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권호 목록

대학생들의 자존감 구성요인에 있어서 문화적, 성차의 효과
홍기원(호서대학교) pp.237-261 https://doi.org/10.18205/kpa.2008.13.3.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한국인 자존감의 문화적, 성별 차이를 다루었다. 연구 1에서는 다차원자존감척도(MSEI; E. J. O'Brien & S. Epstein, 1988)를 사용하여 한국인과 미국인 및 한국인 남녀 간의 자존감 구성요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요인분석 결과, 한국인의 경우 능력, 인정, 자신감, 미래상, 외모(얼굴), 의지, 도덕성, 신체(몸) 및 호감의 총 9개 요인이 확인되었다. 미국인의 경우 외모, 신체 기능, 사적 권력, 도덕적 자기인정, 정체성 통합, 유능성, 방어적 자기향상, 일반 자존감, 자기 통제, 애정(loveability), 호감(likability)의 총 11개 요인이 확인되었다. 한미간의 공통요인으로는 외모, 도덕성, 능력(유능성), 의지(자기통제) 및 호감 요인이었다. 한국인 자료에서는 타인으로부터의 인정, 미국인 자료에서는 사적 권력과 방어적 자기향상 등 나머지 요인들에서는 차이가 났다. 이 차이는 한국인과 미국인이 집합주의와 개인주의 특성을 가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한국인 성인자존감 척도(차경호, 홍기원, 김명소, 한영석, 2006)를 대학생들에게 실시한 결과는 성인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것은 이 척도의 타당성을 입증한 결과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한국인 남녀 간의 요인구성에서도 차이가 발견 되었다. 연구 2에서는 남녀 간의 성차를 더 보기 위하여 상호의존성 측면과 독립성 측면에서 남녀 간의 자존감 구성요인의 차이점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상호의존성 측면에서는 남녀 간 차이가 없었지만, 독립성 차원에서는 남녀 간에 차이가 두드러졌다. 즉, 남성들이 여성들에 비하여 훨씬 독립적이었다. 상호의존성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은 남녀 모두 소속욕구에 있어서 동일하기에 차이를 보이지 않은 선행연구들을 지지한 것이지만, 상호의존성의 두 하위 차원인 관계적 상호의존과 집합적 상호의존에서의 차이를 보이지 않은 점은 선행연구들과 다른 결과를 보인 것이다. 이러한 차이를 중심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Cultural and gender differences of Korean students were tested in this paper. Korean Self-esteem Scale developed by Cha, Hong, Kim, & Han, 2006) and Multiple Self-esteem Indicator((MSEI) proposed by E. J. B'Brien & S. Epstein(1988) was employed to test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both gender of Korean students in study 1. Nine factors were emerged among Korean students through factor analyses: Ability, acknowledgement, self-confidence, appearance, volition, morality, body, and liking. On the other hand, 11 factors of self-esteem were identified among American students: Appearance, body function, personal power, moral self-approval, identity-integration, ability, defensive self-improvement, general self-esteem, self-control, loveability, likability. Hence, appearances, morality, ability, volition, and likability were common while approval from others of Korean and personal power and defensive self-improvement of American were distinguished between two cultures,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 characteristic patterns of Korean and American as collectivism and individualism. And there was gender difference between Korean males and females on the factor components, which is a significant validation of this scale. Interdependent and independent aspects of both gender's components of self-esteem were tested in study 2. There was a significant gender gap in the independent dimension of self-esteem, but no difference was showed in the interdependent dimension. Korean male students were far more independent compared to Korean female students. Also, no gap in collective interdependence and relational interdependence, which are two sub-components of interdependence expected different in both gender, was shown between Korean male and female students. Suggestions and limitations centered on differences in interdependent dimension between both gender were discussed.

사회적 지지, 자존감, 진로포부 간의 성차 모형 검증: 개인자존감과 집단자존감의 매개 역할
박용두(연세대학교) ; 이기학(연세대학교) pp.263-282 https://doi.org/10.18205/kpa.2008.13.3.002
초록보기
초록

진로포부는 성인기 삶에서 중요한 직업적 삶의 적응과 관련된 변인으로서 많은 진로 연구자들의 지속적 관심을 받아왔다. 진로포부 발달의 성차의 심리적 기제를 밝히는 것은 여성과 남성의 진로 발달의 차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개인의 잠재성 발현을 위한 효과적인 진로 지도 및 상담을 위해 꼭 필요한 일일 것이다. 본 연구는 진로포부 형성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와 진로포부 간의 관계에서 개인자존감과 집단자존감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조사한 후 이러한 심리적 기제가 성차에 따라 다른지를 검증하였다. 서울에 있는 대학교에서 심리학 관련 교양 수업을 듣는 학생 31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질문지에는 사회적 지지, 집단자존감, 개인자존감과 진로포부에 관한 문항들이 포함되었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해 개인자존감과 집단자존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을 때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먼저, 개인자존감과 진로포부의 관계에 있어 집단자존감의 완전매개모형이 부분매개모형보다 더 우수한 적합도를 보여주었다. 다음으로 사회적 지지와 진로포부사이에서 개인자존감과 집단자존감의 부분매개효과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적지지, 개인자존감, 집단자존감과 진로포부 간의 관계 모형이 성차에 따라 달라지는 지를 확인해 본 결과 성차에 따라 이들 각 변인 간의 관계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진로포부 형성에 있어서 독립된 개인에 대한 평가 또는 지각뿐만 아니라 개인 속한 사회적 집단에 대한 평가 또는 지각이 환경적 요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진로포부 형성에 영향을 끼침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성차에 따른 관계 모형의 차이는 진로포부 형성의 심리적 기제가 성차에 따라 다를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role of collective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self-esteem and career aspiration,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personal self-esteem and collective self-esteem on the link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reer aspiration. Also, This study explored whether the development of career aspiration differs by gender. A total of 316 undergraduate students(155 male and 161 female) completed measures of social support, personal self-esteem, collective self-esteem and career aspir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provided support for the mediating effects of personal self-esteem and collective self-esteem,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model differed by gende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ull mediation model fit of collective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self-esteem and career aspiration was better than the partial mediation model fit. Next, in the relation of social support and career aspiration,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individual self-esteem and collective self esteem was significant. Lastly, when the model of social support, individual self-esteem, and collective self-esteem, and career aspiration was tested to examine gender differences, the relations among these variables were found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differe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evaluations and perceptions on the individual's social group as well as the individual influedced to career aspiration, interacting with the environmental factors. Also, the gender-difference of relationship model indicates that it might be different from men and women in psychological mechanism in the career aspiration formation.

성인 남녀의 우울감 특징과 전문적 도움추구에서의 차이
조현주(영남대학교) ; 임현우(가톨릭대학교) ; 조선진(가톨릭대학교) ; 방명희(영등포정신보건센터) pp.283-297 https://doi.org/10.18205/kpa.2008.13.3.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성인남녀의 우울증상의 특징과 전문적 도움추구,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더불어 전문적 도움추구에 미치는 심리사회적 변인과 이 과정에 성차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지역주민 964명이며 남성 383명, 여성 583명이다. 연구결과, 여성이 남성에 비해 우울비율과 우울 총점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우울증상에서, 여성은 남성에 비해 우울기분, 대인관계 소외 증상이 많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남성은 행동철수를 더 많이 경험하였다. 남성은 여성에 비해 정신질환자태도 중 지역정신보건개념에서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나, 실제 도움추구행동은 소극적일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남녀모두 우울증이 있을 때 도움추구행동에 소극적이었으며, 여성은 월수입과 연령이 남성은 정신질환자태도가 전문적 도움추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우울증을 경험하는 당사자는 장애에 대한 어려움과 정신장애에 대한 편견 때문에 치료에 소극적일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따라서 범국민을 대상으로 우울증에 대해 교육하고 나아가 정신질환의 인식개선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일반인들의 전문적 도움행동이 증진되어 우울증을 예방하고 치료율을 높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of depressive symptoms and professional help-seeking. Specifically, it was examined that what the psychological factors were influenced on professional help-seeking, and whether gender differences existed or not in its proces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total of 946 adults including 383 male and 583 female in general popu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ed: female had got higher than male on the ratio of depression and response of depressive items. Female were reported more depressive mood and interpersonal alienation than male on depressive items. On the contrary, though it was not significant, male were reported more withdrawal behavior than female on depressive item. Male had more a positive attitude toward community mental health ideology than female, but they were showed the negative attitude to seek help for depression. All of adults with depressive symptom did not active to seek help. The income and age were contributed to seek help in female but the attitude toward mental illness was influenced on it in male. Therefore, to increase people's professional help-seeking are needed to draw support system of depressive person and should give them to the psycho-education for depression including mental illness.

성평등 정책에 대한 태도: 성평등의식, 적극적 조치, 공정성 지각의 관계
안상수(한국여성정책연구원) ; 김금미(성균관대학교) pp.299-324 https://doi.org/10.18205/kpa.2008.13.3.004
초록보기
초록

일반 국민 1,522명을 대상으로 성평등의식과 여성 관련 정책에 대한 태도를 살펴보고, 적극적 조치에 대한 반대가 공정성 지각에 의해 매개되는지 검증하였다. 그 결과, 성평등의식은 남성보다 여성이 높았고, 인구통계학적 특성별로 성평등의식의 편차가 컸다. 남성은 적극적 조치 정책 가운데, ‘국회의원 비례대표후보 50% 공천제도’에 대하여 ‘국공립대 일정비율 여성교수 채용’, ‘여성채용 우수기업에 정부지원제도’보다 더 소극적이었다. 또한 남성들은 성평등의식이 높거나 낮은 데에 상관없이 ‘군가산점제 폐지’를 반대했고, 여성들도 ‘군가산점제 폐지’와 관련하여 성평등의식의 고저 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성매매종합대책 실시'에 관련해서도 성평등의식 수준에 상관없이 매우 찬성했다. 또한 남성들은, 여성들과 달리, 성평등의식이 낮을수록 적극적 조치에 반대하는데 이에 공정성 지각이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성평등정책과 관련하여 젠더파트너십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해주는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앞으로 연구 과제를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attitudes regarding the sex role egalitarianism and the gender equality policies. Especially,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 between gender egalitarianism, opposition to affirmative action and perception of the justice. This study analyzed the results of 1,522 Korean women(n=506) and men(n=1016). According to results, women, younger aged group, more educations group and urban dwellers showed more favorable attitude toward the sex role egalitarianism than man, old aged group, low educational group and rural dwellers. But, the sex difference in the attitude toward sex role egalitarianism was to greater the younger aged group than the old aged group.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attitude regarding gender equality policies suggested that women showed more favorable attitudes than man. The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mediat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people's prejudice level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opposition toward affirmative action policies. Moreover, the prejudice was partially mediated through the justice based opposition. The significanc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and topics to be investigated in the future study were mentioned.

중산층 양육조모와 비양육 조모의 양육스트레스 및 정신건강 실태조사
이지연(연세대학교) ; 정경미(연세대학교) ; 김원경(고려사이버대학교) pp.325-341 https://doi.org/10.18205/kpa.2008.13.3.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우리 사회에서 대표적으로 대리양육 역할을 담당하는 중산층 조모들이 손자녀를 돌봄으로써 경험하는 정신건강 및 양육 스트레스를 비교 탐색하고자 만 4~6세 손자녀의 양육을 담당하는 중산층 양육조모(134명)와 비양육 조모(100명)의 우울, 삶의 만족도, 양육스트레스, 조부모로서의 의미 영역을 비교 탐색하였다. 그 결과, 양육 조모가 비양육 조모에 비해, 뚜렷이 우울하고 삶의 만족도가 낮으며 양육 스트레스가 높았던 반면, 조부모로서의 의미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양육 시간에 따라 집단을 분류했을 때, 양육 시간이 많은 광범위 양육 집단에 비해 양육시간이 적은 중간범위 양육 집단이 더 우울하여 정신건강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 선택권에 따른 분류에서 강제 선택 집단은 자율 선택 집단에 비해 뚜렷이 더 우울하고 삶의 만족도가 낮으며 높은 양육 스트레스를 경험하였다. 조모 양육의 영향을 양육의 선택권과 역할 동일시의 관점에서 다루고, 본 연구의 임상적 함의와 연구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objective index of mental health of middle-class grandmothers raising their grandchildren, who representatively undertake the role of surrogate mother in our society, through comparing their positive/negative variables of mental health which can be experienced by caregiving, with non-caregiving grandmothers.This study examined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parenting stress, and grandparents meaning of middle-class caregiving-grandmothers who undertake bringing up of four-to-six-year-old grandchildren and non-caregiving-grandmothers, and thus, conducted comparative research of their mental health and parenting stres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caregiving-grandmothers were distinctly depressed, had lower life satisfaction, and experienced higher level of parenting stress when compared to non-caregiving-grandmothers. On the other h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wo groups were found in grandparent meaning. When classified groups according to caregiving-time and caregiving-choice, intermediate-caregiving group who had less caregiving-time showed more depression so that revealed vulnerability of mental health when compared with the extensive-caregiving group who had more caregiving-time. In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caregiving-choice, forced-choice group showed more depression, less life-satisfaction, and higher parenting stress as compared with free-choice group. Present study discussed the effect of grandmother parenting in perspective of choice of parenting and role-identification.

처벌 기준이 양형판단에 미치는 효과: 남여차이
김범준(경기대학교) ; 최승혁(경기대학교) pp.343-361 https://doi.org/10.18205/kpa.2008.13.3.0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범죄사건에 대한 사람들의 처벌 기준들이 양형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었다. 또한 양형결정에 미치는 처벌 기준들의 영향이 성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23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강력범죄(살인, 폭행, 유괴)와 재산범죄(절도, 사기, 재물손괴)에 대한 간단한 사례를 제시하고 이 같은 범죄 행동에 대한 가치적 기준과 처벌 목적과 관련된 기준 즉, 진화적 기준, 도덕적 기준, 법률적 기준, 그리고 응보적 기준에서의 판단과 그 같은 범죄를 저지른 범죄자에게 부여할 양형을 판단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남자들에 비해 여자들이 범죄에 대해 진화적 기준, 도덕적 기준, 그리고 응보적 기준에서 더 엄격한 기준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양형 판단에서는 남여차이가 없었다. 양형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가치적 기준들과 응보 요인이 남여간에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모든 범죄유형에서 남여 모두 응보적 기준이 유의미한 설명 변수이었다. 다만, 여자들은 여기에 더해 강력범죄의 경우, 도덕적 기준 역시 유의미한 영향 변수로 나타나 성차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이 논의 되었다.

Abstract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value judgement and punishment goal on sentencing depending on gender. For this aim,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30 students. They sentenced of felony cases(murder, assault, kidnapping) and property crime(larceny, fraud, destruction) and made judgments on their value and punishment goals of those cases. The result shows the strong gender effects in the judgments of the evolutional and moral value of crime and retribution goals. However,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s in sentencing. Multiple regression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value judgement and punishment goal on sentencing depending on gender. As results, retribution turned out to be a significant criterion variable both for men and women. Moreover, the moral value of crime was another significant criterion variable for women in sentencing felony.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s of the study are discussed.

한국판 부모 양육스트레스 검사-축약형(Korean versionof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K-PSI-SF)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이경숙(한신대학교) ; 정경미(연세대학교) ; 박진아(한신아동부모상담연구소) ; 김혜진(연세대학교) pp.363-377 https://doi.org/10.18205/kpa.2008.13.3.0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Abidin(1995)이 개발한 부모 양육스트레스 검사 축약형(Parenting Stress Index; Short-Form; PSI-SF)의 한국판(Korean Parenting Stress Index Short-Form; K-PSI-SF) 개발을 위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조사하였다. 3단계에 걸친 작업을 통해 도구가 번역되었으며, 1-12세 정상발달 아동 326명과 서울소재 사설 아동발달임상센터 1곳에 다양한 정서 및 행동장애로 내원한 아동 67명의 부모에게 K-PSI 축약형을 실시하였다. 이들 중 일부에게는 신뢰도를 위하여 재검사가 실시되었고(N=35), 타당도를 위하여 K-CBCL 아동용(N=274)과 BDI(N=191)를 시행하였다. 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내적 합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산출하였으며, 수렴타당도를 위해 K-PSI축약형 하위 척도 간 상관관계를, 공인타당도를 위해서 K-CBCL및 BDI 총점과의 상관관계를, 그리고 변별타당도 검증을 위해서 정서 및 행동장애 집단과 정상집단 간 K-PSI 축약형 점수의 차이검증을 시행하였다. 또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원 도구의 요인구조와 K-PSI 축약형의 요인구조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K-PSI 축약형이 부모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기에 비교적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에 따른 연구적, 임상적 함의와 한계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test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PSI-SF). Parenting stress is considered one of the biggest stresses women face. Following the recommended 3-step translation process, K-PSI was administered to the parents of 326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from 1 to 12 years of age. The reliability was tested via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N=35). Its construct validity was examined by administering the K-CBCL (N=274) and the BDI (N=191) and discriminant validity through K-PSI-SF administration to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N=67).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yielded acceptable fit indexes, which suggested that the similar factor structures exist in both K-PSI-SF and PSI-SF. Overall, results showed a high internal consistency(.76 to .91), test-retest reliability(.69-.77), construct(.49-.87) and discriminant validity, suggesting valid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PSI-SF. Implications of using the K-PSI-SF both as a clinical tool and a research instrument are discussed.

한국판 부모 양육스트레스 검사-축양형(Korean version of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K-PSI-SF)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이경숙(한신대학교) ; 정경미(연세대학교) ; 박진아(한신아동부모상담연구소) ; 김혜진(한신대학교) pp.363-37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Ahdin(1995)이 개발한 부모 양육스트레스 검사 축약형(Parenting Stress Index; Short-Form; PSI-SF)의 한국판(Korean Parenting Stress Index Short-Form; K-PSI-SF) 개발올 위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조사하였다. 3단계에 걸친 작업을 통해 도구가 번역되었으며, 1-12세 정상발달 아동 326명과 서울소재 사설 아동발달임상센터 1곳에 다양한 정서 및 행동장애로 내원한 아동 67명의 부모에게 K-PSI 축약형을 실시하였다. 이들 중 일부에게는 신뢰도를 위하여 재검사가 실시되었고(N=35), 타당도를 위하여 K-CBCL 아동용(N=274)과 BDI(N=191)를 시행하였다. 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내적 합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산출하였으며, 수럼타당도를 위해 K-PSI축약형 하위 혀도 간 상관관계를, 공인타당도를 위해서 K-CBCL 및 BDI 총점과의 상관관계를, 그리고 변별타당도 검증을 위해서 정서 및 행동장애 집단과 정상집단 간 K-PSI 축약형 점수의 차이검증을 시행하였다. 또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원 도구의 요인구조와 K-PSI 축약형의 요인구조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K-PSI 축약형이 부모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기에 비교적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에 따른 연구적, 임상적 함의와 한계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rest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PSl-SF). Parenting stress is considered one of the biggest stresses women face. Following the recommended 3-step translation process, K-PSI was administered to the parents of 326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from 1 to 12 years of age. The reliability was tested via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N=35). Its construct validity was examined by administering the K-CBCL (N=274) and the BDI (N=191) and discriminant validity through K-PSI-SF administration to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N=67).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yielded acceptable fit indexes, which suggested that the similar factor structures exist in both K-PSI-SF and PSI-SF. Overall, results showed a high internal consistency(.76 to .91),test-retest reliability(.69-.77), construct(.49-.87) and discriminant validity, suggesting valid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PSI-SF. Implications of using the K-PSI-SF both as a clinical tool and a research instrument are discussed.

화병환자의 MMPI-2 프로파일 특성
권호인(고려대학교) ; 김종우(경희대학교) ; 권정혜(고려대학교) pp.379-395 https://doi.org/10.18205/kpa.2008.13.3.008
초록보기
초록

화병은 한국의 문화관련 증후군으로, 몸의 열기, 치밀어 오름 등의 신체증상과 우울과 분노가 혼합된 정서 증상이 특징적인 장애이다. 본 연구에서는 화병 환자 38명, 정상통제군 20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포괄적인 심리적 특성 및 임상 양상을 살펴보고자 MMPI-2 프로파일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화병 환자들의 특징적인 코드타입을 발견할 수 없었으나 D척도와, Pt척도에서 T65점 이상 상승하면서, Hy척도가 T65점에 매우 근접하게 상승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이와 함께 Hs척도, Sc척도, Pd척도, Pa척도 등 전반적 임상척도가 T60점 이상으로 동반 상승하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내용척도에서는 ANX, DEP, HEA, ANG, FAM, WRK, TRT척도에서 화병집단이 정상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특히 ANX와 DEP척도가 T65점 이상으로 상승하였다. 여러 임상 척도의 동반 상승은 화병이 공병율이 높은 우울증이나 여타의 불안장애에 비해 보다 복잡하고 여러 증상이 혼합되어 나타나는 복합적 장애임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Hwa-Byung(HB)has been known as a form of psychogenic illness among lay people in Korea and recently been listed as a culture-bound syndrome of Korea in DSM-IV. HB patients have various psychological and somatic symptoms such as chest discomfort, a sensation of heat, and the sensation of having an epigastric mass. In the current study, we examine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HB patients. Participants were 38 outpatients visiting the depression clinic and the Hwa-Byung clinic and 20 normal adults. The structured interviews(SCID-I, HBDIS) were first administered to determine the diagnosis of participants and MMPI-2 was administer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pecific code type was not found but HB patients showed elevated scores on the 2(D), 7(Pt) scales over 65T score. And other clinical scales like 3(Hy), 8(Sc), 4(Pd), 6(Pa) were elevated over 60T score. It indicated that HB is complex syndrome with wide variety of psychological disturbances other than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anxiety disorders. Limitations of present study and clin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