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권호 목록

해석수준이 감정노동자 스트레스 지각에 미치는 영향
복상용(동국대학교) ; 정언용(동국대학교) ; 여준상(동국대학교) pp.565-584 https://doi.org/10.21074/kjlcap.2015.16.4.565
초록보기
초록

감정노동관련 많은 연구들은 감정노동의 부정적 영향 및 조절변수들에 대한 학문적 연구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반면, 실제 감정노동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실무적 방법론의 제시 관련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교육 훈련 기반의 스트레스 대응법과 차별화하여 해석수준이론에 기반을 둔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하고 그 효과성을 랩테스트(실험 1)와 필드테스트(실험 2)를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환경적 자극이 해석수준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선행연구와 상위해석수준이 바람직성, 긍정감정 중심의 사고를 유발한다는 선행연구에 기반하여 환경적 자극이 감정노동자의 스트레스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심리적거리 중 공간적거리를 디자인 요소로 반영하여 공간적원거리감을 유발하도록 디자인된 시각적자극물(타깃이미지)을 제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 1에서는 디자인된 타깃이미지가 유발하는 상위해석수준에 의한 긍정감정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단순이미지효과에 의한 대안적 설명을 배제하기 위하여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패턴이미지를 대조이미지로 사용하여 효과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타깃이미지 처치그룹의 해석수준, 바람직성 선호, 긍정감정 및 실제적 행동지표(기부금액)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타깃이미지가 유발하는 심리적원거리감의 고유 효과임을 검증하였다. 타깃이미지의 실제적 효과성 검증을 위한 실증 연구로 실험 2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여행사 콜센터 상담원 부스에 타깃이미지를 설치하고 이미지 설치 전후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타깃이미지 설치 전 대비 설치 후 해석수준, 긍정감정이 향상되었고, 감정노동 경험 강도의 지표라 할 수 있는 스트레스 지각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지각 감소의 메커니즘 규명을 위한 매개분석 결과, 해석수준이 스트레스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긍정감정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감정노동자 스트레스 지각 감소를 위한 방법론으로 해석수준이라는 인지행동적(cognitive behavioral) 접근법을 채택하였다. 전통적인 스트레스 대응법은 교육, 훈련과 같은 의식적 노력에 초점에 두고 있는 반면, 본 연구의 결과는 감정노동자의 스트레스 감소를 위해 업무 환경에 특화된 상위해석수준 유발 자극의 디자인 및 적용이라는 새로운 방법론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보이고 있다.

Abstract

While numerous literatures on emotional labour have shown its resulting negative effects and factors that affects the perceived strength of the negativity, there is a lack of researches that show practical methodologies applicable to the actual business environments. Differentiated from conventional stress management paradigm, the authors show a new stress management methodology based on construal level theory, and verified its effectiveness by both a laboratory test, experiment 1, and a field test, experiment 2. Recent researches on construal level demonstrate that environmental stimuli have an effect on a mindset, and that abstract thinking leads to information processing centered on desirability and positiveness of an event. The authors design a visual stimulus promoting abstract thinking and examine the effect of the stimulus on the perceived stress level of emotional labourers. Designed visual stimulus, ‘target image’ is used to engender distant psychological distance from temporal dimension. Experiment 1 shows that the target image indeed promotes abstract thinking, which in turn entails positive affect. To rule out alternate account by a simple image effect, an image with a widely accepted pattern is introduced and the effect are compared. Results revealed that the target image group show higher construal level, higher preference for desirability, higher positive affect, as well as higher willing-to-pay. From the experiment 2, the effectiveness of the target image in the actual field application is verified. For this purpose, the target images were installed in individual booths of a call center of a tourism company in Korea, and the effect of the target image before and after installation were examined.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construal level, positive affect, and more importantly perceived stress level were improved with the statistically significance. Further bootstrapping analysis to identify the underlying mechanism revealed that the effect of construal level on perceived stress was fully mediated by positive affect.

효과적인 PPL 노출시간은 어느 정도인가?: 제품배치 유형에 따른 간접광고 효과
박은아(대구대학교) ; 김동환(대구대학교) pp.585-607 https://doi.org/10.21074/kjlcap.2015.16.4.58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간접광고 시청환경에서 과연 적절한 간접광고 노출시간은 어느 정도인가에 관심을 갖고, 제품배치 유형과 노출시간에 따른 광고효과 차이를 알아보았다. 모든 간접광고의 노출빈도는 3회로 하고, 제품배치 유형(온셋 배치/크리에이티브 배치)과 1회 노출시간(1-4초/5-8초/9-12초)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간접광고 브랜드 재인과 브랜드 태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접광고가 등장인물에 의해 제시, 사용되는 온셋 배치가 단순히 배경으로 제시되는 크리에이티브 배치에 비해 브랜드 재인이 높고, 1회 노출시간이 9-12초(고)로 제시될 때 1-4초(저)로 제시될 때보다 유의하게 브랜드 재인이 더 높았다. 브랜드 태도에서는 노출시간과 배치유형의 상호작용이 유의하여, 크리에이티브 배치에서는 1회 노출시간이 길수록 브랜드 태도가 높아지는 경향성이 나타난 반면, 온셋 배치에서는 1회 노출시간이 5-8초(중) 조건일 때 1-4초(저)와 9-12초(고) 조건에 비해 브랜드 태도가 더 높았다. 이 같은 결과는 효과적인 간접광고 노출시간은 제품배치 유형에 따라 다르며, 적정수준 이상으로 길게 제시되는 것은 간접광고 브랜드에 대하여 부정적 태도를 형성시킬 수 있으므로, 광고목표에 따라 노출시간을 계획하여 간접광고를 집행해야 함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different types of product placement and exposure time of PPL on brand recognition and brand attitude. In addition, we hypothesized that the types of product placement and exposure time will have interaction effect on brand recognition and brand attitude. To achieve this goal, the experiment was designed by 3 single exposure times (low/medium/high) x 2 types of product placements (on-set placement/creative placement) within subject factor. The total of 133 undergraduate students were recruited and asked to watch movie and then to answer questions about the brand recognition and brand attitud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on-set placement had higher effect than the creative placement did on brand recognition. Second, the degree of single exposure time of PPL had positive effect on brand recognition, and the high condition(9-12 sec.) of single exposure time of PPL had higher effect than the low condition(1-4 sec.). Third,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types of product placement and single exposure time on brand recognition.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types of product placement and single exposure time on brand attitude. In the case of creative placement, the attitude toward placed brand had higher tendency when single exposure time of PPL was presented longer. However, in the case of on-set placement, the medium condition of single exposure time of PPL produced a higher brand attitude than the low condition or high condition did towards placed brand. These results suggest that exposure time of PPL may represent an important variable on PPL and indicate that the appropriate level of exposure time is different in terms of product placement type.

개인화 제품 선호의 영향요인: 선물 구매상황에서 선물 구매자와 선물 사용자의 관계 특성과선물 구매자의 자아해석 간의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최지은(강원대학교) pp.609-627 https://doi.org/10.21074/kjlcap.2015.16.4.6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선물을 구매하는 상황에 초점을 맞추어 개인화 제품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선물 사용자와 선물 구매자간의 관계 특성과 선물 구매자의 심리적 특성인 자아해석 간에 상호작용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제안하였다. 실험 결과, 독립적 자아해석 구매자의 경우 선물 사용자와 선물 구매자간의 사회적 거리가 멀 때보다 가까울 때 개인화 제품에 대해 높은 선호를 보인 반면에, 상호의존적 자아해석 구매자의 경우 제품 사용자와의 관계 특성이 개인화 제품 선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문적으로 개인화 제품 관련 연구의 폭을 넓혔으며, 개인화 제품의 마케팅을 담당하는 실무자에게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Abstract

Factors influencing preference toward personalized products in gift-giving situations: social relationship as moderating effect between gift buyers and gift recipients and self-construal of gift buyers

가격지불방식이소비자의 가치지각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유연재(아주대학교) pp.629-649 https://doi.org/10.21074/kjlcap.2015.16.4.62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가격지불방식에 따른 소비자의 구매태도와 주관적 가치 지각이 해석수준에 따라 달라지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연구 1에서는 가격지불방식을 구매 후 할부와 저축 후 구매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 2에서는 일시불을 추가하여 진행하였다. 연구 1뿐만 아니라 연구 2에서도 동일하게 저축 후 구매에 대한 구매태도와 주관적 가치는 하위 해석수준의 사람보다는 상위 해석수준의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반면, 구매 후 할부에 대한 구매태도와 주관적 가치는 해석수준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일시불을 추가한 연구 2에서 일시불에 대한 구매태도, 구매의도와 주관적 가치는 다른 두 지불방식에 비해 가장 낮았다. 또한 저축 후 구매는 해석수준에 따라 구매태도, 구매의도와 주관적 가치에 차이가 있었으나, 일시불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저축 후 구매와 일시불이 가격이 일시적으로 지불된다는 외형적 동일성에도 불구하고 서로 다른 내적 기제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whether the purchase attitudes and subjective value perceptions of consumer depending upon payment methods are changed by the construal levels. In Study 1, payment ways were classified as the Installment purchase and the purchasing after savings, and a lump sum condition was added in study 2. In both study 1 and study2, the people who has the high construal level more positively evaluated the purchase attitudes and subjective values for the purchasing after savings than people who has the lower constral level did. Whereas, there was no differences in the attitudes and the subject values for installment irrespective of the construal levels. In study 2 added a lump sum condition, the purchase attitudes, the purchase intentions, and subjective values for the lump sum was lower than those of the other two payment ways. Also, in the purchasing after savings condition, there were difference in the purchase attitudes, the purchase intentions, and subjective values by construal level, but there were not differences in a lump sum at all. These results show that despite the purchasing after savings and a lump sum apparently seem similar to each other because of a single payment, they have different internal mechanisms.

소비자의 자기자비(Self-Compassion)성향이 구매후 후회감과 제품에 대한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후회상황에 따른 비교를 중심으로
안은미(아주대학교) ; 이병관(광운대학교) pp.651-671 https://doi.org/10.21074/kjlcap.2015.16.4.65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구매 이후에 경험하게 되는 부정적 정서인 후회감이 소비자들의 자기자비 개념에 의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실험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후회감을 느끼는 상황을 스스로 자신의 자각에 의해 경험되는 후회상황과 타인과의 비교를 통해 경험하게 되는 후회상황으로 구분하고, 자기자비 성향에 따라 후회감의 강도가 어떻게 조절되는지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내재적 후회상황에서는 자기자비성향이 높은 사람들이 낮은 사람들에 비해 후회감을 덜 느끼고, 제품에 대한 만족도도 더 높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타인과의 비교를 통해 경험하는 후회상황에서는 자기자비의 부정적 감정의 경감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후회를 경험하는 상황적 맥락과 개인의 성향에 따른 후회경험의 차이를 설명하고, 이를 활용한 마케팅 전략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self-compassion influence regret and satisfaction after buying product. In addition, the effects of regret context on regret strength and satisfaction were explored. For this purpose, we presented tow scenario written about regret contexts(intrinsic context/comparison context) to participants. The regret and satisfaction scores of two group were compared. The result, regret score in the intrinsic context group was lower than comparison context group. And in the intrinsic context, high self-compassion's participants experienced less regret and more satisfaction. But in the comparison context, didn't appear to work. The implication for study were discussed.

설득커뮤니케이션과 공감커뮤니케이션
김항중(대전대학교) ; 허순향(대전대학교) ; 남승규(대전대학교) pp.673-690 https://doi.org/10.21074/kjlcap.2015.16.4.673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커뮤니케이션을 설득 커뮤니케이션과 공감 커뮤니케이션으로 구분하고, 설득 메시지와 공감 메시지에 따라서 소비자의 심리반응과 광고반응뿐만 아니라 신뢰 및 심리자본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80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득메시지와 공감메시지가 담긴 실험자극을 제작하여 집단간 설계로 노출시킨 후에 만족과 행복과 같은 심리반응과 메시지태도와 구매의도와 같은 광고반응 그리고 신뢰반응 및 심리자본의 차이를 검토하였다. 통계분석은 먼저 사용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내적일관성 계수를 확인하고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가설검증은 t검증을 활용하여 확인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공감커뮤니케이션이 설득커뮤니케이션보다 더 호의적인 심리반응을 일으킬 것이다.”라는 가설 Ⅰ과 “공감커뮤니케이션이 설득커뮤니케이션보다 더 호의적인 광고반응을 일으킬 것이다.”라는 가설 Ⅱ 그리고 “공감커뮤니케이션이 설득커뮤니케이션보다 더 많은 신뢰감과 심리자본을 일으킬 것이다.”라는 가설 Ⅲ이 지지되었다. 이런 연구결과는 설득커뮤니케이션보다 공감커뮤니케이션이 심리반응, 광고반응, 그리고 신뢰감 및 심리자본에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고, 광고효과를 제고시키고자 한다면 설득커뮤니케이션도 중요하지만 공감커뮤니케이션에 그 관심과 노력을 집중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끝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tinguish persuasive and sympathetic communication,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psychological and advertising responses, as well as trust construction and the psychological capital according to persuasive and sympathetic messages. In two experiments, data was taken from 80 undergraduates who were exposed at persuasive and sympathetic stimuli. The differences testings were performed on psychological responses such as satisfaction and happiness, advertising responses such as message attitude and purchasing intention, trust construction and the psychological capital. To ensur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cales used, data was analyzed with internal consistency and factor analysis, and t tests were conducted for hypotheses testing. According to the results, Hypothesis Ⅰ(Sympathetic communications will produce more favorable psychological responses than persuasive communications), Hypothesis Ⅱ(Sympathetic communications will produce more favorable advertising responses than persuasive communications) and Hypothesis Ⅲ(Sympathetic communications will produce more trust and the psychological capital than persuasive communications) were all supported. These findings showed that sympathetic communications are more effective on psychological and advertising responses and on trust and the psychological capital than persuasive communications. In order, therefore, to raise advertising effect, it is suggested to focus more on sympathetic communications than persuasive communications.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discussed.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