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718
This study examined the extent to which parental and peer support influenced youth's depressive symptoms during emerging adulthood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perceived social stigma, using the longitudinal survey on school dropout youth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present study included 776 adolescents (boys n = 444). The results indicated that parental and peer support in the beginning of school dropout (age 17) negatively affected the youth's perceived social stigma 2 years later (age 19). Their perceived social stigma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in emerging adulthood (3-4 years after school dropout, age 21). Second, depressive symptoms were not directly influenced by parental and peer support during the early years of school dropout but were significantly reduced through reduced social stigma. Results from the present study are expected to inform efforts for developing preventive intervention programs to support healthy adjustment among school dropouts in Korea.
강평모, 윤채연, 김예지, 김재현 (2019). 부모의 학력수준과 우울감 사이의 연관성: 제 14기(2018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보건행정학회지, 29(4), 422-430.
공은화, 김원영 (2017). 청소년 우울 영향 변인들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웰니스학회지, 12(3), 61- 75.
교육통계서비스 (2020). 유초중등통계-학업중단현황.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KESS).
김경준 (2010). 사회적 스티그마의 청소년에 대한 영향과 대응. 한국청소년연구, 21(3), 5-31.
김노은 (2012). 대학신입생 우울의 영향요인.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0(4), 5-26.
김동옥, 이근매 (2018).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임상미술심리연구, 8(2), 1-22.
김민선 (2019). 학업중단 학생들이 지각한 사회적 낙인감과 삶의 만족도, 우울의 관계: 진로장벽과 진로낙관성을 매개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1), 1029-1056.
김범구, 조아미 (2013). 잠재계층분석(LCA)을 이용한 학업중단 청소년의 유형과 특성. 한국청소년연구, 24(3), 5-31.
김봉금, 김상철 (2017). 청소년의 가정요인이 친구 요인을 매개하여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저소득층과 중산층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12), 493-504.
김소현 (2010). 다층성장모형(HLM)을 통한 청소년의 비공식적 낙인 변화 추정.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7, 7-31.
김영희, 최보영 (2015). 학업중단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과정. 한국청소년연구, 26(2), 145- 175.
김윤희, 권석만, 서수균 (2008). 자기회귀 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한 또래관계 형성의 어려움과 우울/불안의 종단관계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19(4), 57-79.
김지경, 이윤주, 이민정 (2018). 20대 청년 심리정서 문제 및 대응방안 연구.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김혜경 (2018). 부모-자녀 관계 향상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참여 부모의 변화과정: 근거이론 접근. 생태유아교육연구, 17(2), 27-52.
김효수, 김성천, 유서구 (2010). 비공식낙인과 부모 애착이 청소년의 비행에 미치는 인과모형 - 매개효과의 검증을 중심으로 -. 청소년복지연구, 12(4), 185-206.
김효은, 김종운 (2016). 초기 청소년의 부모애착, 역기능적 태도, 자아정체감,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 및 우울 간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9), 365-392.
남기곤 (2011). 고등학교 단계 학업중단의 경제적 효과 추정. 시장경제연구, 40(3), 63-94.
박금숙, 윤해민 (2016). 대학생들의 건강행태, 우울, 자아탄력성. 정신간호학회지, 25(2), 113- 122.
박기령, 신동윤 (2018). 청소년 회복탄력성 증진 집단프로그램 내용분석(1999-2016). 청소년학연구, 25(4), 199-224.
박동진, 김나연 (2019).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활동연구, 5(3), 71- 87.
박병선, 배성우, 박경진, 서미경, 김혜지 (2017). 청소년의 또래애착, 사회적 위축, 우울, 학교생활 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보건사회연구, 37(2), 72-101.
박봉선 (2019). 학업중단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62, 81-106.
박현정, 이진실 (2013). 잠재성장모형과 자기회귀교 차지연모형을 활용한 종단매개효과 검증: 부모자녀관계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우울에 미치는 영향. 교육평가연구, 26(1), 83-106.
백혜정, 송미경, 신정민 (2015).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정책 체계화 방안 연구.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서정아, 권해수, 정찬석 (2006). 학교밖 청소년의 실태와 정책적 대응방안.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성은모, 윤나래 (2016). 학교 밖 청소년의 자립지원을 위한 정서지원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 모형개발. 아시아교육연구, 17(3), 221-251.
아영아 (2015). 비공식낙인이 보호관찰 청소년의 재비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 효과. 교정복지연구, 37(0), 21-44.
오은경 (2014). 학교밖 청소년 유형별 사회적지지, 진로준비행동, 사회적 배제 및 우울 간의 차이. 청소년시설환경, 12(2), 65-80.
오혜영, 박현진, 공윤정, 김범구 (2013). 현장상담자들이 인식한 학업중단청소년의 특성과 개입 방향. 청소년학연구, 20(12), 153-179.
유지희, 황숙연 (2016). 다문화 청소년의 우울경험과 관련요인: 일반청소년과의 비교. 사회복지실천과 연구, 13(1), 115-146.
윤철경, 유성렬, 김신영, 임지연, 엄아람, 최은희 (2014).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Ⅰ.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이경상, 백혜정, 이종원, 김지영 (2011).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 2010 Ⅱ 사업보고서.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이성식 (2007). 청소년비행과 비공식낙인의 영향: 청소년패널자료의 분석. 형사정책연구, 18(3), 1105-1127.
이윤희, 권정아 (2015). 청소년 우울 개선 프로그램의 특성 및 효과크기 분석: 다층메타분석을 통한 효과크기 검증. 정서․행동장애연구, 31(4), 261-283.
이인옥, 이은옥 (2006). 낙인(stigma) 개념분석. 근관절건강학회지, 13(1), 53-66.
이혜경, 조미경 (2012). 대학생 그룹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성 측정을 위한 멘토역량 척도 개발연구 - 대학생 그룹 멘토 참여자를 대상으로 -. 청소년학연구, 19(12), 61-87.
이화명, 김영미 (2017).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과 심리사회적 적응 간의 관계: 자기개념 명확성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9), 549-562.
장은비, 최현주, 하규영, 박은혜, 이상민 (2014). 성별에 따른 부모-자녀 관계, 비공식 낙인, 비행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1(1), 185- 205.
장은애, 정현희 (2019). 초기 청소년의 또래애착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학교유대감의 종단적 매개 효과. 한국청소년연구, 30(1), 313-340.
전경숙 (2006). 10대 학업중단 청소년의 근로실태에 관한 실증적 고찰 연구: 가출경험 학업중단 청소년을 중심으로. 청소년상담연구지, 14(1), 3-21.
정연정 (2015). 학교사회복지실천에서 서비스 이용에 대한 학생의 낙인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학교사회복지, 30(0), 121-139.
조제성 (2018). 학교 밖 청소년의 물질사용과 비행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중독범죄학회보, 8(3),31-47.
조현주, 임현우, 조선진, 방명희 (2008). 성인 남녀의 우울감 특징과 전문적 도움추구에서의 차이. 한국심리학회: 여성, 13(3), 283-297.
주금옥 (2002). 정규교육 중도탈락 청소년의 진로 장애 지각에 관한 탐색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동선, 이상준 (2009). 학교중단 청소년을 위한 진로개발 지원 방안.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최수형 (2008). 청소년의 반복적 비행과정에서 나타난 비공식낙인의 효과. 한국청소년연구, 19(3), 33-55.
최인재, 모상현, 이선영, 김혜인, 이재연 (201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 Ⅱ: 총괄보고서.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최정아, 이혜은 (2008). 청소년의 우울과 지각된 부모 지지, 행동적 통제 및 심리적 통제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자아통제력 및 자아유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19(1), 295-326.
최지은, 이지원, 정다빈, 이해나, 김현경 (2020). 학교 밖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발달궤적과 성인 초기 적응 여부에 따른 차이. 한국심리학회지:발달, 33(1), 37-52.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선정기준과 그 근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1), 161-177.
Bahm, A., & Forchuk, C. (2009). Interlocking oppressions: The effect of a comorbid physical disability on perceived stigma and discrimination among mental health consumers in Canada. Health & Social Care in the Community, 17(1), 63-70.
Bollen, K. A., & Stine, R. (1990). Direct and indirect effects: Classical and bootstrap estimates of variability. Sociological Methodology, 115-140.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Sage Focus Editions, 154, 136-136.
Corrigan, P. (2004). How stigma interferes with mental health care. American Psychologist, 59(7), 614-625.
Enders, C. K., & Bandalos, D. L. (2001). The relative performance of full information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for missing data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8(3), 430-457.
Freudenberg, N., & Ruglis, J. (2007). Reframing school dropout as a public health Issue. Preventing Chronic Disease: Public Health Research, Practice, and Policy, 4(4), 1-11.
Galambos, N. L., Barker, E. T., & Krahn, H. J. (2006). Depression, self-esteem, and anger in emerging adulthood: Seven-year trajectories. Developmental Psychology, 42(2), 350-365.
Harvey, R. D. (2001).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phenomenological impact of social stigma.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4(2), 174-189.
Hu, L. T.,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6(1), 1-55.
Kimberly, H. & Knight, K. (2012). School disengagement as a predictor of dropout, delinquency, and problem substance use during adolescence and early adulthood. Journal of Youth Adolescence, 41, 156-166.
Lynn, R., & Martin, T. (1997). Gender differences in extraversion, neuroticism, and psychoticism in 37 nations.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37(3), 369-373.
MacKinnon, D. P., Lockwood, C. M., & Williams, J. (2004). Confidence limits for the indirect effect: Distribution of the product and resampling method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39(1), 99-128.
Muthén, L. K., & Muthén, B. O. (1998-2017). Mplus User’s Guide. CA: Muthén & Muthén.
Schubert, K. O., Clark, S. R., Van, L. K., Collinson, J. L., & Baune, B. T. (2017). Depressive symptom trajectories in late adolescence and early adulthood: a systematic review. Australian &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51(5), 477-499.
Westenberg, P. M., Drewes, M. J., Goedhart, A. W., Siebelink, B. M., & Treffers, P. D. A. (2004). A developmental analysis of self-reported fears in late childhood through mid-adolescence: Socialevaluative fears on the rise? Th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5(3), 481-495.
Young, J. F., Berenson, K., Cohen, P., & Garcia, J. (2005). The role of parent and peer support in predicting adolescent depression: A longitudinal community study. Journal of Research on Adolescence, 15(4), 407-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