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71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duce a preliminary Korean version of the Expressive Communication Scale of the Bayley-Ⅲ verifying its significant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to analyze the items to obtain a base for the standardization of Korean Bayley-Ⅲ. The Expressive Communication Scale of Bayley-Ⅲ was translated English into Korean by graduated students of development psychology and a primary research was completed with a consequence of elimination of 4 items, revision of 12 items, and supplement of 12 item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gree of item difficulty, it was shown that the item arrangement was a little different to the original scale's, as expected.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reliability, Cronbach's α coefficient(.984), test-retest reliability(.977) and inter-scorer reliability(.986) was showed a strong correlation(p< .01). Third, a content validity was checked and the expressive language subtest of Preschool Receptive-Expressive Language Scale(PRES) and preliminary Korean expressive communication scale of Bayley-Ⅲ had a correlation of .511 and Language subtest of 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K-WPPSI) and preliminary Korean expressive communication scale of Bayley-Ⅲ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of .636(p< .05).
강범모(2006). 복수형(들)의 의미. 한국언어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한국언어정보학회 2006년도 제7회 정기학술대회.
강은진, 박혜경(2007) 영아 언어발달 연구의 경향분석: 0-36개월 미만 영아를 대상으로, 유아교육연구 27(2), 139-161.
곽금주, 성현란, 장유경, 심희옥, 이지연, 김수정, 배기조(2005). 한국영아발달연구. 서울: 학지사.
권도하(1994). 유타언어발달검사. 대구: 한국언어치료학회.
권도하, 정분선(1999). 2~5세 유아의 복문 발달에 관한 연구, 언어치료연구, 8(1), 157-173.
권도하, 정분선(2000). 2~5세 아동의 조사 발달 연구. 언어치료 연구, 9(1), 139-163.
김경진(2008).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3판 소근육 운동척도의 한국 표준화를 위한 예비 연구: 16개월-38개월 아동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김영태, 김경희, 윤혜련, 김화수(2003). 영‧유아 언어발달 검사(SELCI). 서울: 도서출판 특수교육.
김영태, 성태제, 이윤경(2003). 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 척도(PRES) 검사 지침서.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김영태, 장혜성, 임선숙, 백현정(1994). 그림어휘력 검사. 서울: 서울장애인 종합복지관.
김지윤(2008).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3판 대근육 운동 척도 한국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 16개월-38개월 아동 대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김혜원(2007).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3판 사회-정서 척도 한국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10개월-42개월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연구소(2006). 베일리 영아발달검사(BSID-Ⅱ). The Psychological Corporation.
대한 소아과학회(2002). 한국형 영유아 발달 검사.
박경자, 정문자, 이은해(1993). 베일리 유아발달 척도의 한국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 한국아동학회, 14(1), 5-21.
박혜원, 곽금주, 박광배(1996). 한국 웩슬러 유아지능검사 지침서. 서울: 도서출판 특수교육.
박혜원, 조복희(2006). 한국 Bayley 영유아발달검사Ⅱ 해석지침서. 서울: 도서출판 키즈팝.
박혜원, 조복희, 최호정(2003). 한국 Bayley 영유아 발달검사(K-BSID-II) 표준화연구: 예비 연구,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6(4), 121-134.
배소영(2006). 한국어 발달특성과 학령전기 문법형 태소. 한국어학, 31, 31-45.
배소영, 장유경, 곽금주, 성형란, 심희옥(2004). MCDI-K를 통해 본 한국유아의 표현어휘 발달과 성차. 언어청각장애연구, 9(1), 45-56.
배윤희(2001). 베일리 영유아 발달 검사 II의 한국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성태수(2002). 한국어와 영어의 진행형 비교. STEM Journal, 3(1), 77-94.
성태제(2000). 고전검사이론에 의한 검사분석 프로그램 TestAn 1.0. 서울: (주)에버케이션.
성태제(2001). 문항반응이론의 이해와 적용. 서울:교육과학사.
손원경, 남미경(2003) 유아용 검사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사용 실태 및 요구 조사. 열린유아교육연구, 8(1), 177-202.
심효진(2009).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3판 수용언어 척도 한국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 이화여 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유연미(2005). 3,4세 정상아동의 표현언어 발달-이름대기능력과 발화길이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언어병리학 협동과정.
이승복, 조명한(1981). 어린이 말에서 문법적 형태소의 발달. 행동과학연구, 6(1), 39-53.
이은경, 권도하(1999). 2~4세 유아의 격조사 발달에 관한 연구. 언어치료연구. 8(2), 131-153.
이희란, Hubert Haider(2004). 2세 한국 아동의 보조사 ‘은/는’ 산출에 관한 종단연구: 용언형태를 중심으로. 언어청각장애연구, 9(3), 36-50.
이희선(2006). 한국형 영유아 발달검사 중 언어역역과 REEL 검사와의 비교.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장유경(2004a). 한국 영아의 초기 어휘발달: 18개월~36개월.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7(4), 91-105.
장유경(2004b). 한국 영아의 초기 어휘발달: 8개월~17개월.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3(1), 77-99.
장혜성, 임선숙, 백현정(1992). 언어이해인지력검사.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장혜성, 임선숙, 백현정(1994). 문장이해력검사.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제경숙(1983a). 베일리 유아발달검사의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제경숙(1984b). 베일리 유아발달검사의 척도화를 위한 연구. 아동학회지, 12(5), 55-63.
최은희(2000). 한국 아동의 어휘 발달 연구:13-30개월 아동을 대상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최은희, 서상규, 배소영 (2001). 1;1-2;6세 한국 아동의 표현어휘 연구. 언어청각장애연구, 6(1), 1-16.
최선(2007).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Ⅲ 적응행동 척도의 한국 표준화 예비연구 : 12~42개월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홍경훈(2004). '말늦은 아동(late-talker)'의 표현 어휘 발달 예측요인에 대한 종단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Bornstein, M. H., & 박성연, Cote, L., R. (2004). 걸음마기 한국아동의 어휘발달: 단어유목, 어휘구성, 성차 및 개인차에 관한 기초분석. 아동학회지, 25(2), 19-39.
Bayley, Nancy (2006a) Bayley Scales of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 Third Edition-Administration Manual. Harcourt Assessment.
Bayley, Nancy (2006b) Bayley Scales of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 Third Edition-Technical Manual. Harcourt Assessment.
Bates, E., Marchman, V., Thal, D., Fenson, L., Dale, P., Reznick, S., Reilly, J., & Hartung, J. (1994). Developmental stylistic variation in the composition of early vocabulary. Journal of Child Language, 21, 85-124.
Farver, J. M., Kim, Y. K., & Lee, Y. (1995). Cultural differences in Korean and Anglo-American preschoolers' social interactionand playbehaviors. Child development, 66, 1088-1099.
Mary J. O'Connor (1980). A Comparison of Preterm and Full-Term Infants on Auditory Discrimination at Four Months and on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 at Eighteen Months. Child Development, 51(1), pp. 81-88.
Pushina, N., Orekhova, & E., Stroganova, T. (2005). Age-related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performance of a delayed response task (the A-not-B task) in infant twins aged 7-12 months. Neuroscience and Behavioral Physiology, 35(5), 481-490.
Reznick, J. S., Corley, R., & Robinson, J. (1997). A Longitudinal Twin Study of Intelligence in the Secaond Year.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62(1, Serial No. 249).
Rubin, K, H. (1982). Social and social-cognitiv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young isolate, normal and sociable children, Peer ralationships and social skills in childhood. New York : Springer.
Sternberg, R. J. (1977). Factor Theories of Intelligence Are All Right Almost. Educational Researcher. 9(8), 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