대한 태도를 사적 언어성폭력, 그리고 피해자에게 직접적으로 가하는 언어성폭력에 대한 태도와 비교하였다. 참가자들은 이 중 한 사건의 가상 시나리오를 읽고, 범죄의 크기, 적정 처벌의 정도, 가해자 및 피해자 책임, 피해자에 대한 동정심, 사건을 알리는 고발 행위의 도덕성, 고발 행위의 집단 명예 실추 여부, 그리고 고발 의지에 대해 응답하였다. 그 결과, 피해자에 대한 동정심, 고발 행위의 도덕성, 고발 의지에 있어서는 단톡방 사건을 직접적 언어성폭력과 유사하게 인식한 반면, 고발 행위의 집단 명예 실추 여부에 대해서는 단톡방 사건을 오프라인 사적 언어성폭력과 유사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가적 성 차별주의가 높을수록 단톡방 언어성폭력 범죄의 크기를 더 낮게 인식하고 피해자에 대한 동정심을 덜 느끼며, 고발 행위의 도덕성을 더 낮게 평가한 반면, 도덕 가치에 있어 집단적 가치보다 개인의 평등에 가치를 둘수록 범죄 크기, 피해자에 대한 동정심, 고발 행위의 도덕성 등을 더 높게 평가하는 등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keywords
단톡방, 언어성폭력, 태도, 텍스트 마이닝, 학제적 접근, group-texting, sexual harrassment, attitudes, text mining, interdisciplinary approach

Abstract

Recently, the cases of male college students’ violent sexual comments about female classmates in their private group-texting have been increasing in Korea. The present research explored people’s attitudes toward such cases from an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 In study 1, using a text-mining method, we analyzed users’ comments to online news articles of the recent incidents of college students’ sexual comments in group-texting. Co-word networks analysis identified co-occurring word groups of ’college,’ ’sexual comments in social-networking context,’ and ’misogyny.’ Topic-modeling analysis also revealed major topics of the comments, for example, ’education,’ ’social problems,’ ’degradation of women,’ and ’sexual expressions.’ In Study 2, we explored people’s attitudes towards scenarios of violent sexual comments and whistle blowing in three different contexts—in a group-texting, an offline private conversation, and a direct sexual harassment contexts (as a between-subject design). Participants in the group-texting condition and the direct condition showed higher sympathy to the victim and higher willingness to blow the whistle than did those in the private condition, suggesting that they perceived the group-texting context as public to some degree. However, regarding the reputation of ingroup, participants in the group-texting and in the private conversation conditions rated the whistle blowing as more damaging to the reputation of ingroup than did those in the direct condition. The relations between participants’ attitudes toward the scenarios and two measures of individual differences (ambivalent sexism, a fairness–loyalty tradeoff) were also discussed.

keywords
단톡방, 언어성폭력, 태도, 텍스트 마이닝, 학제적 접근, group-texting, sexual harrassment, attitudes, text mining, interdisciplinary approach

참고문헌

1.

Abrams, D., Viki, G. T., Masser, B., & Bohner, G. (2003). Perceptions of stranger and acquaintance rape: the role of benevolent and hostile sexism in victim blame and rape proclivit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 111-125.

2.

Blei, D. M., Ng, A. Y., & Jordan, M. I. (2003). Latent dirichlet allocation. Journal of Machine Learning Research, 3, 993-1022.

3.

Blondel, V. D., Guillaume, J. L., Lambiotte, R., & Lefebvre, E. (2008). Fast unfolding of communities in large networks. Journal of Statistical Mechanics: Theory and Experiment, 2008, P10008.

4.

Glick, P., & Fiske, S. T. (1996). The ambivalent sexism inventory: Differentiating hostile and benevolent sexis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 491-512.

5.

Graham, J., Haidt, J., & Nosek, B. A. (2009). Liberals and conservatives rely on different sets of moral found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6, 1029-1046.

6.

Graham, J., Nosek, B. A., Haidt, J., Iyer, R., Koleva, S., & Ditto, P. H. (2011). Mapping the moral domai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01, 366-385.

7.

Kim, K. R., Kang, J. S., & Yun, S. (2012). Moral intuitions and political orientation: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Psychological Reports, 111, 173-185.

8.

Niemi, L., & Young, L. (2016). When and why we see victims as responsible: The impact of ideology on attitudes toward victim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42, 1227-1242.

9.

Waytz, A., Dungan, J., & Young, L. (2013). The whistleblower's dilemma and the fairnessloyalty tradeoff.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49, 1027-1033.

10.

구자윤 (2016). ‘단톡방 性적험담’ 후유증 아직도… 피해자 정신과상담에 2차피해도, 파이낸셜 뉴스, http://www.fnnews.com/news/201611301739587958

11.

김도형, 차길호 (2016). [어떻게 생각하십니까]성희롱 ‘단톡방’ 공개가 사생활 침해?, 동아일보, http://news.donga.com/3/all/20160712/79142420/1

12.

김소담, 양성병 (2015). 온라인 뉴스 사이트에서의 일반댓글과 소셜댓글의 비교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 391-406.

13.

김은지, 박지선 (2011). 성폭력 피해자와 가해자에 대한 일반인들의 태도: 성역할에 대한 인식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법정, 2, 171-183.

14.

김정훈, 송영은, 진윤선, 권오병 (2015).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댓글의 공감도 및 비공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댓글의 특성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지, 14, 159-176.

15.

박광연 (2016). 서울대 단톡방 성폭력 피해자들 “가해자의 ‘장난’ 발언에 많이 울었다”, 경향신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607121052001&code=940100

16.

박수진 (2016). 연세대에서도 ‘단톡방 성희롱’의혹 폭로, 한겨레신문,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759515.html#csidx31aa05fcb332e018b1fb25b216cc58a

17.

박창호 (2014). 인터넷 매개적 상호작용으로서의 댓글의 찬성과 반대에 대한 분석. 담론201, 16, 135-164.

18.

신나리 (2016). “무식이 하늘 찌르네” 단톡방비방은 모욕죄, 동아일보, http://news.donga.com/3/all/20160905/80132564/1

19.

안상수, 김혜숙, 안미영 (2005). 한국형 양가적성차별주의 척도(K-ASI)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 36-66.

20.

윤병해, 고재홍 (2006). 양가적 성차별 태도에 따른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비난 차이:강간 통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1, 1-19.

21.

이석재, 최상진 (2001). 강간통념수용도에 따른 성행동, 성폭력 및 성폭행사건 지각.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 97-116.

22.

이선경, 허용회, 박선웅 (2015). 성별과 나이에 따른 성폭력 인식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9, 65-81.

23.

이수연, 김현정, 정수연 (2016). 텍스트마이닝기반 토픽 분석을 통한 온라인 성차별성의 이해.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3, 159-199.

24.

이하나 (2017). 단톡방 언어 성폭력’ 큰 코 다친다… 인권위 “성희롱 성립”, 여성신문, http://www.womennews.co.kr/news/view.asp?num=111398

25.

정효정, 배정환, 홍수린, 박찬웅, 송민 (2016). 정치적 이념에 따른 트위터 공간에서의집단 간 의견차이 분석. 한국언론학보, 60, 269-302.

26.

조아라 (2017). 독버섯처럼 번지는 ‘단톡방 성희롱’ 대학가 뒤숭숭, 한국경제,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703109107g

27.

조수선 (2007). 온라인 신문 댓글의 내용분석:댓글의 유형과 댓글 게시자의 성향.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일반, 15(2), 65-84.

28.

조하나, 정연오, 이재동, 이지형 (2013). 인터넷뉴스 댓글의 감성 분석을 통한 오피니언마이닝. 한국지능시스템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23, 149-150.

29.

허승, 이재욱 (2016). 여혐․음담패설에서 탈출하고 싶은 남성들…출구가 없다?, 한겨레신문,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752058.html

30.

홍인기 (2016). 법원 “단톡방, 사적 공간 아니다” 카톡일언중천금, 서울신문,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60715008008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