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청소년의 사이버 괴롭힘에서 주변인 경험: 그룹 대화방을 중심으로

Bystanders’ Experience in Cyber Bullying among Adolescents: Focused on Group Chat Room

초록

이 연구는 청소년들이 그룹 대화방에서 일어나는 사이버 괴롭힘에서 주변인으로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를 탐색하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 주변인의 행동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그리고 행동 이면에 존재하는 이유나 동기를 파악하기 위해 중학교 1학년 남, 여학생 13명에게 초점 집단 면담을 실시하였다. 먼저 그룹 대화방에서 사이버 괴롭힘을 목격한 주변인은 침묵하거나, 대화방을 나가거나, 피해자를 괴롭히는데 동참하거나, 피해자에 대한 소문을 퍼뜨리는 반응을 보여주었다. 또 어떤 주변인은 교사를 대화방에 초대하여 중재를 시도하였으며, 소수이지만 피해자를 위로하는 주변인들도 있었다. 이러한 주변인의 행동은 사회적 관계, 힘의 위계, 피해자에게 잘못을 전가하는 것, 그리고 집단의 압력이나 분위기 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이버 괴롭힘에서 주변인의 행동에 대한 이유는 자신이 괴롭힘을 당할 수 있다는 두려움, 함께 연루되면 처벌을 받을 수 있다는 불안감, 손실 지각 등 심리적 부담감이 언급되었다. 또한 가해행동에 동참함으로써 가해자와 친해질 수 있는 계기가 되며, 사이버 괴롭힘에 관심이 없어서, 혹은 도와줄 게 없다는 이유로 침묵하였다. 주변인이 교사를 대화방에 초대하는 이유는 사이버 괴롭힘의 해결을 위해 교사의 도움을 희망하기 때문이며, 피해자를 지지하는 주변인은 피해자의 고통을 공감하기 때문이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관점에서 사이버 괴롭힘을 바라보고 이해하는 첫 시도이며, 연구결과를 통해 괴롭힘의 중재 전략에는 오프라인과 사이버 괴롭힘의 통합적 개입이 유용함을 제안하였다.

keywords
Cyber Bullying, Bystander, Group Chat Room, Focus Group Interviews, 사이버 괴롭힘, 주변인, 그룹 대화방, 초점 집단 면담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s of bystanders who witness cyber bullying among middle school adolescents using focus group interviews(FGI). The focus was on limiting group chat rooms. The cyber bystanders were silent, joined the bullying, or spreaded rumor about the victim online. There were also bystanders’ responses to leave the chat room, invite the teacher to the chat room to attempt intervention, and support the victim. The responses of bystanders in cyber bullying were influenced by social relationships, the powers of bystanders who help victims as well as the bullies, the blame on the victims, and the pressure or mood of the group. Bystanders’ reasons and motivations for responses were mentioned psychological burdens such as fear of being bullied, anxiety about being punished if involved, and perception of loss. Additionally, there were bystanders who think they had nothing to do with cyber bullying, who want to get acquainted with the bullies, hoping to help the teacher to solve the problem, and supporting them by empathizing with the victims. This study provided an opportunity to further approach their life and culture by viewing and understanding cyber bullying from the perspective of adolescents.

keywords
투고일Submission Date
2020-04-15
수정일Revised Date
2020-07-13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0-08-20

참고문헌

1.

고아라 (2016). 사이버 불링을 목격한 중학생 주변인의 실태 및 영향 변인 연구: 공감능력 및 사이버공간 특성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이슬 (2017). 청소년의 사이버 따돌림, 학교폭력 경험, 희망 및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 삼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형원, 이기문, 심현정 (2012. 8.17). ‘카톡’ 집단 언어폭력, 여고생 죽음으로 몰아. 조선일보. Retrieved fromhttps://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8/17/2012081700137.html

4.

배성만 (2016). 긴장요인, 사회유대, 자기통제, 인터넷 사용 및 오프라인 비행이 청소년의 사이버 비행에 미치는 영향 - 위계적 선형 모형을 통한 4년 종단자료 분석. 상담학연구, 17(6), 381-394.

5.

송지연 (2016). 전통적, 사이버 괴롭힘 상황에서 주변인의 방어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신나민, 안화실 (2013). 청소년 사이버 폭력 현황 및 피해․가해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교육문제연구, 26(4), 1-21.

7.

신현숙 (2014). 공격성과 비방어적 주변인 행동의 관계 - 괴롭힘 찬성태도와 위험부담감의 중다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1(10), 119-146.

8.

신현주 (2014). 초등학교 고학년 집단 따돌림 현상에 대한 질적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오인수 (2011). 초등학생 온라인 괴롭힘의 실태 및 오프라인 괴롭힘과의 비교분석. 아시아교육연구, 12(3), 75-98.

10.

윤성우 (2004). 집단따돌림 방관자에 대한 또래지지 프로그램의 효과.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이소영 (2018). 청소년 사이버 불링 주변인 역할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이승형, 강기수 (2020). 청소년 모바일 메신저 문화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교육사상연구, 34(1), 159-185.

13.

이주형, 안순철 (2013).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사이 버불링(Cyberbullying)에 대한 연구: 미국의 법적 대응의 특징과 법제 도입을 위한 검토를 중심으로. 분쟁해결연구, 11(1), 133-157.

14.

정문경 (2015). 청소년기 사이버폭력 피해경험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사회적 유능성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6(2), 195-211.

15.

정아혜 (2014). 유사 사이버 괴롭힘 상황에서 여중생의 주변인으로서 반응 분석.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조영은 (2017). 사이버 불링 상황에서 대학생의 주변인 행동 의도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조윤오 (2013). 사이버불링 피해가 청소년의 비행에 미치는 영향: 우울감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0(10), 117-142.

18.

최정아 (2019). 중학생의 자살생각에 대한 사이버 괴롭힘 피해 및 차별경험의 영향. 보건사회연구, 39(3), 280-313.

19.

한국방송통신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2016). 2015년 사이버폭력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20.

허연주 (2019). 청소년 오프라인 괴롭힘 주변인의 심리적 특성에 따른 유형과 사이버 괴롭힘 참여행동.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Ang, R., P., & Goh, D. H. (2010). Cyberbullying among adolescents: The role of affective and cognitive empathy, and gender. Child Psychiatry and Human Development, 41(4), 387-397.

22.

Baker, M. (2014). Cyberbullying and the bystander: What promotes or inhibits adolescent participation?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Exeter.

23.

Barlett, C. & Coyne, S. M. (2014). A meta-analysis of sex differences in cyber-bullying behavior: The moderating role of age. Aggressive Behavior, 40(5), 474-488.

24.

Barlińska, J., Szuster, A., & Winiewski, M. (2015). The role of short-and long-term cognitive empathy activation in preventing cyberbystander reinforcing cyberbullying behavior.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18(4), 241-244.

25.

Bastiaensens, S., Vandebosch, H., Poels, K., Van Cleemput, K., DeSmet, A., & De Bourdeaudhuij, I. (2014). Cyberbullying on social network sites. An experimental study into bystanders’ behavioural intentions to help the victim or reinforce the bully. Computers in Human Behavior, 31, 259-271.

26.

Bastiaensens, S., Pabian, S,, Vandebosch, H., Poels, K., Van Cleemput, K., DeSmet, A., & De Bourdeaudhuij, I. (2016). From normative influence to social pressure: How relevant others affect whether bystanders join in cyberbullying. Social Development, 25(1), 193-211.

27.

Beran, T., & Li, Q. (2005). Cyber-harassment: A study of a new method for an old behavior.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32(3), 265-277.

28.

Beran, T., & Li, Q.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cyberbullying and school bullying. The Journal of Student Wellbeing, 1(2), 15-33.

29.

DeSmet, A., Veldeman, C., Poels, K., Bastiaensens, S., Van Cleemput, K., Vandebosch, H., & De Bourdeaudhuij, I. (2014). Determinants of self-reported bystander behavior in cyberbullying incidents amongst adolescents.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17 (4), 207-215.

30.

Holfeld, B. (2014). Perceptions and attributions of bystanders to cyber bullying. Computers in Human Behavior, 38, 1-7.

31.

Jones, S. E. (2014). Examining cyberbullying bystander behavior using a multiple goals perspective(Master’s Degree). University of Kentucky.

32.

Kowalski, R. M., & Limber, S. P. (2007). Electronic bullying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41(6), 22-30.

33.

Kraft, E. (2011). Online bystanders: are they the key to preventing cyberbullying. Retrieved from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37726378

34.

Kreuger, R. A., & Casey, M. A. (2000). Focus groups: A practical guide for applied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35.

Law, D. M., Shapka, J. D., Hymel, S., Olson, B. F., & Waterhouse T. (2012). The changing face of bullying: An empirical comparison between traditional and internet bullying and victimization.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8(1), 226-232.

36.

Li, Q. (2007). New bottle but old wine: A research of cyberbullying in school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3(4), 1777-1791.

37.

Macháčková, H., Dedkova, L., Sevcikova, A. & Cerna, A. (2013). Bystanders’ support of cyberbullied schoolmates. Journal of Community and Applied Social Psychology, 23(1), 25-36.

38.

Machackova, H., & Pfetsch, J. (2016). Bystanders’ responses to offline bullying and cyberbullying: The role of empathy and normative beliefs about aggression. Scandinavian Journal of Psychology, 57(2), 169-176.

39.

Mishna, F., Cook, C., Gadalla, T., Daciuk, J., & Solomon, S. (2010). Cyber bullying behaviors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80(3), 362-374.

40.

Morgan, D. I. (1997). The focus group guidebook: Focus group kit 1. Thousand Oaks, CA: Sage.

41.

Olenik-Shemesh, D., Heiman, T., & Eden, S. (2017). Bystanders’ behavior in cyberbullying episodes: Active and passive patterns in the context of personal-socio-emotional factors.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32(1), 23-48.

42.

Olweus, D. (1993). Bullying at school: What we know and what we can do. Cambridge: Blackwell.

43.

Patchin, J. W., & Hinduja, S. (2010). Trends in online social networking: Adolescent use of Myspace over time. New Media & Society, 12(2), 197-216.

44.

Peterson, J., & Densley, J. (2017). Cyber violence: What do we know and where do we go from here?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34, 193-200.

45.

Price, M., & Dalgleish, J. (2010). Cyberbullying: Experiences, impacts and coping strategies as described by Australian young people. Youth Studies Australia, 29(2), 51-59.

46.

Rigby, K., & Johnson, B. (2006). Expressed readiness of Australian schoolchildren to act as bystanders in support of children who are being bullied. Educational Psychology, 26 (3), 425-440.

47.

Saldaña, J. (2009). The coding manual for qualitative researchers. London: Sage Publications Ltd.

48.

Salmivalli, C., Voeten, M., & Poskiparta, E. (2011). Bystanders matter: Associations between reinforcing, defending, and the frequency of bullying behavior in classrooms. Journal of Clinical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40(5), 668-676.

49.

Smith, P. K., Mahdavi, J., Carvalho, M., Fisher, S., Russell, S., & Tippett, N. (2008). Cyberbullying: Its nature and impact in secondary school pupil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 49 (4), 376-385.

50.

Shultz, E., Heilman, R., & Hart, K. J. (2014). Cyber-bullying: An exploration of bystander behavior and motivation. Cyberpsychology: Journal of Psychosocial Research on Cyberspace, 8(4), 53-70.

51.

Quirk, R., & Campbell, M. (2015). On standby? A comparison of online and offline witnesses to bullying and their bystander behaviour. Educational Psychology, 35(4), 430-448.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