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This study examined the development and validity of daily stress response inventory for adolescent. Wecomposed 91 preliminary items through existing scales and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comprised 32 itemsthrough item analysis and discussion of licensed clinical psychologists. We examined the main surveytargeting 622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living Seoul and kyonggi-do and conducted validityanalysis for 576 people (man: 295, woman: 281) excluded 47 persons. Result of exploratory factoranalysis, 3 subfactors (behavioral, emotional and physical stress response) explained 40.96% of totalvariance of inventory. Next,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it-indices of model were good. Wedecided 27 items as final items excluded 3 items which standard regression weights below .50 andsquared multiple correlation below .20. the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 was .928. Finally, theapplication of inventory and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고경봉, 박중규, 김찬형 (2000). 스트레스반응척도의 개발. 대한신경정신의학회지 39(4), 707-719.
김계수 (2009). Amos 16.0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한나래출판사: 서울.
김교헌, 전겸구 (1993). 중학생용 생활스트레스와 대처 척도의 개발연구Ⅰ. 한국심리학회: 임상, 12(2), 197-217.
김만지 (1999). 미혼모의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보연, 서경현 (2012). 고등학생의 폰 중독 및인터넷 게임중독과 스트레스 반응; 수면부족의 매개효 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7(2), 385-398.
문경숙 (2003). 중학생의 스트레스와 신체증상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병기, 박선민 (2012). 학업스트레스 척도의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26(2), 563-585.
배병렬 (2009). Amos 17.0 구조방정식모델링-원리와 실제. 서울: 청람.
서경현 (2013). 남자 고등학생의 인터넷 게임중독과 스트레스 반응, 주관적 웰빙 및삶에 대한 동기 및 기대. 한국청소년학회20(2), 217-237.
서경현, 김태민, 손 솔, 김혜경 (2013). 노년기스트레스와 정신건강 및 자살생각 간의관계에서 자기노 출과 하향 사회비교의역할.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8(2), 379-402.
서경현, 박정양 (2012). 남자 청소년의 음악사용 및 인터넷 게임중독과 스트레스 반응의 관계. 청소년 학연구 19(7), 101-117.
성미혜, 윤자원, 손혜영 (2005). 중년여성의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상태. 정신간호학회지 14(2), 186-194
심영미, 박미혜 (2010). 청소년의 스트레스, 내적자원과 정신건강과의 인과관계 연구. 사회과학연구 36(2) 1-23.
이연주 (2006). 스트레스 대처반응 질문지(RSQ)의 타당화 연구: 청소년 집단을 중심으로.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영복 (2009). 청소년의 학업 소진 척도 개발및 타당화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임승락, 김지혜, 이동수, 김이영 (2000). 여성의직무스트레스, 대처자원과 정신건강: 종합병원 일반사 무직을 대상으로. 신경정신의학 39(6), 999-1009.
원호택, 이민규 (1987). 고등학교 재학생들의스트레스.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6(1), 22-32.
조현철 (2003). 구조방정식모델: SIMPLIS &AMOS. 서울: 석정.
최승미, 강태영, 우종민 (2006). 스트레스 반응척도의 수정판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근로자 대상. 대한신경정신의학회지 45(6), 541-553.
천숙희 (2012). 성별에 따른 대학생의 일상적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속박감 및 정신건강의 관계.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8(3), 223-235.
최호일 (2002). 청소년의 스트레스, 자아존중감및 외적 통제감이 신체증상에 미치는 영향:중학생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학회지: 임상, 19(1), 161-177.
Holmes, R., & Rahe, R. (1967). The social readjustment rating scale.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11, 213-218.
Hoyle, R. H. & Panter, A. T. (1995). Writing about structural equation models. In R. H. Hoyle(Ed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158-176). New-bury Park, CA: Sage.
Kanner, A. D., Coyne, J. C., Schaefer, C., & Lazarus, R. S. (1981). Comparisons of two models of stress measurement: Daily hassles and uplifts versus major life events.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4, 1-39.
Lazarus, R. S., & Cohen, J. B. (1977). Environmental stress. In, L. Altman & F. Wohlwill(Eds.), Human behavior and environment:Current Theory and Research, 2 (pp.89-127), N. Y.: Plenum.
Lazarus, R. S., & Folkman, S. (1984). Coping and adaptation. In W. D. Gentry(Ed.), The handbook of behavioral medicine(pp.282-325). New York: Guilford.
Marsh, H. W., Balla, J. R., & McDonald, R. P. (1998). Goodness-of-fit indexes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effect of sample size. Psychological Bulletin, 103, 391-410.
Zubin, J., & Spring, B. (1977). Vulnerability: A new view of schizophrenia.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86, 103-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