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신체화는 남성보다 여성들에게 빈번하게 나타나며, 한국 여성들은 신체화 경향성이 더욱 높다고 알려져 있다. 신체화와 관련이 있는 변인으로 내현적 자기애가 보고되었지만 내현적 자기애와 신체화 사이에 어떠한 심리적 과정을 거치는지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인 여성의 내현적 자기애와 신체화의 관계를 정서표현억제가 매개하는지 살펴보고, 신체귀인이 이러한 매개효과를 조절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세에서 59세 사이 성인여성 20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조절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 정서표현억제, 신체귀인, 신체화 사이에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와 신체화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억제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셋째, 정서표현억제와 신체화의 관계를 신체귀인이 조절하였다. 넷째, 내현적 자기애와 신체화의 관계에 대한 정서표현억제의 매개효과가 신체귀인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 수준이 높은 사람에게 신체화가 발생하는 경로와 개인이 지닌 신체귀인 수준이 높아질수록 정서표현억제가 신체화에 미치는 효과가 증가되는 것을 밝혔을 뿐만 아니라 내현적 자기애가 정서표현억제를 경유하여 신체화로 이어지는 경로가 개인의 신체귀인 수준에 의존함을 밝혔다. 이를 상담 및 심리치료 장면에서 내현적 자기애 수준이 높은 성인 여성 내담자들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와 치료적 개입에 도움이 되는 시사점을 제시했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Somatization is more frequent in women than in men, and Korean women are known to be more prone to somatization. Although covert narcissism has been reported as a variable related to somatization, there is a dearth of research on the psychological processes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omatiz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omatization in adult women,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body attribution in this path. For this purpose, 240 people aged 20 to 59 were measured through self-report surveys for covert narcissism,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body attribution, and somatization. First,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in all major variables.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omatization. Third, body attribut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and somatiza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omatization was moderated by body attribution. In other words, those with high body attribution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somatization through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even if they experience covert narcissis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implications that are helpful for understanding and intervention of adult Female clients with a high level of covert narcissism in psychothera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