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권호 목록

여대생의 신체 존중감과 사회적 상호작용불안의 관계 : 부정적 사회적 자기개념 및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신지원(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 김민희(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pp.1-18 https://doi.org/10.35574/KJDP.2020.9.33.3.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사회불안의 인지모델에 근거하여, 여대생의 신체 존중감과 사회적 상호작용불안의 관계에서 부정적 사회적 자기개념과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경남, 부산 지역의 여대생 504명의 자기보고 설문자료를 수집하였다. 신체 존중감, 부정적 사회적 자기개념, 거부민감성, 사회적 상호작용불안 간 관계에 대한 가설을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여대생의 신체 존중감은 사회적 상호작용불안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여대생의 신체 존중감과 사회적 상호작용불안의 관계를 부정적 사회적 자기개념과 거부민감성이 매개하였다. 본 연구는 여대생의 사회적 상호작용불안에서 신체 존중감의 역할을 밝히고, 사회불안을 설명하는 인지 모델의 유용성을 다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상호작용불안에 대한 심리적 개입 방안과 본 연구의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negative social self-concept and rejection sensit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esteem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of female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cognitive model of social anxiety, For this purpose, the self-reporting data of 504 fe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Gyeonggi, Gyeongnam and Busan were collected. Hypothe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esteem, negative social self-concept, rejection sensitivity,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was test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body esteem of female college students significantly predicted social interaction anxiety. Second, negative social self-concept and rejection sensitivit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esteem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e role of body esteem in social interaction anxiety of female college students and confirmed the usefulness of cognitive model explaining social anxiety again. Finally, the psychological interventions on social interaction anxiety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성인의 자기결정적 고독동기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반추-반성적 사고와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김연옥(아주대 교육대학원 심리치료교육) ; 김영희(아주대 교육대학원 심리치료교육) pp.19-42 https://doi.org/10.35574/KJDP.2020.9.33.3.1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성인기의 자기결정적 고독동기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반추-반성적 사고와 삶의 의미가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지역에 소재한 20세에서 60세 성인기 438명을 대상으로 자기결정적 고독동기, 반추-반성적 사고, 삶의 만족도, 심리적 안녕감을 설문조사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결과, 첫째, 자기결정적 고독동기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반추적 사고와 삶의 의미가 각각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자기결정적 고독동기가 반추적 사고와 삶의 의미를 순차적으로 거쳐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셋째, 자기결정적 고독동기가 반성적 사고와 삶의 의미를 순차적으로 거쳐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이중매개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기결정적 고독동기가 있는 성인의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려해야 할 점과 삶의 의미와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반추적 사고와 반성적 사고의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상담개입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ation loneliness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ulthood is mediated by ruminating‐reflective thinking and meaning of life. For this purpose, on the subjects of 438 adults aged 20 to 60 years in Seoul and Gyeonggi‐do, a survey was conducted for self‐determination loneliness motivation, ruminating‐reflective thinking, satisfaction of lif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ation loneliness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in ruminating thinking and meaning of life, respectively. Second,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self‐determination loneliness motivat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after going sequentially through ruminating thinking and meaning of life was found to be significant. Third,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self‐determination loneliness motivat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sequentially through reflective thinking and meaning of life was also found to be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issues that require considerations to improve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ults with self‐determination loneliness motivation, and the importance of differentiated counseling intervention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ruminating thinking and reflective thinking, which affect the meaning of lif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노년기 사회적 지지제공 및 지지받기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기본 심리 욕구의 매개효과
이현서(부산대학교 심리학과) ; 정영숙(부산대학교 심리학과) pp.43-64 https://doi.org/10.35574/KJDP.2020.9.33.3.4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노년기 친밀한 타인과 사회적 지지를 주고받는 것이 기본 심리 욕구를 매개로 주관적 안녕감 증진에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부산·경남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330명을 대상으로 가족 또는 비 가족으로부터 노인이 받는 사회적 지지와 그들을 향한 사회적 지지제공, 기본 심리 욕구(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충족 정도, 그리고 주관적 안녕감을 측정하였다. 매개 분석 결과, 가족이나 비 가족과 관계없이 사회적 지지제공은 유능성과 관계성을 통해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가족이나 비 가족으로부터 받는 사회적 지지는 기본 심리 욕구를 매개로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경로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 제공의 효과가 대상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가족에게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사회적 지지제공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유능성 및 관계성의 부분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제공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직접 효과가 나타났으나 비 가족에게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는 것은 유능성 및 관계성의 완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사회적 지지받기와 지지제공의 차별적 효과와 노년기 사회적 지지제공의 긍정적 효과를 보여줌으로써 사회적 지지제공에 관한 심리적 기능의 연구 필요성을 보여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mediating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between giving social support(GSS) and receiving social support(RSS)and subjective well-being(SWB) of the elderly in close relationships.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330 participants aged over 60 from Busan and Gyeongsangnam-do in South Korea including measuring degrees in GSS and RSS, BPN(autonomy, competence, relatedness), SWB. Results from mediating analyses showed that competence and relatedness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SS and SWB.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the relationship RSS and SWB. The effect of GSS differed slightly depending on the type of relationship. In the case of the family, there was partial mediation of competence and related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SS and SWB, and direct effect between GSS and SWB. In the case of non-family, there was complete mediation of competence and related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SS and SWB. This study’s results indicate the need to study psychological functions of GSS by showing the positive effect of GSS in the elderly.

청소년의 사이버 괴롭힘에서 주변인 경험: 그룹 대화방을 중심으로
서미정(제주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부) pp.65-88 https://doi.org/10.35574/KJDP.2020.9.33.3.65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청소년들이 그룹 대화방에서 일어나는 사이버 괴롭힘에서 주변인으로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를 탐색하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 주변인의 행동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그리고 행동 이면에 존재하는 이유나 동기를 파악하기 위해 중학교 1학년 남, 여학생 13명에게 초점 집단 면담을 실시하였다. 먼저 그룹 대화방에서 사이버 괴롭힘을 목격한 주변인은 침묵하거나, 대화방을 나가거나, 피해자를 괴롭히는데 동참하거나, 피해자에 대한 소문을 퍼뜨리는 반응을 보여주었다. 또 어떤 주변인은 교사를 대화방에 초대하여 중재를 시도하였으며, 소수이지만 피해자를 위로하는 주변인들도 있었다. 이러한 주변인의 행동은 사회적 관계, 힘의 위계, 피해자에게 잘못을 전가하는 것, 그리고 집단의 압력이나 분위기 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이버 괴롭힘에서 주변인의 행동에 대한 이유는 자신이 괴롭힘을 당할 수 있다는 두려움, 함께 연루되면 처벌을 받을 수 있다는 불안감, 손실 지각 등 심리적 부담감이 언급되었다. 또한 가해행동에 동참함으로써 가해자와 친해질 수 있는 계기가 되며, 사이버 괴롭힘에 관심이 없어서, 혹은 도와줄 게 없다는 이유로 침묵하였다. 주변인이 교사를 대화방에 초대하는 이유는 사이버 괴롭힘의 해결을 위해 교사의 도움을 희망하기 때문이며, 피해자를 지지하는 주변인은 피해자의 고통을 공감하기 때문이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관점에서 사이버 괴롭힘을 바라보고 이해하는 첫 시도이며, 연구결과를 통해 괴롭힘의 중재 전략에는 오프라인과 사이버 괴롭힘의 통합적 개입이 유용함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s of bystanders who witness cyber bullying among middle school adolescents using focus group interviews(FGI). The focus was on limiting group chat rooms. The cyber bystanders were silent, joined the bullying, or spreaded rumor about the victim online. There were also bystanders’ responses to leave the chat room, invite the teacher to the chat room to attempt intervention, and support the victim. The responses of bystanders in cyber bullying were influenced by social relationships, the powers of bystanders who help victims as well as the bullies, the blame on the victims, and the pressure or mood of the group. Bystanders’ reasons and motivations for responses were mentioned psychological burdens such as fear of being bullied, anxiety about being punished if involved, and perception of loss. Additionally, there were bystanders who think they had nothing to do with cyber bullying, who want to get acquainted with the bullies, hoping to help the teacher to solve the problem, and supporting them by empathizing with the victims. This study provided an opportunity to further approach their life and culture by viewing and understanding cyber bullying from the perspective of adolescents.

책읽기 중재 시 어휘 노출 빈도 및 학령전기 아동들의 어휘력, 작업기억 능력이 표현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김신영(이화여대 언어병리학과) ; 채미선(이화여대 언어병리학과) ; 임동선(이화여대 언어병리학과) pp.89-114 https://doi.org/10.35574/KJDP.2020.9.33.3.8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책읽기를 통한 어휘 중재 시 어휘의 노출 빈도에 따른 표현어휘 학습 효과를 검토하고, 어휘 능력과 작업기억 능력 가운데 책읽기를 통한 표현어휘 학습 수행력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는 4-6세 아동 25명이 참여하였으며, 아동들의 어휘능력은 수용・표현어휘력 검사로, 작업기억 능력은 비단어 따라말하기, 단어 목록 회상하기, 매트릭스 과제로 평가하였다. 4권의 책으로 책읽기 중재를 실시하고, 목표어휘를 12회와 24회 노출시켰을 때의 표현어휘 학습 수행력을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비교하였다. 또한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각각의 어휘학습 수행력을 설명하는 요인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목표어휘를 24회 노출했을 때의 수행력이 12회 노출한 경우보다 표현어휘 학습 수행력이 유의하게 높았다. 목표어휘 12회 노출 시의 표현어휘 학습 수행력을 설명해주는 요인은 단어 목록 회상 및 매트릭스 과제 수행력이었으며, 24회 노출 시의 유의한 설명 요인은 단어 목록 회상 과제 수행력 및 표현어휘력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어휘의 반복 노출이 표현어휘 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어휘가 노출되는 빈도에 따라 표현어휘 학습 수행력을 설명하는 요인이 달라짐을 밝혔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intensity of word exposure on expressive word learning and to find a better predictor for word learning between vocabulary skills and working memory (WM) during book reading intervention. Twenty-five children aged between 4 to 6 participated in this study. Standardized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s and three WM tasks (nonword repetition, word list recall, and matrix) were administered. The book reading intervention was provided using four books, with 2 different condition varying number of exposures of target words, which was 12 and 24 exposures, respectively. The number of acquired words of each condition was compared through a paired t-test and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find predictors of word learning. The number of acquired expressive word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24 exposures compared to 12 exposures. Word list recall and matrix scores significantly predicted expressive word learning in 12 exposures, and word list recall and expressive vocabulary scores predicted expressive word learning in 24 exposures. These results confirm the effects of repeated exposure on word learning and indicate that the factors that predict expressive word learning could be vary depending on the intensity of word exposure.

청소년과 성인의 마음이론에 미치는 공감과 정서인식 기능의 영향
심혜진(덕성여대 심리학과) ; 김소연(덕성여대 심리학과) pp.115-138 https://doi.org/10.35574/KJDP.2020.9.33.3.115
초록보기
초록

마음이론(Theory of Mind : ToM)은 타인의 의도, 믿음, 생각을 추론(인지 ToM)하거나 정서를 추론(정서 ToM)하여 행동을 예측하는 능력이다. 이러한 ToM 능력은 아동기에 타인의 의도를 이해하기 시작하여 청소년기에는 타인의 정서까지도 추론하여 행동을 예측하는 보다 세련된 사회 인지 능력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과 성인을 대상으로 ToM(인지 ToM, 정서 ToM) 능력의 발달 양상을 탐구하였다. 또한, 공감과 얼굴 정서 인식 능력이 인지 혹은 정서 ToM 발달을 설명할 수 있는지를 탐구하였다. 연구 결과, 성인의 인지, 정서 ToM의 정확도가 청소년의 정확도 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공감 능력이 ToM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 결과(연구 1), 청소년 집단에서 인지적 공감 능력이 인지 ToM을 유의미하게 설명함을 발견하였다. 연구 2에서는 정서 ToM을 설명할 수 있는 요인으로 얼굴 정서 인식 능력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 집단에서 정서 인식 정확도와 정서 인식 민감도는 정서 ToM을 유의미하게 설명함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인지 ToM과 정서 ToM 능력에서 청소년과 성인의 연령차를 발견함으로써, ToM 능력이 청소년기에서 성인기까지 발달함을 시사하고, 청소년기 ToM 능력 발달에 공감과 얼굴 정서 인식 기능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Abstract

Theory of mind(ToM) is an ability to attribute intention, belief, and emotion of others to predict their behaviors. ToM begins with understanding of other’s intention in childhood and develops to more sophisticated forms such as inferring other’s emotion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development of two types of ToM (cognitive and affective ToM) in adolescents and adults. We also examined whether empathy and emotion recognition could explain development of cognitive and/or affective ToM. Results showed that accuracy of cognitive and affective ToM in adul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adolescents. Also, we found that cognitive empathy significantly explained cognitive ToM in adolescents in Study 1. In Study 2, we found that accuracy and sensitivity on a dynamic facial emotion recognition task significantly explained affective ToM in adolescents. Taken together, we demonstrated that both cognitive and affective ToM continue to develop from adolescences to adults. Further, we report a novel finding that both empathy and emotion recognition abilities are important factors to explain development of cognitive and affective ToM.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