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가정폭력 재발방지를 위한 행위자 교정집단상담이 가해자의 폭력행동, 공격성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Family Violence Correction Group Counseling on Violence Act, Aggression and Self-Esteem of the Family Violence Injurers

초록

본 연구는 가정폭력을 예방하고, 가정폭력의 재발을 방지하며, 가정폭력 피해여성을 보호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그 방법으로 가정폭력 행위자 교정집단상담이 가해자의 폭력행동, 공격성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와 가정폭력 행위자 교정 집단상담이 개인상담에 비해 효과적인지 검증하려는 것이다. 대상자는 P시의 법원으로부터 상담위탁 4개월 결정을 받은 가정폭력 행위자를 실험집단, 비교집단 및 통제집단에 각각 12명을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가정폭력 행위자 교정집단상담을, 비교집단에는 가정폭력 행위자 개인상담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실험처치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 비교집단 및 통제집단을 각각 폭력행동, 공격성, 자아존중감척도로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의 윤리적인 문제로 통제집단은 사후검사 후 프로그램을 진행하다. 연구결과 가정폭력 행위자 교정집단상담은 가해자의 폭력행동, 공격성 수준의 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었으며, 폭력행동과 공격성 수준을 감소시키는데 개인상담보다 효과가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가정폭력 행위자 상담을 하는 상담소에서는 개인상담과 더불어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병행하여 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keywords
가정폭력 행위자, 교정집단상담, 폭력행동, 공격성, 자아존중감, family violence correction group counseling, violence act, aggression, self estee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family violence correction group counseling on violence act, aggression, and self esteem of the family violence injur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mposed of 36 men who were decided' counsel decision' from judge. They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12 men, comparative group 12 men and control group 12 men. This study design was a pre-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The family violence injurer correction group counseling was carried out with the experimental group. The family violence injurer correction individual counseling was carried out to the comparative group. The hypothesis and the results for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b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mparative and control groups on the family violence injurers's violence ac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lower scores than the comparative and control groups on family violence injurer's violence act.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b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mparative and control groups on the family violence injurers's aggression. The experimental group indic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lower scores than the comparative and control groups on aggression levels.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a comparative and control groups on the family violence injurers's self esteem. The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on the family violence injurers's self-esteem.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family violence batterer group counseling was more effective than individual counseling on family violence injurer's violence act, aggression. However, self esteem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s.

keywords
가정폭력 행위자, 교정집단상담, 폭력행동, 공격성, 자아존중감, family violence correction group counseling, violence act, aggression, self esteem

참고문헌

1.

공미혜 (2001). 가족주의와 가부장적 테러리즘으로서의 아내구타, 가족학논문집, 9, 1-20.

2.

권진숙, 전석균 (2001). 가정폭력 가해자를 위한 집단프로그램 개입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지, 44(3), 36-63.

3.

경찰청 (2006) 경찰 백서. 서울: 경찰청.

4.

김갑숙 (1991). 부부갈등이 부부폭력과 자녀학대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김경신, 김정란 (2000). 가정폭력의 실태 및 상담기관 현황분석을 통한 지역상담사업 체계화 방안.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1), 111-134.

6.

김경화 (1986). 아내학대의 영향변인에 대한 조사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광일 (1998). 가정폭력 그 실상과 대책. 서울: 탐구당.

8.

김득성, 김정옥, 송정아 (2000). 부부의사소통 유형과 부부폭력과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1), 1-16.

9.

김병수 (1999). 개인 및 가정환경 변인에 따른 아내학대의 인식과 경험.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김지영 (2003). 아내폭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통합모형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김재엽 (1998). 한국인의 스트레스와 가족폭력에 관한 연구. 가족과 문화. 10(2), 115-140.

12.

김재엽 (2000). 한국인의 가정폭력 실태와 현상. 가정폭력대응전략수립을 위한 대토론회 자료집.

13.

김재엽, 이서원 (1998). 저소득층의 아내구타 발생요인에 관한 연구. 가족과 문화, 10(1), 107-134.

14.

노안녕 (1983). 비행소년에 있어서 공격성과 불안 감소에 미치는 주장훈련의 효과.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박경규 (1994). 기혼남성의 스트레스와 폭력과의 인과관계. 효성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박경애 (2005). 가정폭력 행위자의 폭력행위 방지를 위한 교정프로그램의 효과. 대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신나래 (2004). 가정폭력특례법상 보호처분 대상자의 성장기 폭력경험과 성역할태도가 아내 학대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신영화 (1999). 학대받는 아내의 능력 고취를 위한 집단사회사업 실천의 효과성.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

윤경자, 최규련 (1999). 부부폭력 가해자 교육프로그램 개발. 한국가족관계학회 자료집, 45-62.

20.

이서원 (2003). 가정폭력 가해자 집단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1.

여성가족부 (2004). 여성백서. 서울: 여성가족부.

22.

이순심 (2006). 가정폭력 행위자 상담프로그램의 효과연구. 순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이정숙 (2006). 가정폭력 행위자 프로그램이 재폭력 방지에 미치는 현황에 관한 효과성 연구. 장로회신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장희숙 (1999). 아내구타 가해자 집단의 탈락요인. 한국가족복지학, 4, 265-293.

25.

장희숙, 정정호, 김예성, 변현주 (2003). 가정폭력행위자 치료 프로그램. 서울: 여성가족부.

26.

장희숙, 김예성 (2004). 가정폭력행위자의 유형. 한국사회복지학, 56(3), 303-325.

27.

정복희 (1993). 아내학대가 생활의 질에 미치는 영향. 효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최선령 (2001). 한국아내학대자의 학대행동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모델 적용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9.

Buss, A. H., & Durkee, A. (1957). An inventory for assessing different kinds of hostility. Journal of Clinical and Consulting Psychology, 21, 343-349.

30.

Dibble, U. G., & Straus, M. A. (1988, February). Some social structures determinants of inconsistency between attitude and behavior: The case of family violenc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2, 71-80.

31.

Dutton, D. G. (1988). The abusive personality. New York: Guilford.

32.

Eisikovits, Z., C. (1991). Relationship adjustment, conflict, and social support in women battering. Manuscript submitted for publication.

33.

Holtaling, G., & Sugarman, D. (1986). An analysis of risk makes in husband to wife violence: The current state of knowledge. Violence and Victims, 1, 101-124.

34.

Faulkner, K., & Stoltenberg, C., Cogen, R., & Nolder, M., & Shooter, E. (1992). Cognitive behavioral treatment for male spouse abusers. Journal of Family Violence, 7, 37-55.

35.

Goldstein, D., & Rosenbaum, A. (1985). An evaluation of the self-esteem of maritally violent men. Family Relations, 34. 155-178.

36.

Gondolf, E. W. (1988). 쫴 are those guys? Toward a behavioral typology of men who batter. Violence and Victims, 3, 187-203.

37.

Maiuro, R. D., Vitaliano, P. P., & Chan, T. S. (1987). A brief measure for the assessment of anger and aggression.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2, 166-178.

38.

Murphy, C., Meyer, S. L., & O'Leary, K. (1994). Dependence of partner assaultitv me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3, 729-735.

39.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 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40.

Saunder, D. G. (1984). Helping who batter. Social Casework, 65(6), 347-355.

41.

Straus, M. A. (1979, February). Measuring intrafamily conflict and violence: The conflict scal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75-88.

42.

Steinmentz, S. K. (1987). Family violence: Past, present, and future. In M. B. Sussman, & S. K. Steinmentz(Eds.), Handbook of marriage and the family (pp. 725-765), New York: Plenum.

43.

Steinmentz, S. K., & Straus, M. A. (1974). Violence in the family. New York: Harper & Row.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