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
ISSN : 1229-0718
본 연구는 12~18개월 영아들의 애착과 정서조절의 관련성에 관해 살펴보았다. 낯선 상황 절차를 통해 애착 유형을 분류하고, 또한 낯선 상황 절차의 재결합 상황에서의 영아의 정서조절 행동들을 변인으로 정서조절 유형을 분류하여 애착 유형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애착 유형은 낯선 상황 실험(Ainsworth et al, 1978)을 사용하여 분류하였고, 영아의 정서조절은 Weinberg와 Tronick (1999)의 Infant & Caregiver Engagement Phases (ICEP) 중 Infant Engagement Phases를 사용하여 평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애착 유형 분류 결과 안정 애착이 63.9%, 불안-회피 애착이 13.9% 불안-저항 애착과 비조직/비일관적 애착이 각각 11.1%로 나타났다. 둘째, 낯선 상황 실험 중 재결합 에피소드에서 영아가 보이는 정서조절 행동들을 변인으로 하여 정서조절 유형화를 시도하여, 정서조절 유형을 개방적 정서표현(28.1%), 억제된 정서표현(43.8%), 과장된 정서표현(28.1%)의 세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셋째, 영아의 애착 유형과 정서조절 유형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안정 애착은 개방적 정서 표현 유형과, 불안-회피 애착은 억제된 정서 표현 유형과, 불안-저항 애착은 과장된 정서 표현 유형과 관련되는지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애착 유형과 정서조절 유형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각 유형 간에 54.2%의 일치율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영아의 애착과 정서조절간의 이론적인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여 애착 유형에 따라 정서조절 전략을 다르게 발달시켜 간다는 것을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a) to classify the attachment type and emotion regulation type, and (ⅱ) to examine whether attachment was linked with emotion regul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6 infants of middle class housewives residing in Seoul and Kyungki Area(Shinchon, Eunpyoung, Yeo-ui-do, Ilsan) whose age was 12-18 months. In order to assess the pattern of infant-mother attachment and emotion regulation, each infant-mother dyad was observed in the Strange Situ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ttachment type classification, type B holds 63.9% of the sample, type A holds 13.9%, and type C & D hold 11.1% separately. Second, In the type of infant's emotion regulation, 9 infants(28.1%) were classified as 'open emotion expression', 14 infants(43.8%) were as 'minimized emotion expression', 9 infants(28.1%) were as 'heightened emotion expression'. And finally,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infant-mother attachment and emotion regulation.
(2003) 낯선 상황에서 영아들의 애착 행동특성,
(1989) 영아의 애착 자아인식 및 사물영속성 보존능력과 가정환경의 상호관련성에 대한 연구,
(1997) 한국 영아의 어머니에 대한 애착 행동 특성,
(1995) 영아-어머니간의 애착유형과 그 관련변인,
(1994) 낯선 상황의 애착유형분류에 관한 일 연구,
(1996)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모자간 애착 유아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간의 관계,
(1997) 애착장애아와 언어장애아의 특성비교 애착과 의사소통 의도를 중심으로,
(1991) 기혼자녀의 부모에 대한 애착 및 자율성 발달 유형과 결혼만족도,
(2000) 영아의 타인양육 경험에 따른 어머니에 대한 애착과 정서 조절,
(1985) 애착유형과 탐색행동과의 관계,
(1993) ‘낯선 상황’에서 영아의 아버지에 대한 애착 유형,
(2002) 어머니가 지각한 아동의 기질 어머니의 정서조절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조절간의 관계,
(1997) 영아의 애착 유형과 성인의 애착 표상 유형에 관한 연구,
(1978) Patterns of attachment A psychological study of the strange situation,
(1969) Attachment and exploratory behavior in one-year-olds in a Strange Situation Determinants of infant behavior,
(1991) Regulation of negative reactivity during the Strange Situation:Temperament and attachment in 12-month-old infants,
(1992) The relations among infant temperament security of attachment and behavioral inhibition at twenty-four months,
(1994) Influences of attachment relationships The development of emotion regulation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1991) Recent development in attachment theory and research Canadian Journal of Psychiatry 36,
(1982) Spatial exploration and spatial Knowledge:Individual and developmental very young children differences,
(1982) Relationship of security of attachment and cognitive mapping abilities in 2-year-olds,
(1986) The influence of attachment pattern on developmental changes in peer interaction from the toddler to the preschool period,
(1988) Attachment in late adolescence and representations of self and others,
(1998) Mother-child relationship, child fearfulness, and emerging attachment: A short- term longitudinal study.,
(1994) A move to the level of representation in the study of attachment organization Implication for psychoanalysis Annual Research Lecture to the British Psycho-Analytical Society,
(1986) Discovery of new Affective development in infancy, Ablex Publishing Corp
(1989) The development of emotion expression during the first two years of life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2002) Emotion regulation in context Situational effects on infant and caregiver behavior,
(1985) mother's mode of interaction and attachment in Japan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1998)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3, Saarni
(1994) A theme in search of definition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Monographs,
(1988) Cross cultural patterns of attachment:A meta-analysis of the strange situation,
(1999) Gender differences in emotional expressivity and self- regulation during early infa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