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권호 목록

기혼 여성의 우울증상에 대한 취약성: 스트레스 경험 및 대처과정을 중심으로
김은정(연세대학교) ; 오경자(연세대학교) ; 하은혜(연세대학교) pp.1-1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기혼여성들의 우울증상에 대한 취약성을 일상생활 스트레스 경험과 이에 대한 대처 과정을 통해 탐색해 보았다. 서울 시내 및 근교에 거주하는 20대 이상 60대 미만의 기혼 여성 59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 유형 및 정도, 지각된 사회적 지지정도,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 방식, 자기 효능감 및 우울증상에 대해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연구대상의 평균 우울증상 수준은 CES-D 점수 17.84였고 24점을 기준점으로 봤을 때, 전체 23.0%가 우울증상 집단에 포함되어 다른 연령층에 비해 높은 취약성을 보였다. 둘째, 기혼 여성들의 절반이상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유형은 주로 남편과의 의견 및 성격차이로 인한 불화, 경제적인 어려움 및 신체적인 노화과정 및 외모에 대한 불만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별 비교에서는 특히 40,50대 주부는 자녀와 관련된 스트레스를 상대적으로 많이 경험하였다. 스트레스에 대한 지각 정도는 전반적으로 학력과 소득수준이 낮은 집단, 자녀 수가 많은 집단, 취업 주부 및 40대, 50대 집단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셋째, 스트레스 지각 수준 뿐만 아니라 대처방식, 사회적 지지정도 및 자기 효능감등이 현재의 우울증상 수준을 의미있게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기혼 여성들의 우울증상에 대한 취약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와 관련된 스트레스 경험 및 심리사회적 요인들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vulnerability of married women on depression through their experiences of life stress and coping processes. A total of 591 women between the ages of 20 and 50 who were married with children were given a questionnaire which assess the following: the level of depressive symptoms(CES-D), the type and level of life stress, coping styles,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elf efficacy. The results showed: 1) The mean of CES-D was 17.87 and 23.0% were higher than 24 on CES-D. 2) More than a half of the sample reported stress about marital dispute, economic strains, aging and dissatisfaction with their appearances. 3) Ages of 40 and 50 reported more stress with their children than any other age group. 4) Employment, age, low level of SES and education and number of children were associated with the high level of stress. 5) The level of stress, coping style,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elf efficacy altogether explained the variances of concurrent depressive symptoms significantly. The results indicated the vulnerability of married women to depression and identified the psychosocial risk factors for depression of married woman.

신규 여성인력의 조직사회화의 훈련방향
강혜련(이화여자대학교) pp.15-26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은 신규 여성인력의 개발과 훈련을 조직사회화 과정의 관점에서 접근해 보고자 하였다. 여성의 경우 학교장면에서의 우수한 인지적 능력이 산업장면에서의 업무수행 능력으로 전이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이를 본질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우선 여성인력의 직무수행에 대한 평가적 측면들을 살펴보았다. 일반적으로 제기되는 여성의 문제점이 직무수행 지식이나 기술의 측면보다는 조직사회화 과정인 적응의 측면과 더욱 밀접한 관련성을 지닐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여성인력의 조직사회화 과정중 특히 초기 사회화단계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학교장면 외에는 별다른 조직경험이 없는 대다수의 신규채용 여성들은 조직의 생리와 기존 구성원들의 행동을 해석하는 이해의 틀이 부족하다. 따라서 신입여성에게 요구되는 것은 새로운 조직환경에 대한 학습이며 이를 위해 정보와 단서를 제공해줄 수 있는 사회화의 중개자(agents) 역할이 특별히 강조되었다. 신규채용 여성의 초기 사회화를 촉진시켜주는 몇 가지 방안들이 개발과 훈련의 관점에서 제시되었다. 우선 신입사원 자신이 정보 및 피드백을 추구하는 개인차원의 노력이 중요하며 조직차원에서는 적절한 인물의 행동을 관찰하고 모방함으로서 효과적인 적응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여성 역할모델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을 강조하였다. 또한 조직사회화의 중개자로서 특히 직속상사의 중요한 역할들을 업무의 특성, 피드백, 및 사회적 지원 등의 관점에서 설명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need of training and development of entry level employed women from the perspective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The lower job performance of female employees than males is more related to adaptation or sense-making problems rather than job knowledge and skills. therefore, training and development programs for female newcomers need to be designed to facilitate their adaptations in the new setting. In order to facilitate learning processes of female newcomers, the role of insiders is critical. they provide lots of informations and feedback for newcomers to interpret unfamiliar organizational cues. In particular, managerial styles of immediate supervisors tend to have strong impacts on the newcomer's performance. challenging first job and early job feedback provided by supervisor would influence the later job performance of female newcomers. Finally, the effect of women-only training program as compared to men & women combined program was discussed.

인터넷 항해과정의 flow 모형 및 flow - 구매의도 모형에서의 성차연구
김명소(호서대) pp.27-40
초록보기
초록

최근들어 인터넷 경제를 활성화 시키려는 사회적 움직임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동시에 소비의 주체 세력인 여성들의 인터넷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여성네티즌들의 특성과 인터넷 사용경험을 이해하여 EC활성화를 위한 초석을 마련하기 위해 Novak, Hoffman과 Yung(1998)의 항해과정의 flow모형과 김명소(1999)의 flow-구매의도 모형을 남녀 인터넷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각각 검증하고 두 모형에서 성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1900명의 인터넷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넷과 PC통신을 통한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LISREL 분석결과, 전반적 부합도 지수들을 볼 때 남녀 인터넷 사용자 모두에게 두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flow경험 결과가 향후 물건 구입시 EC이용의도로 이어질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반면, 두 모형 모두에서 여성의 경우 관여에서 기술감으로 가는 경로는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여성인터넷 사용자들이 갖고 있는 상대적으로 짧은 사용경력과 사용기술의 미숙함과 관련이 있었다. 위 연구결과들을 통해 본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과 사이버공간을 통한 구매력을 높이기위해 지원되어야 할 요소들을 제안하였으며, 이와 함께 연구제한점 및 향후 연구과제들로 논의 하였다.

Abstract

Recently, the number of female web users is increasing very rapidly, and understanding their consumer behavior on the cyber space becomes an important issue. The present study examines if there are gender differences in Novak, Hoffman and Yung's causal model of flow(1998) and Kim's mod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low experience and purchase behavior on EC(1999). On-Line research is performed for approximately 1990 web use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 support both of the models for males as well as females, demonstrating that flow experience relates to purchase intention through EC. However, the path from 'involvement' variable to 'skill' variable is not significant, which is related to the discrepancies of computer-use career and ability between males and females. The theoretical as well as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f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한국 기혼여성(아줌마)들의 성격 특성과 주관적 삶의 질
김명소(호서대학교) ; 성은현(호서대학교) ; 김혜원(호서대학교) pp.41-5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첫째, 우리나라 기혼여성들의 성격특징을 탐색하기 위하여 이들이 성격의 5요인에서 어떠한 특징을 갖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여성들의 연령에 따라(20, 30대와 40, 50대) 성격에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보았고 동시에 여성 스스로가 보고하는 성격특성과 일반인들이 평가하는 성격 특성간에 차이가 있는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로, 여성들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성격적 요인을 밝히고 어떠한 성격특성이 이들의 주관적 삶의 질(subjective well-being)과 관련성이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인의 성격과 삶의 질에 대해 응답한 370명의 기혼여성과 우리나라 기혼여성의 성격적 특성에 대해 응답한 일반인 367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기혼여성들은 지적개방성과 호의성, 성실성에서 연령에 따른 차이를 보였고, 주관적 삶의 질 요인들에서는 긍정적 정서에서만 연령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또한, 기혼여성 자신이 보는 성격과 타인들이 보는 바는 성격은 5요인 모두에서 차이가 있었다. 성격요인과 주관적 삶의 질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에서는 정서적 안정성, 지적개방성, 성실성, 외향성이 주관적 삶의 질의 세 가지 요인에서 서로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관계는 대상자들의 연령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성격요인과 주관적 삶의 질에 관한 선행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비교,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tried 1)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personality of married women, comparing with the other people's reports and being analyzed by age, 2) to explore the factors of personality predicting subjective well-being of married women. A group of 370 married women answered on their own personality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360 people reported on other married women's personality. In results, married women showed differences on personality of openness to experience, agreeableness, consciousness, and differences on subjective well-being of positive affect in relation to their age(20-30s vs. 40-50s). Other people's reports on married women's personality were, in general, more negative than those of married women. In addition, of among various socioeconomic variables, educational level, employment, income, marrital statu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married women's subjective well-being. In last, showing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factors and subjective well-being, neuroticism, openness to experience, consciousness, extraversion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subjective well-being of married women.

한국사회에서 아줌마의 사회적 표상과 아줌마론
최상진(중앙대학교) ; 김지영(중앙대학교) ; 김기범(중앙대학교) pp.56-67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에서는 한국 사회의 아줌마에 대한 심리학적 고찰을 시도하였다. 즉 한국사회에서 강력한 사회집단으로 부각하고 있는 아줌마에 대해 문헌 분석과 방송프로그램 분석, 그리고 설문자료분석을 통해 아줌마의 사회적 표상 및 기호학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일반적으로 '아줌마'에 대한 사회 일반의 시각은 아름답지 못하고, 교양없고 억척스럽다는 등 비하와 모멸의 측면이 강하다. 그러나 한국사회를 이끌어 온 어머니의 강인함과 억척스러움, 그리고 모진 생명력은 아줌마의 긍정적인 모습이기도 하다. 한국의 사회, 역사적 산물인 아줌마에 대한 심리학적 분석은 바로 현재의 아줌마이자 잠재적 아줌마인 한국 여성 전반에 대한 생생한 보고서이자 자기 성찰의 일환이 될 수 있고 더 나아가 한국 여성심리의 연구가 서구의 보편주의에서 벗어나 한국 사회 상황에 맞는 새로운 모색을 시도하는 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was to conceptualize 'Adjumma' in Korea. Recently, there has been an argument about Adjumma in Korean society. This argument was included some negative and positive aspects of Adjumma-perspectives. The present study analyzed some programs which was broadcasted by TV media, and journals, literatures and collected data. In general, Adjumma group was impressed negatively compared one's own mother who is sometimes called 'Adjumma'. Adjumma was characterized as married, having children, some unique outer shape and behavior(e.g., hair style, wearing specific shoes and garments when she goes out for shopping, talkative etc), no social etiquette(e.g., social face), and specific age ranges(30-50's). However, there are some positive aspects of Adjumma in Korean society. Because, Adjumma is also our mother. For example, Adjumma was evaluated as warm and benevolent one for her children and husband, and has sacrificed herself for her family. Now, Ajumma group would like to improve her negative impression by others. She tries to get involved social activity and campaign for her community, education, and environment.

북한인에 대한 남녀의 편견 연구
이수정(경기대학교) pp.68-79
초록보기
초록

현 연구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하여 북한인들에 대한 고정관념과 거리감, 그리고 개인의 인지적인 스타일이 북한인들에 대한 차별적인 의사결정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가 탐색되었다. 여성 응답자들은 남성응답자들에 비하여 북한 출신 배우자들과 혼인할 의사가 훨씬 적다고 대답하였으며 또한 북한인들에 대한 거리감과 고정관념이 그들의 의사결정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남성 응답자들에게 있어서는 경우에 따라서는 북한 여성들과의 결혼을 마다하지 않을 것이며, 이런 결정을 내림에 있어 개인의 인지적인 스타일이 고정관념의 정도보다 강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통일론의 관점에서 이런 결과들은 어떤 시사점이 있을 것인지가 토론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how stereotypes and social distance toward North Koreans and a personal cognitive style would influence prejudiced decision making about them. Compared to male respondents, female respondents reported much less willingness to marry North Koreans. The amount of their stereotype and feeling of distance were found to be useful predictors of such a decision. In case of male responders, they were more willing to marry North Koreans and personal cognitive style made more influence on their decision rather than the degree of stereotypes. At last,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based on various viewpoints of unification.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