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Critical Aspirations from Studies of Successful Aging

Abstract

This study identified the problems of successful aging studies in western and Korean cultures through 79 researches in last 20 years. First, there was no academic agreement about successful aging concept among researches. Therefore successful aging was accessed with various different components and there was mixed using of components and influential factors of successful aging in diverse empirical studies.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on rate of elderly’s report as successful aging because of the disagreement of what was successful aging. In addition, there was no consideration about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within the elderly group. Lastly, this study compared the components and influential factors of successful aging between two different cultures. Based on the results, cultural influences on conceptualization of successful aging was discussed and necessity of re-conceptualization of aging well in terms of Korean culture was emphasized.

keywords
Submission Date
2011-07-11
Revised Date
2011-08-16
Accepted Date
2011-08-17

Reference

1.

강인 (2003). 성공적 노화의 지각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20(2), 95-116.

2.

고대선 (2005). 노인주거복지시설 노인들의 성공적인 노화의 의미.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4, 413-424.

3.

김경식, 이은주 (2010).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참가와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성공적 노화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4), 424-432.

4.

김경연, 정여진 (2006). 건강 및 경제수준에 따른 집단별 성공적 노화의 요소 탐색. 노인복지연구, 34, 31-54.

5.

김경호, 김지훈 (2008). 삶의 만족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유배우자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3(2), 87-106.

6.

김경호, 김지훈 (2009). 한국 노인의 성공적인 노화요인의 구조분석. 한국노년학, 29(1), 71-87.

7.

김동배 (2008).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지, 60(1), 211-231.

8.

김미령 (2008). 여성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 한국노년학, 28(1), 33-48.

9.

김미혜, 신경림 (2005).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후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5(2), 35-55.

10.

김미혜, 신경림, 강미선, 강인 (2004). 한국노인의 성공적인 노후에 대한 경험. 한국노년학, 24(2), 79-95.

11.

김미혜, 신경림, 최혜경, 강미선 (2006).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후 삶의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26(1), 91-104.

12.

김윤정 (2008). 한일 대학생의 성공적 노화 지각비교. 한국노년학, 28(3), 567-583.

13.

김현정, 이정은, 한성민 (2010). 세대 간 지원교환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47, 265-288.

14.

김희주, 주경희 (2008). ‘한국적 성공적 노후척도’를 활용한 노인의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41, 125-158.

15.

박경란, 이영숙 (2002).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 조사연구. 한국노년학, 22(3), 53-66.

16.

박종한, 김한곤 (2009).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사회학, 12, 95-111.

17.

백지은 (2006). 한국노인들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 비교 문화적 접근.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백지은 (2008). 한국노인의 전통적 가치관에 따른 성공적 노화 인식 차이. 한국노년학, 28(2), 227-249.

19.

백지은, 최혜경 (2005). 한국노인들이 기대하는 성공적인 노화의 개념, 유형 및 예측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3), 1-16.

20.

성혜영, 유정헌 (2002). 성공적 노화 개념의 인식에 관한 연구-Q방법론적 접근-. 한국노년학, 22(2), 75-93.

21.

성혜영, 조희선 (2006). Rowe와 Kahn의 구성요소를 활용한 성공적 노화 모델. 한국노년학, 26(1), 105-123.

22.

신영희, 이혜정 (2009). 일 도시 노인의 성공적인 노화 관련 요인. 한국노년학, 29(4), 1327-1340.

23.

안정신 (2010). 성공적 노화 또 하나의 신화. 제63차 대한가정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집, 35-47.

24.

안정신, 강인, 김윤정 (2009). 한국 중노년 성인들의 성공적 노화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3(4), 225-245.

25.

양영자 (2008). 농촌노인부부의 삶에 나타난 ‘생애사적 진행과정구조’의 재구성. 한국사회복지학, 60(1), 127-157.

26.

유희정 (2007). 농촌 사별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경험 연구. 한국노년학, 27(3), 617-634.

27.

윤현숙, 유희정 (2006). 가족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8, 5-31.

28.

윤현숙, 유희정 (2007). 성공적 노화여부에 따른 중요 생애사건 비교분석. 한국노년학, 27(4), 797-827.

29.

윤현숙, 유희정, 이주일, 김동현, 김영범, 박군석, 유경, 장숙랑 (2008). 인생의 보람과 후회: 성공적 노화여부에 따른 비교. 정신보건과 사회산업, 28, 5-35.

30.

이수림, 조성호 (2007). 나이듦과 지혜: 성공적 노화의 통합적 개념화.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3(3), 65-87.

31.

이은석, 안찬우 (2010).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지, 49(4), 325-337.

32.

이종영 (2005). 노인의 여가활동 참가가 성공적 노화를 위한 사회 심리적 인지메커니즘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4(3), 167-183.

33.

이창식 (2007). 성공적 노화에 대한 청소년세대와 노년세대의 인식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2(3), 85-107.

34.

장휘숙 (2006). 성인심리학-성인발달, 노화, 죽음. 서울: 박영사.

35.

장휘숙 (2007a). 성공적 노화에 이르는 길: 성공적 노화의 개념과 전략. 2007년 한국심리학회 대외 심포지움: 고령화 시대를 성공적으로 살기-고령화 사회의 심리학.

36.

장휘숙 (2007b). 중년성인과 노인의 SOC 전략과 생활만족-농촌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0(2), 131-144.

37.

전상남, 신학진 (2009a). 노인의 이미지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보건과 사회과학, 26, 165-187.

38.

전상남, 신학진 (2009b). 주관적 건강 및 노인차별 경험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9(4), 1383-1396.

39.

정병은, 이기홍 (2009). 노인이 인식하는 사회활동에 대한 연구. 한국노년학, 29(3), 953-970.

40.

정순둘 (2007a).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관한 인식 비교연구. 한국노년학, 27(4), 829-845.

41.

정순둘 (2007b). 한국여성의 성공적 노후에 관한 연구-청년, 중년층, 노년층의 비교. 노인복지연구, 36, 201-219.

42.

정여진, 안정신 (2010). 남성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가족관계 변인이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0(2), 535-550.

43.

조긍호 (2006). 이상적 인간형론의 동서비교. 지식산업사.

44.

조긍호 (2011). 유학사상에서 본 성숙한 노화. 한국인의 성숙한 노화를 향하여-제 1회 한국사회기반연구 워크숍 자료집, 37-75.

45.

최혜경 (2008). 한국 노인들의 기대에 따른 성공적인 노화: 개념 형성과 중재방안의 탐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3(3), 145-168.

46.

최혜경, 백지은, 서선영 (2005). 노인들의 인식을 통한 한국적인 성공적 노화의 개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2), 1-10.

47.

하정연, 오윤자 (2003).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 선택, 적정화, 보상책략 관련 변인 연구-중산층노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2), 131-144.

48.

홍숙자 (2010). 노년학 개론. 하우.

49.

홍현방 (2002). 성공적인 노화와 노인의 종교성관계 연구. 한국노년학, 22(3), 245-259.

50.

홍현방 (2003). 노인의 영양건강과 성공적인 노화의 관계-대전광역시 노인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21, 49-72.

51.

홍현방, 최혜경(2003). 성공적인 노화정의를 위한 문헌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2), 145-154.

52.

Atchley, R. & Barush, A. (2004). Social forces and aging: An introduction to social gerontology (10th ed.). Belmont, CA: Wads worth/Thomson Learning.

53.

Baltes, P. B. (1993). The aging mind: potential and limits. The Gerontologist, 33(5), 579-594.

54.

Baltes, P. B. & Baltes, M. M. (1990).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successful aging: the model of selective optimization with compensation. In P. B. Baltes & M. M. Baltes (Eds.), Successful Aging: Perspectives from the behavioral sciences(pp. 1-34). New York: Cambridge Univ. Press.

55.

Baltes, P. B. & Baltes, M. M. (1993). Successful aging-perspectives from the behavioral sciences.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56.

Baltes, P. B., Baltes, M. M., Freund, A. M., & Lang, F. (1999). The measurement of Selection, Optimization, and Compensation (SOC) by self report. Berlin,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Human Development.

57.

Bowling, A. B. (2007). Aspirations for older age in the 21st century: What is successful aging?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 Human Development, 64(3), 263-297.

58.

Chou, K. L. & Chi, I. (2002). Successful aging among the young-old, old-old, and oldest-old chines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 Human Development, 54(1), 1-15.

59.

Crosnoe, R. & Elder, G. H. (2002). Successful adaptation in the later years: A life course approach to aging. Social Psychology Quarterly, 65(4), 309-328.

60.

Depp, C. A. & D. V. Jeste(2006). Definitions and predictors of successful aging: A comprehensive review of larger quantitative studies.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4(1), pp. 6-20.

61.

Faber M. V., Gussekloo. J., & Knook D. L. (2001). Successful aging in the oldest old: Who can be characterized as successful aged?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1, 2694-2700.

62.

Fisher, B. J. (1995). Successful aging, life satisfaction and generativity in later lif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 Human Development, 41(3), 239-251.

63.

Freund, A. M. & Baltes, P. B. (1998). Selection, optimization, and compensation as strategies of life management: Correlations with subjective indicators of successful aging. Psychology and Aging, 13(4) 531-543.

64.

Keuth, J., Fry, C. L., & Ikel, C. (1990). Community as context for successful aging. In J. Sokolovsky (Ed.), The Cultural Context of Aging. Bergin and Garvey: New York, Connecticut and London.

65.

Leder, D. (1999). Aging into the spirit: From traditional wisdom to innovative programs and communities. Generations, 23(4), 35-41.

66.

Mossakowska, M., Barcikowska, M., Broczek, K., Grodzicki, T., Klich-Raczka, A., Kupisz-Urbanska, M., Podsiadly-Moczydlowska, T., Sikora, E., Szybinska, A., Wieczorowska-Tobis, K., Zyczkowska, J., & Kuznick, J. (2008). Polish Centenarians Programme - Multidisciplinary studies of successful ageing: Aims, methods, and preliminary results. Experimental Gerontology, 43(3), 238-244.

67.

Reeker, G. T. (2002). Prospective predictors of successful aging in community-residing and institutionalized canadian elderly. Ageing International, 27(1), 42-64.

68.

Rowe, J. W., & Kahn, R. I. (1997). Successful Aging. The Gerontologist, 37, 433-440.

69.

Rowe, J. W., & Kahn, R. I. (1998). Successful Aging. New York: Pantheon Books.

70.

Ryff, C. D. (1989). Beyond ponce de leon and life satisfaction: New directions in quest of successful ageing.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12(1), 35-55.

71.

Schulz, R. & Heckhausen, J. (1996). A life span model of successful aging. American Psychologist, 51(7), 702-709.

72.

Strawbridge, W. J., Wallhagen, M. I., & Cohen, R. D. (2002). Successful aging and Well-being: self-rated compared with Rowe and Kahn. The Gerontologist, 42(6), 727-733.

73.

Tate, R. B., Lah, L., & Cuddy, T. E. (2003). Definition of Successful aging by Elderly Canadian Males: The Mantoba Follow-Up Study. The Gerontologist, 43(5), 735-744.

74.

Tornstam, L. (1994). Gerotranscendence : A theoretical and empirical exploration. In L. E. Thomas & S. A. Eisenhandler (Eds.), Aging and Religious Dimension(pp. 203-225). Greenwood Publishing Group, Westport.

75.

Tornstam, L. (2003). Gerotranscendence from young to old age. Online publication from The Social Gerontology Group, Uppsala. Retrieved http://www.soc.uu.se/publications/fulltext/gtransoldold.pdf on 6 April 2004.

76.

Torres, S. (2002). Relational values and ideas regarding “Successful Aging”. Journal of Comparative Family Studies, 33(3), 417-432.

77.

Torres, S. (2003). A preliminary empirical test of a culturally-relevant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study of successful aging. Journal of Cross-Cultural Gerontology, 18(1), 79-100.

78.

Vaillant, G. E. & Mukamal, K. (2001). Successful aging.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8(6), 839-847.

79.

Westerhof, G. J. & Bode, C. (2006). The personal meaning of individuality and relatedness: Gender differences in middle and late adulthood. In S. O. Daatland & S. Biggs (Eds.), Ageing and Diversity: Multiple pathways and cultural migrations. The Policy Press: UK.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