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권호 목록

한국 남성의 페미니즘 성향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차이 및 페미니즘 성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명소(호서대학교) ; 이은진(연세대학교) pp.1-18 https://doi.org/10.18205/kpa.2008.13.1.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남성들의 자유주의 페미니즘 성향이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와 구체적으로 어떠한 요인들에서 차이가 나는가를 살펴보았다. 또한 페미니즘 성향이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20-65세에 해당하는 성인 남자727명을 대상으로 자유주의 페미니즘 성향, 심리적 안녕감과 주관적 안녕감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학력, 결혼관계, 직업 및 소득수준에 따라 페미니즘 성향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페미니즘 척도의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성역할과 여성활동의 목적은 학력이 높고, 연령이 낮으며, 학생과 전문직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서 높게 나타났다. 이와 달리 페미니즘 이데올로기를 반영하는 차별과 경시 및 집합적 행동, 자매애는 연령이 높거나 미혼이고 수입이 높을수록 높았다. 또한 자유주의 페미니즘 성향은 남성들의 심리적 안녕감, 주관적 안녕감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성역할과 여성 활동 목적, 세부적인 정치적 협약, 차별과 경시는 심리적 안녕감과 주관적 안녕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집합적 행동은 심리적 안녕감에만, 자매애는 주관적 안녕감에만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들을 한국여성들의 자유주의 페미니즘과 삶의 질 연구(2006)와 비교해 논의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및 앞으로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1) the liberal feminism of Korean men on the bases of their social structural variables and (2) the its impact on their well-being. The Liberal Feminist Attitude and Ideology Scale as well as two quality of life scales( Subjective Well-being Scal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were administered to a nationwide sample of 727 Korean men. Results showed that the degree of liberal feminist attitude and ideology differed according to their social structural variables such as individuals marriage status, occupation, income, and educational level. The levels of gender roles, and global goals were higher for those men who were better educated, younger, and professionals or students. On the contrary, the levels of discrimination and subordination as well as collective action were higher for those who were older and had higher income. A Series of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most of liberal feministic attitude and ideology factors affected the Korean men's perception on their quality of life. Specifically, gender role, global goals, specific political agendas, and discrimination and subordination positively affected both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ubjective well-being. However, collective actions positively affecte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while sisterhood positively affected the subjective well-being. Theses results were discussed in comparison with the study on the feminism of korean women and its effects on well-being, an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s well as the future directions of this area were discussed.

멘터와 배우자의 사회적 지원 및 멘터와의 성별 일치가 여성 공무원들의 직장-가정 갈등에 미치는 영향
장재윤(성신여자대학교) ; 강승하(성신여자대학교) pp.19-42 https://doi.org/10.18205/kpa.2008.13.1.0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여성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하여, 가정 영역으로부터의 사회적 지원인 배우자 지원과 직장 영역의 사회적 지원인 멘터 지원이 직장-가정간 갈등(WIF 및 FIW)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 멘터의 성별에 따라 멘터 지원 유형에 차이가 있는지, 직장-가정간 갈등에 차별적 효과가 있는 지를 고찰하였다. 국내 각 지방의 지자체에 근무하는 기혼 여성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한 결과, 배우자 지원은 FIW 수준을 유의미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 멘터들은 경력 지원보다 심리사회적 지원을 유의하게 더 많이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남성 멘터의 경우, 멘터 지원이 WIF를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여성 멘터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가 직장-가정간 균형에 주는 이사점 및 조직내 여성 멘터가 가지는 의미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entor and spousal support as social supports from work and family domain on the work-family conflict among female public servants. The results from Korean married female workers revealed that spousal support reduced the level of family interference with work(FIW) significantly. Furthermore, female mentors provided more psychosocial support for the female mentee than male mentors did. Lastly, only for male mentor, mentor support increased the level of work interference with work(WIF) of the female mentees significantly.

시설보호아동의 인성과 정서 및 행동문제: 성차를 중심으로
김보람(서울시립은평병원) ; 이경숙(한신대학교) ; 박진아(Duke Univ.) ; 이지성(한신대학교) pp.43-61 https://doi.org/10.18205/kpa.2008.13.1.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시설보호 아동의 인성과 정서 및 문제행동이 어떠한 지를 살펴보고, 특히 이러한 차이는 시설보호 아동의 성별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 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소재 시설기관에 거주하고 있는 만 5-6세 아동 80명(남아 47명, 여아 3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한국아동인성검사(Korea 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 [KPI-C)와 K-BASC(Korean Behavior Assessment System for Children)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인성 특성에 있어 시설보호 남아는 일반가정의 남아에 비해 우울과 과잉행동과 자폐적 성향을 더 많이 보이고 자아탄력성이 더 낮고, 사회적 관계에 더 많은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신체화 증상을 덜 보이며 가족관계 지각이 덜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보호 여아의 경우 일반가정 여아에 비해 자아탄력성이 더 낮고 우울과 정신증 및 자폐적 성향이 더 높게 나타난 반면, 신체화 증상을 덜 보이며 가족관계 지각이 덜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행동의 경우 시설보호 남아는 일반가정 남아에 비해 더 공격적이며 사회적으로 위축되어 있는 반면, 사회적 기술은 더 미숙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보호 여아의 경우 일반가정 여아에 비해 더 공격적인 반면, 불안과 내면화 행동문제는 덜 보이며 사회적 기술이 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시설아동의 남녀 차를 살펴본 결과, 시설보호 남아는 여아에 비해 오히려 불안과 위축 등 내면화 행동문제를 더 많이 보이고 사회적 관계에 더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아는 남아에 비해 신체화 증상과 정신증을 더 많이 보이고 가족관계는 더 부정적으로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institutional children's psychological features as comparing institutional care children with normal children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The subjects were 80 institutionalized children(47 boys, 33 girls) aged form 5 to 6 years old. Emotional-behavioral character was assessed by K-PIC(Korea 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 Kim et. al., 1997) and behavior problems were assessed by K-BASC(Korean Behavior Assessment System for Children, Lee et. al., 2003). Results show that boys in institutional care were more depressive, hyperactive, aggressive, less ego-resilient and showed more autistic features than those in a general environment. Girls in institutional care were more depressive, aggressive and showed more autistic features and psychiatric problems than those in a general environment. Boys in institutional care showed more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than girls in institutional care.

다문화사회의 이주여성에 대한 연구: 범죄피해에 대한 취약성을 중심으로
이수정(경기대학교) ; 이혜선(경기대학교) ; 강명희(경기대학교) ; 김연정(경기대학교) ; 명정(경기대학교) pp.63-83 https://doi.org/10.18205/kpa.2008.13.1.004
초록보기
초록

한국사회에서 이주여성은 출신국가에 따른 차별뿐만 아니라, 여성으로서 겪는 차별과 폭력을 경험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주여성에 대한 폭력은 특성상 타인에게 드러나지 않는 경우가 많아 대처가 미흡할 수밖에 없다. 본 연구는 이주여성들이 빈번하게 경험하게 되는 범죄행위에 초점을 두고, 다음과 같이 조사하였다. 첫째, 한국사회에서 이주여성들이 경험하고 있는 성범죄와 가정폭력, 살인과 자살의 실태를 알아보았다. 둘째, 해당 범죄들의 원인에 대한 이론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주의 여성화 추세는 한국사회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체류자격의 불안정과 여성으로서 드러내기 어려운 현실이 범죄 피해에 대처할 수 없도록 하는 어려운 상황을 만들고 있다. 따라서 이주여성에 대한 범죄 방지 대책과 피해자 보호를 위한 체계적인 방안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강조하였다.

Abstract

The female immigrants in Korea are known to get exposed to various criminal conducts as well as racial discrimination. Nevertheless, many of criminal cases against migrant women are often concealed to the public and become tardy cases under police investigation. This study reviewed examples of victimization of immigrant women and how vulnerable they could be to various types of crime. First, actual profiles of migrant women were observed of sex offenses, violent crime, homicide, and suicide. Second, theories were explored to explain the causes of these criminal cases. At last, it was discussed the unstable condition of the status of migrant women might aggregate the possibility of their being criminally victimized. Hence, it must be necessary to develop a unique policy to prevent migrant women from crime.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