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본 연구는 마음을 이해하는 능력이 또래 인기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만 5세의 유치원 아동 51명과 만 8세의 초등 2학년 아동 67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각 아동의 마음이해 능력은 세 종류의 틀린 믿음에 대한 이해를 묻는 마음과제를 실시하여 측정하였고, 또래 인기도, 공격성, 마음이해 관련 사회행동 및 관습관련 사회행동을 평가하였다. 유치원 아동의 경우, 인기도는 마음이론 과제수행, 관습관련 사회행동, 그리고 마음이해 관련 사회행동과 정적 상관관계를, 공격성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에 반해 2학년 아동의 경우는 관습관련 사회행동과 마음이해 관련 사회행동만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유치원 아동의 인기도를 예측하는 변인은 공격성이었으며, 2학년 아동의 인기도를 예측하는 변인은 성별, 공격성, 그리고 마음관련 사회행동이었다. 그러나 전체 아동의 인기도를 예측하는 변인은 공격성과 마음이해 관련 사회행동이었다. 마음이론 과제수행이 인기도를 예측하지 못하였으나 마음이해 관련 사회행동이 인기도를 예측한 것은 마음이해 능력 자체보다 그 능력을 사회적으로 활용하는 기술이 중요한 것임을 시사한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hypothesis that children's theory of mind ability is related to their peer popularity. Fifty-one preschool children between the age of 4 and 6, and 67 second grade children completed a peer rating task to assess peer popularity. In addition, children were tested on six different false belief tasks. Teachers were asked to rate children's aggressive behavior, conventional social behavior, and intentional social behavior requiring theory of mind. Preschool children's popularity scor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theory of mind scores, the ratings of aggressive, conventional social, and intentional social behavior. In contrast, second grade children's popularity scores were related to the ratings of conventional social, and intentional social behavior, but not to the theory of mind scores. For the preschoolers group, the aggressive behavior was the best predictor of children's popularity, but for the second graders group it was the intentional social behavior. In addition, for the total group of children, the intentional social behavior was the best predictor of peer popularity. The pattern of results suggest that it is not the theory of mind ability itself that has impact on peer popularity. Rather, the social skills to put theory of mind ability to practical use is more important.
본 연구는 또래 공격행동 및 피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을 탐색하고 더불어 또래 공격 및 피해행동이 이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또래관계의 중요성을 확인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또래 공격행동 및 피해행동의 선행요인으로서 유아기(infancy)부터 유치원 연령(5.5세)까지 측정한 아동의 기질(즉흥적 분노, 반응적 고통)과 사회지각능력, 어머니의 우울증을 살펴보았다. 또한 초등학교 1학년 때 경험한 또래 공격행동 및 피해행동과 초등학교 1학년과 3학년 때 측정한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이 포함되었다. 연구결과, 아동의 즉흥적 분노가 많을수록, 사회지각능력이 떨어질수록, 그리고 어머니의 우울증이 심할수록, 외현적 공격행동, 대인관계 공격행동, 그리고 피해행동이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차별적 선행요인으로서, 대인관계 공격행동은 아동의 성(여아)에 의해 그리고 피해행동은 반응적 고통에 의해 유의하게 설명되었다. 또한 어머니 우울증과 아동의 즉흥적 분노는 상호작용을 통해 공격행동 및 피해행동의 설명에 추가적으로 기여하였다. 설명변인으로서 또래 공격 및 피해행동은 아동의 특성과 어머니의 우울증을 통제한 후에도 동시적으로(1학년) 뿐만 아니라 2년 후에 경험하는 문제행동을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기부터 아동기중반에 이르는 미국의 종단자료를 사용하여 또래 공격행동과 피해행동이 어떤 과정을 거쳐 발달하는지 그리고 또래관계의 어려움이 이후의 문제행동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또래관계의 중요성과 발달적 인과성 논의를 확장하는 데 기여하였다.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early predictors and impact of peer aggression and victimization on later behavior problems. A subgroup of children included in the Wisconsin Study of Child and Health (Essex, 2001) was assessed for child temperament, and maternal depression from infancy to preschool; child social perception skills in kindergarten; peer aggression and victimization in grade 1; and behavior problems in grade 3.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children are more likely to be aggressive or victimized in grade 1 if they earlier showed higher levels of anger-prone temperament, lower levels of social perception skills, and higher levels of maternal depression. Differential predictors were found for relational aggression and victimization: Girls are more likely to be relationally aggressive than boys; infants with high levels of reactive distress were more likely to be victimized in grade 1. Anger-prone temperament moderated the relation of maternal depression to peer problems: Children whose mothers were depressed were more likely to be aggressive or victimized if they were angry-prone and impulsive. Peer aggression and victimization assessed in grade 1 explained both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s 2 years later as well as concurrently, even after controlling for early predictors (risk factors). The long-term prospective data in this study contributes to better understanding of how peer aggression and victimization develop and how they impact later behavior problems.
본 연구는 평균 연령 5.6개월의 일반아 39명, 미숙 위험아 38명 및 만삭 위험아 39명의 행동과 발달을 소아과 의사와 심리학자간 다 학제적 접근을 통하여 비교하고자 한 탐색적 연구이다. 측정도구로는 한국 Bayley 영 유아 발달검사(2004)의 인지척도와 동작 척도 및 행동 평정 척도(Behavior Rating Scale: BRS)를 사용하였다. 1-5개월 및 6-12개월 영아에 대하여 각 집단별 인지 지수와 동작지수 및 행동평정 척도에서의 주의/각성 척도, 과제 지향성 척도, 정서 조절 척도와 동작 수준 척도를 비교하였으며, 행동 평정 척도와 인지 및 동작 지수 간 상관 관계와 행동평정 척도 총점을 설명하는 변인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1-5개월 영아의 경우, 인지 및 동작 지수, 주의/각성, 동작 수준 및 행동평정 총점에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으며, 6-12개월 영아의 경우, 인지 및 동작 지수, 과제 지향성, 동작 수준과 행동평정 척도 총점에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행동평정척도는 1-5개월 및 6-12개월 각각에서 집단별 인지 지수와 동작 지수와의 관련성도 높게 나타났다. 1-5개월 행동평정 척도를 설명하는 변인은 인지 지수와 동작 지수였으며, 6-12개월 행동평정 척도를 설명하는 변인은 동작 지수였다. 이상의 결과로 토대로 이론적 및 방법론적 추후 연구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behavior and developmental evaluation in preterms at risk, full-terms at risk, and normal infants. Specifically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investigate behavior rating scale based on Korean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Ⅱ(K-BSID-Ⅱ)(2004). The subjects were 116 infants, 39 preterms at risk infants, 38 full-terms at risk infants and 39 normal infants.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Kruskal-Wallis, 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ression test to examine the behavioral ratings. It was shown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ree groups in attention/arousal, orientation/engagement and motor quality and the sum of the behavior rating scale. In the terms of behavior rating scale, mental developmental index and psychomotor developmental index, preterms at risk-, full-terms at risk-, and normal infants showed substantial corrrelations to each other. There were some differences on the behavior rating scale depending on the age of the subjects. For the infants of 1 to 5 months of age, mental development index and pyschomotor develpoment index are correlated while behavior rating scale and psychomotor development index are correlated for the infants of 6 to 12 months of age. Authors discussed in terms of canalization theory and future infant developmental study.
본 연구는 영아초기 어머니의 언어적 행동에 대한 단기 종단 연구로서, 6개월과 10개월에 영아의 어머니들이 보이는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과 언어적 입력에서 두 가지 변화와 이에 따른 영아의 어휘발달을 살펴보았다. 두 변화 중 하나는 두 시기 간 어머니의 언어적 행동 변화(연속성)이며, 다른 하나는 어머니들의 상대적인 위치의 변화(안정성)이다. 48명의 영아와 어머니의 자유놀이 상호작용을 실험실(6개월)과 가정(10개월)에서 비디오로 녹화하였다. 녹화된 어머니의 말을 전사하여 어머니의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과 입력양을 분석하였으며, 영아의 어휘능력은 12개월과 15개월에 어휘체크리스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어머니의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과 입력양의 개인차는 시간적으로 안정적이었다. 둘째, 연령이 증가하면 어머니의 언어적 행동은 전반적으로 증가하였다. 어머니의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의 경우, 빈도는 증가하였으며, 비율의 경우 지시하기와 피드백은 증가하였고 설명하기는 감소하였다. 입력양은 총발화수만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은 영아의 15개월 어휘와 부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입력양은 영아의 어휘발달과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longitudinally the continuity and stability of maternal verbal behavio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verbal behavior and infant's vocabulary in early infancy. The total of 48 mothers and their infan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t 6 months and again at 10 months, dyads were videotaped at free play in laboratory room and at home. Data on mother's verbal behavior derived from transcripts of spontaneous speech from the play and categorized based on Hart and Risley(1995), and data on infant's vocabulary were measured from MCDI-K.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verbal interactional behaviors and language input showed stability of individual variation across ages. Second, mother's verbal behaviors were increased as infant's age increased. Finally, mother's verbal interactional behaviors showed partially th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infant's vocabulary at 15 months.
본 연구에서는 어휘적 제약인 상호배타성 가정과 화용적으로 사용되는 의도의 역할을 한국어 단어의미추론에서 밝혀 보고자 세 개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각 실험에서는 의도 없는 조건, 분명한 의도조건, 애매한 의도 조건에서 아동의 반응을 비교하였다. 각 실험은 지시되는 대상이 인공물(실험1), 동물(실험2), 사람(실험3)이란 점에서 구별되고 다른 실험 절차는 동일하였다. 세 개의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의도 없는 조건에서 아동들은 상호배타성 제약을 준수하였지만 분명한 의도가 있었을 때에는 상호배타성 제약을 무시하고 의도에 근거하여 단어의미를 추론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사람 자극이 사용된 의도 조건에서 새로운 이름에 대해 이름 붙여진 친숙한 자극만을 선택한 비율이 높았는데 이것은 사람이 의도성을 가진다는 특성을 고려하여 고유명사로 이해한 결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결과들은 상호배타성 제약이 의도와 같은 화용적 단서에 의해 적용이 보류될 수는 있지만, Bloom 등의 주장처럼 화용적 제약으로 환원된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지시되는 대상이 의도성을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상호배타성이 극복되는 방식이 다르다는 점은 이러한 어휘적 제약이 마음이론과 상호 작용할 가능성을 시사해준다.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role of mutual exclusivity constraint versus pragmatic intention in inferring the meaning of Korean words.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Experiment 1 addressed the issue by using the pictures of artifacts. Forty eight children whose age ranges from 3;0 to 3;11(M=3;7) were equally allocated to three conditions, i. e., an unintended condition, an explicitly intended condition, and an implicitly intended con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utual exclusivity of object labels were preserved in the unintended condition, while being overridden by the pragmatic intention in the explicitly intended condition. The procedure of experiment 2 was the same as that of experiment 1, except using the pictures of animals. Forty eight children whose age ranges from 2;11 to 4;0 (M=3;7) participated. The results replicated the findings of experiment 1 with respect to the role of mutual exclusivity vs. intention in word learning. In addition, children showed the tendency of understanding the novel words as category names in the explicitly intended condition. The procedure of experiment 3 was the same as that of the previous experiments, except using the pictures of human beings. Forty eight children whose age ranges from 3;0 to 4;1 (M=3;8) participated. The results in general replicated the previous findings with respect to the role of mutual exclusivity vs. intention in word learning. In addition, children showed the tendency of understanding the novel word as a proper name in the explicitly intended condition. Summing up, the mutual exclusivity constraint could play a role in Korean word learning, but it could be overcome when being faced with the conflicted pragmatic intention. Moreover, children might treat a novel word as a proper name so as to override the mutual exclusivity of objects when they were attributed to intentionality.
이 연구는 청소년-어머니 갈등과 관련된 변인들을 규명하기 위하여 중ㆍ고등학교 2학년 남녀 학생들(673명)을 대상으로 성별과 연령, 신체성숙 수준, 주관적 연령 및 어머니, 아버지, 친구에 대한 애착과 청소년-어머니 사이에 일어나는 갈등과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어머니 갈등척도, 신체성숙척도, 주관적 연령척도, 애착척도가 사용되었고 변량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되었다. 연구결과 남학생들이 여학생들보다 그리고 중학생들이 고등학생들보다 어머니와 더 많은 갈등을 경험하였으며, 신체성숙 수준과 주관적 연령은 오로지 남학생들과 관련된 문제로서 낮은 수준의 신체성숙과 주관적 연령을 지니고 있는 남학생들이 어머니와 더 많은 갈등을 경험하였다. 또한 어머니, 아버지, 친구에 대해 높은 애착을 지니고 있는 학생들이 낮은 애착의 소유자들보다 어머니와 더 적은 갈등을 경험하였고, 연구된 모든 변인들 중에서 청소년-어머니 갈등과 관련된 가장 중요한 변인은 어머니에 대한 애착이었으며 그 다음이 아버지에 대한 애착이었다. 흥미롭게도 남녀 청소년들이 어머니에게 동등하게 높은 애착을 지니고 있을 때에도 남자 청소년들은 여자 청소년들보다 어머니와 더 많은 갈등을 경험하여 차이를 보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 between several variables and adolescent-mother conflicts wi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male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had more conflicts with their mother than female and high school ones. Also the male students with low levels of physical maturity and subjective age, being related with only male students, had more conflicts with their mother than their counterparts. Futhermore the students with higher levels of attachment to mother, father and peer had less conflicts with their mother than ones with lower levels of attachment to three figures. Interestingly male students had more conflicts with their mother than female ones even when having high levels of attachment to their mother.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고․대학생, 성인, 노인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삶에 대한 가치관과 청소년의 일상행동에 대한 문제인식 정도에서 상호간에 어떤 차이점 또는 유사점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세대간에 차이점과 유사점이 둘 다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우선 가족의 중요성이나 결혼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젊은 층일수록 줄어드는 추세를 보였다. 그러나 세대에 관계없이 가정화목을 여전히 중요한 가치로 여기고 있었으며, 중․고․대학생뿐 아니라 성인과 노인까지도 상당히 남녀평등적인 사고방식과 가치관을 가지고 있다는 유사점이 드러났다. 또 성인과 노인들은 중․고․대학생들에 비해 청소년이 유행추구 행동이나 컴퓨터관련 행동 같은 청소년 특유의 행동을 하는 빈도를 더 낮게 평가하고 있었으나, 청소년이 그런 행동을 할 경우 훨씬 더 크게 문제가 된다고 여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청소년이 흔히 하는 행동 중에서 어떤 것이 특히 문제가 되는지에 대해서는 모든 세대가 어른을 무시하는 행동이 가장 용납될 수 없는 문제행동이라는 데 인식을 같이 하였다. 끝으로, 전통적 가치지향과 사회봉사의 중요성에 대한 판단에서 성별과 세대집단간 상호작용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의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generational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regard to value orientations and the perception of adolescents' daily behaviors. A total of 1,067 participants (464 adolescents, 465 adults, and 138 older adults) took part in this study. The results exhibited bot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cross the generations. First, although young people valued marriage and family not as highly as older people did, young as well as older people put greater significance on domestic peace relative to others. Second, parents and grandparents were more likely to rate adolescents' behaviors such as chatting on the internet all night as problematic than adolescents would. However, all the generations unanimously considered adolescents' adult-ignoring behaviors to be the most problematic.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영아의 공동 주의(joint attention)의 발달을 기술하고 공동 주의 발달과 관련된 어머니와 영아의 상호작용의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어머니와 영아 78쌍을 9개월에서 18개월까지 3개월 간격으로 단기 종단적 연구가 실시되었다. Adamson 등 (1998)의 코딩 체계에 근거하여 자유놀이 상황에서 나타난 어머니와 영아의 연속적 주의 상태를 분석하고, 어머니와 영아의 가리키기 행동(pointing)을 관찰하여 이들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진정한 의미의 공동 주의라 할 수 있는 협응적 공동 주의(coordinated joint attention)가 월령에 따라 증가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지지적 공동 주의(supported joint attention)와 가리키기 행동(pointing)이 협응적 공동 주의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영아기 인지, 언어, 사회적 발달의 핵심적 요소인 협응적 공동 주의를 촉진시키는 어머니의 역할이 논의 되었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development of coordinated joint attention and explored characteristics of mother's behavior that may be related to its development. For these ends, 78 infants were longitudinally observed in their interaction with their mothers at 9, 12, 15 and 18 months of age. Observations were coded using state-based coding system (Adamson et al, 1998) that included states of unengagement, person engagement, object engagement, on-looking and supported joint attention as well as coordinated joint attention. In addition, infants' and mother's pointing behaviors were observed in order to investigate its relation to the development of coordinated joint at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evidence for the two main conclusions. First, the amount of coordinated joint attention and supported joint attention increased, while other states declined or did not change with age. Second, development of coordinated joint attention was closely related to supported joint attention and mother's pointing behavior.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thers indeed are skilled adults who can scaffold their infant's early attempt to coordinate their attention in a social con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