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718
Based on the multi-faceted control concept of Shapir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atterns of control modes used by mothers, and their impact on adaptation of mothers and their children. The 153 5th or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their 153 mot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ombination of the four control modes of mothers formed four clusters, which were named; ‘the assertive group’ using positive and negative assertive type control modes in the main, ‘the yielding group’ using positive acceptive type control mode in the main, ‘the lethargy group’ using negative acceptive type control mode in the main, and ‘the integration group’ using all the 4 types control modes. The integration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ense of control and life satisfaction, while the lethargy group had low sense of control and life satisfaction. Children of the integration group were reported to show significantly higher school adaptation compared other groups. But children of the integration type group showd higher autonomy only compared to the assertive group. The importance of balanced use of control modes was discussed.
강민주, 현명호, 신여운 (2007). 걱정과 통제가능 여부가 통제력 지각 및 통제 욕구에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1), 111-130.
곽지현, 이민규 (2006). 심리적 통제전략과 안녕감 간의 관계: 전생애통제이론을 중심으로 청년, 중년, 노년성인의 비교. 한국노년학, 26(3), 565-580.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2), 19-39.
김아영 (2010). 자기결정성이론과 현장 적용연구. 교육심리연구, 24(3), 583-609.
김학년, 윤대혁 (2007). 성격유형과 통제위치가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관리연구, 14, 특별호, 65-91.
남정민, 성현란, 권선영 (2014). 지각된 부모의심리적 통제와 애정적 양육이 남녀중학생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 행동에 미치는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7(3), 147-167.
남현주, 이현지 (2005). 여성 노인이 지각하는통제감이 우울감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연구, 27(1), 255-277.
노영주, 한경혜 (2000). 중년 여성의 40대 전환기 변화 경험과 대응에 대한 질적 연구. 가족과 문화, 12(1), 67-91.
민병배 (2000). 강박사고와 걱정: 침투사고 대처과정 및 관련 성격특성에서의 유사점과 차이점.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성현, 성승연 (2011). 통제양식과 심리적 적응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5(2), 245-262.
박정원 (2015). 중년여성의 성역할 특성과 중학생자녀의 자기주도성 발달과의 관계: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성승연, 박성현 (2008). 한국판 Shapiro 통제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 성격, 22(4), 111-132.
신종호, 진성조, 김연제 (2010). 지각된 부모의학업지원, 성취기대, 일상통제가 학업성취수준에 따라 자기결정성 동기에 미치는영향. 교육심리연구, 24(1), 121-137.
심민선 (2013). 노년기의 통제감, 통제양식,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통제양식의 조절및 매개 효과.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어주경 (1998). 저소득층 가족의 경제적 어려움이 아동의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육근영, 방희정, 옥 정 (2006). 자아일관성과주관적 안녕감: 자아통제감의 매개효과를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9(3), 47-65.
이은경, 박성연 (2010).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청소년의 우울성향 및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1(6), 87-106.
이회란 (2013). 부모의 자율성지지 및 심리적 통제와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의 관계:자녀의 자기조절양식의 매개효과. 단국대학교박사학위논문.
이희선, 권영애 (2012).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자기주도적 학습과의 관계: 자기결정성동기의매개효과 검증. 대한가정학회지, 50(8), 125-135.
장경문 (2011). 지각된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심리적 통제가 남녀 초등학생의 자존감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8(12), 243-261.
장암미 (2014). 부모, 교사 및 또래의 심리적 환경이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과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유리, 이정남, 윤현숙, 김수영 (2008). 노년기자기 통제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 한국노년학, 28(4), 1055-1068.
전숙영 (2012). 어머니의 과보호와 청소년의불안: 자율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19(4), 61-79.
정지영, 김희화 (2010). 한국 초등학생의 학업동기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자기결정성이론을 근거로. 청소년학연구, 17(11), 117-137.
조설애 (2006). 일차통제와 이차통제의 조화가적응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조설애, 정영숙 (2008). 상황의 통제가능성에따른 노인의 일차통제와 이차통제 사용과정서 및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1(4), 89-107.
차경호 (2001). 대학생들의 성격특성과 삶의만족도. 청소년상담 연구, 9, 7-26.
최해연 (2008). 정서표현에 대한 갈등과 억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최해연, 이동귀, 민경환 (2008). 정서강도, 정서주의, 정서명료성, 및 정서표현양가성의군집과 심리적 적응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2(4), 59-73.
허예빈, 김아영 (2012).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자율성 지지와 자기주도 학습능력 간의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교육심리연구, 26(4), 1075-1096.
Aldwin C., & Revinson, T. (1987). Dose Copying Heop? A Reexamin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Coping and Mental Healt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3(2), 337-348.
Averill, J. R. (1973). Personal Control over Aversive Stimuli and Its Relationship to Stress. Psychological Bulletin, 80(4), 286-303.
Burger, J. M. (1989). Negative Reactions to Increases in Perceived Personal Contro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6(2), 246-256.
Chipperfield, J. G., & Greenslade, L. (1999). Perceived control as a buffer in the use of health care services. Journal of Gerontology:Psychological Sciences. 54B, 146-154.
Coyne, J. C., Aldwin, C., & Lazarus, R. S. (1981). Depression and coping in stressful episode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90, 439-447.
DeNeve, K. M., & Cooper, H. (1998). The Happy personality: A meta-analysis of 137 personality traits and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124, 197-229
Galambos, N. L., Barker, E. T., & Almeida, D. A. (2003). Parents Do Matter: Trajectories of Change in Externaliaing and Internaliaing Problems in Early Adolescence. Child Development, 74(2), 578-594.
Gottfried, A. E., Fleming, J. S., & Gottfried, A. W. (1994). Role of parental motivational practices in children’s academic intrinsic motivation and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6(1), 104-113.
Gould, S. J. (1999). A Critique of Heckhausen and Schulz’s(1995) Life-span theory of control From a Cross-cultural perspective. Psychological Reveiw, 106, 597-604.
Grolnick, W. S., Gurland, S. T., DeCourcey, W., & Jacob. K. (2002).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mothers’ autonomy support: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38(1), 143-155.
Lachman, M. E., & Weaver, S. L. (1998). The Sense of Control as a Moderator of Social Class Differences in Health and Weoo-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4(3), 763-773.
McNeely, C. A., & Barber, B. K. (2010). How do parents make adolescents feel loved? Perspectives on supportive parenting from adolescents in 12 cultures.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25(4), 601-631.
Phillips, J. M, & Gully, S. M. (1997). Role of Goal Orientation, Ability, Need for Achievenennt, and locus of Control in the Self-Efficacy and Goal-Setting Proces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2(5), 792-802.
Reed, G. M., Taylor, S. E., & Kemeny, M. E. (1993). Perceived control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in gay men with AID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3, 791-824.
Rothbaum, F., Weisz, J. R., & Snyder, S. S. (1982). Changing the World and Changing the Self: A Two-Process Model of Perceived Contro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2(1), 5-37.
Shapiro, D. H. (1994). Manual for the Shapiro control Inventory(SCI). Palo Alto, CA:Behaviordata.
Shapiro, D. H., Schwartz, C. B., & Astin, J. A. (1996). Controlling ourselves, Controlling our wolrd: Psychology’s role in understanding Positive and Negative consequence of seeking and gaining control. American Psychologist, 51, 1213-1230.
Shapiro, J., & Shapiro, D. (1984). Self-control and Relationship: Toward a Model of Interpersonal Health. Journal of Humanistic Psychology, 24(4), 91-116.
Skinner, E. A. (1996). A guide to constructs of contro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1(3), 549.
Thompson, S. C., Sobolew-Shubin, A., & Galbraith, M. E. (1993). Maintaining Perceptions of Control: Finding Perceived Control in Low-Control Circumstanc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4(2), 293-304.
Weisz, J. R., Rothbaum, F. D., & Blackburn, T. C. (1984). Standing Out and Standing In:The Psychology of Control in America and Japan. American Psychologist, 39(9), 955-969.
Wrosch, C., Heckhausen, J. (1999). Control processes before and after passing a developmental deadline: Activation and deactivation of intimate relation ship goa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7, 415-427.
Wrosch, C., Heckhausen, J., & Lachman, M. E. (2000). Primary and Secondary Control Strategies for Managing Health and Financial Stress Across Adulthood. Psychology and Aging, Vol. 15(3), 387-3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