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성의 정치심리학: 한국 여성유권자의 정치의식과 투표행태

Political Psychology of Gender: Political consciousness and voting behavior of the Korean Women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의 성역할 고정관념이 한국의 정치적 맥락에서 어떻게 발현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었다. 14대, 15대, 16대 대선 이후 실시한 전국유권자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하여 여성유권자들의 정치적 관심도와 투표참가여부, 정책평가, 지지후보결정요인, 여야성향과 이념정향, 투표후보 등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여성들의 정치적 태도로 지목되어온 점들이 대체적으로 확인되어 남성보다 정치적 관심이 낮았고 안정지향적으로 보수적인 경향을 드러냈다. 지지후보를 결정하는 데서도 가족의 영향력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여당 후보를 지지하는 경향이 높았다. 그러나 교육수준과 사회경험을 통제한 조사에서는 정치적 태도에 있어 남성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여성의 정치적 태도로 간주되고 있는 특성은 성역할 고정관념이 강화된 결과로 보인다. 다른 한편 여성의 전형적 특성인 ‘우호적이며 긍정적’인 태도는 다른 변수를 통제했을 때에도 여성유권자들의 독특한 행태를 설명하는데 주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women's vote, sex role stereotype, social role, gender differences, voting behavior and presidential election., women's vote, sex role stereotype, social role, gender differences, voting behavior and presidential election., 여성투표, 성역할 고정관념, 성차, 투표행태, 대통령선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Korean women implement their own sex-role stereotypes in the contexts of Korean politics. On the basis of nation-wide surveys of the 14th, the 15th and the 16th Korean presidential elections, female voters' political interests, voting participation, policy evaluation, factors of decision making, partisanship and ideological orientation, and candidate choice were analyzed. Results indicated that overall Korean women's voting behavior was correspondent to political attitudes they were presumed to have. That is, female than male voters were more conservative in that they had lower political interests and stronger inclinations to stability. In decision-making of voting candidates, further, Korean women were more influenced by their family than Korean men and tended to have preference to candidates from the government party. However, with control over educational level and social roles, gender differences in political attitudes were not identified, a suggestion that Korean women's political attitudes result from strengthened sex-role stereotypes. Nonetheless, women's “amiable and positive” attitudes had unique explanation of their voting behavior, which implies that this factor is critical in their political behavior.

keywords
women's vote, sex role stereotype, social role, gender differences, voting behavior and presidential election., women's vote, sex role stereotype, social role, gender differences, voting behavior and presidential election., 여성투표, 성역할 고정관념, 성차, 투표행태, 대통령선거

참고문헌

1.

(2004) 한국의 선거정치: 이념, 지역, 세대와 미디어., 푸른길

2.

(1985) 한국인의 정치의식구조변화 1978년과 1985년,

3.

(2003) 일상의 정치를 통한 여성의 임파워먼트,

4.

(1985) 민주의식과 투표행태,

5.

(2001) 대안정치세력으로서의 여성 21세기 한국여성의 투표형태의 전환가능성 연구,

6.

(1975) 한국인의 정치참여형태와 그 특성,

7.

(1985) 산업화와 정치문화 민주의식변화를 중심으로-1974년과 1984년의 비교분석,

8.

(1993) 한국인의 정치적 태도와 형태의 성차연구,

9.

(1996) 여성심리학: 여성과 성차, 박영사

10.

(2002) 한국 여성의 투표행태와 여성정책,

11.

(2001) 제16대 총선과 한국 지역주의 성격,

12.

(1995) 6ㆍ27 지방선거와 남녀유권자의 투표행태 연구,

13.

(1980)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4.

(1988) Women and the Politics of Empowerment, Temple University Press

15.

(1972) Journal of Social Issues,

16.

(1986) Memory for Information about Sex Differences,

17.

(1985) Memory for the Frequency of Sex-Typed versus Neutral Behaviors:Implications for the Maintenance of Sex Stereotypes,

18.

(1984) Gender Politics, Harvard University Press

19.

(1983) Sex Stereotype:Issues of change in the 1970s,

20.

(1991) Feminism on the Border From Gender to Geopolitics, DukeUniversity Press

21.

(1982) On the Self- Perpetuating Nature of Stereotypes about Women and Men,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