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탈북 여성의 방어기제와 정신건강의 관계

The relations between defense mechanism and mental health problems of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초록

본 연구는 하나원에 입소하여 사회적응교육을 받고 있는 탈북 여성 283명을 대상으로 방어기제와 정신건강의 관계 및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화방어기제검사 척도들의 평균 점수와 스텐 점수 분포를 산출하였고, 방어기제 척도들과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R) 증상 척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결혼 상태, 자녀 동반 입국 여부, 탈북에서 국내 입국에 이르기까지 소요된 기간, 그리고 방어기제들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탈북 여성들은 성숙 단계와 자아도취적 단계의 방어기제들을 전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데 비해, 미성숙한 방어기제와 신경증적 방어기제는 일부만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탈북 여성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어기제는 예견, 합리화, 부정, 왜곡, 유머, 회피, 이타주의, 억제, 승화 순이었으며, 가장 적게 사용하는 방어기제는 퇴행, 통제, 투사 순이었다. 상관분석 결과, 성숙한 방어기제들과 간이정신진단검사 증상 척도들과의 상관은 거의 없었던 반면, 미성숙한 방어기제들(동일시, 수동-공격, 신체화, 행동화, 퇴행)은 거의 모든 증상 척도들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경증적 단계에 속하는 전치와 해리, 자아도취적 단계에 속하는 투사도 정신건강 문제들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결혼 상태와 자녀 동반 입국 여부에 따라 간이정신진단검사의 신체화(SOM) 척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국내 입국 소요 기간은 적대감(HOS) 및 정신증(PSY) 척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지만, 이 변인들이 탈북 여성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력은 그다지 크지 않았다. 탈북 여성의 정신건강에 대한 방어기제의 추가적인 설명력은 9.7%~25.2%이었으며, 신체화, 행동화, 수동-공격, 동일시 등이 주요 예측 변수였다.

keywords
탈북 여성, 방어기제, 하나원,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Defense mechanism, Hanawon,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Defense mechanism, Hanawon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 between defense mechanism and mental health problems of 283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educated in Hanawon(Settlement Support Center for North Korean Refugees). The mean scores and sten scores from the scales of Ewha Defense Mechanism Test showed that Mature and Narcissistic Defense mechanism is more widely used by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compared to Immature and Neurotic Defense mechanism, which is only used by fewer refugees. The most frequently used defense mechanisms were Anticipation, Rationalization, Denial, Distortion, followed by Humor, Avoidance, Altruism, Suppression, and Sublimation. Regression, Controlling and Projection had the lowest frequency.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presented that Mature Defense mechanisms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cales of SCL-90-R. However, Immature Defense mechanisms(Identification, Passive-Aggressive behavior, Somatization, Acting out, Regression) had notable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cales of SCL-90-R. In addition, Displacement and Dissociation included in Neurotic Defense mechanism and Projection included in Narcissistic Defense mechanism had meaningful correlations with mental health problems. Whether refugees were married or accompanied by their children resulted in significant differences of somatization scales, and the time spent for entering the Republic of Korea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hostility and psychosis scales in SCL-90-R. However, these factors had limited influence on the mental health problems of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additional predictability of defense mechanisms concerned with mental health problems ranged from 9.7% to 25.2%, and Somatization, Acting out, Passive-Aggressive behavior, and Identification were major predictors of mental health problems.

keywords
탈북 여성, 방어기제, 하나원,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Defense mechanism, Hanawon,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Defense mechanism, Hanawon

참고문헌

1.

김광일, 김재환, 원호택 (1984). 간이정신진단검사 실시요강. 서울: 중앙적성출판부.

2.

김미령 (2005). 탈북자의 적응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우울 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 57(1), 193-217.

3.

김미정, 정계숙 (2007). 유아기 자녀를 둔 새터민 부모의 양육 이야기. 아동학회지, 28 (1), 71-88.

4.

김연희 (2006). 북한이탈주민의 정신보건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김재은, 이근후, 김정규, 박영숙 (1991). 이화방어기제검사 실시요강. 서울: 하나의학사.

6.

김정규 (1995). 북한주민의 의식구조 이해. 통일문제 학술세미나, pp.3-40. 서울: 성신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7.

김정욱 (2003). 방어기제 성숙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4), 747 -763.

8.

김태현, 노치영 (2003). 북한이탈 여성들의 삶 이야기 2: 생존전략을 중심으로 한 중국생활체험. 대한가정학회지, 41(12), 229- 243.

9.

노대균 (2001). 탈북자의 개인차 요인이 적응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문숙재, 김지희, 이명근 (2000). 북한 여성들의 탈북 동기와 생활 실태: 중국 연변지역의 탈북 여성들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8(5), 137-152.

11.

민성길 (2001). 북한사람의 인격구조. 통일연구, 5(2), 5-46.

12.

박경화 (1991). 한국인의 자아방어기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박미석, 이종남 (1999). 탈북 가족의 남한 사회 적응시 겪는 어려움과 그에 따른 대처 방안. 통일논총, 17, 3-74.

14.

박철옥 (2007). 북한이탈주민의 대인관계적 외상 경험, 용서, 경험 회피와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배기영 (1984). 한국 속담의 자아방어기전. 신경정신의학, 23(4), 418-424.

16.

성영신, 서정희, 심진섭(1993). 남북의 장벽을 넘어서-통일과 심리적 화합: 남북한의 경제심리 비교-귀순자의 심충면접을 토대로-. 한국심리학회 대외심포지움, pp. 193-212. 서울.

17.

성에스더 (2009). 청소년의 자아방어기제 및 학업스트레스와 신체화 증상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엄태완 (2004). 북한이탈주민의 무망감에 의한 우울증 완충 효과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

유영수 (1995). 자아방어기제와 직무스트레스가 직장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윤인진 (1999). 탈북자의 남한사회 적응 실태와 정착지원의 새로운 접근. 한국사회학, 33, 511-549.

21.

이근후, 박영숙(1990). 전래의 속담에 나타난 과거 한국인의 자아방어기제. 신경정신의학, 29(3), 721-732.

22.

이기영, 성향숙 (2001). 탈북자 가족 구성원의 가족관계 인식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47(11), 243-271.

23.

이숙영 (2005).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경험과 남한 내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북한, 탈북과정, 남한 적응 과정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전우택 (2002). 탈북자들을 통하여 보는 남북한 사람들의 통합 전망. 통일연구, 6(1), 47-62.

25.

전우택, 윤덕룡, 엄진섭 (2004). 탈북자들의 남한 사회 적응생활 실태조사: 2001년도 553명의 탈북자들에 대한 조사를 중심으로. 통일연구, 7(1), 155-208.

26.

전현민, 박영숙 (1995). MMPI 프로파일 유형들에 따른 자아방어기제의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4(1), 191-199.

27.

조영아 (2002). 남한 내 북한이탈주민의 자아방어기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8.

조영아 (2009). 북한이탈주민의 심리 상담에 대한 요구도와 전문적 도움 추구 행동.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1), 285-310.

29.

조영아, 전우택 (2005). 탈북 여성들의 남한 사회 적응 문제: 결혼 경험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0(1), 17-35.

30.

채정민, 김종남 (2004). 북한이탈주민의 상대적 박탈감과 심리적 적응: 개인적 정체감과 사회적 정체감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8(1), 41-63.

31.

통일부 (2009). 북한이탈주민정착지원사무소 내부자료.

32.

한인영 (2001). 북한이탈주민의 우울 성향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11(6), 78-94.

33.

홍은주 (2003). 북한이탈부모의 자녀양육 변화와 문제 분석.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Bond, M., Gardner, S. T., Christian, J., & Sigal, J. (1983). Empirical study of self-rated defense style.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0, 333-338.

35.

Cramer, P. (2000). Defense mechanisms in psychology today: Further processes for adaptation, American Psychologist, 55(6), 637-646.

36.

Cramer, P., Blatt, S. J., & Ford, R. Q. (1988). Defense mechanisms in the anaclitic and introjective personality configura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6, 610-616.

37.

Derogatis, L. R. (1977). SCL-90-R (revised) manual Ⅰ. Clinical psychometrics research unit, Baltimore, John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38.

Freud, S. (1897). The neuro-psychosis of defense. In standard edition of the complete psychological work of Sigmund Freud. London: Hogarth press.

39.

Kaplan, H. L., & Sadock, B. J. (1989). Comprehensive textbook of psychiatry Ⅳ. Baltimore: Williams & Willkins.

40.

Lingiardi, V., Lonati, C., Delucchi, F., Fossati, A., Vanzuli, L., & Maffei, C. (1999). Defense mechanisms and personality disorders.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87(4), 224-248.

41.

Millon, T. (1984). On the renaissance of personality assessment and personality theory.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8(5), 450-465.

42.

Paris, J., Zweig-Frank, H., Bond, M., & Guzder, J. (1996). Defense styles, hostility and psychological risk factors in male patients with personality disorder.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84(3), 153-158.

43.

Perry, J. C., & Cooper, S. H. (1992). What do cross-sectional measures of defense mechanisms predict? In G. E. Vaillant (Ed.), Ego Mechanisms of defense: A guide for clinicians and researches, (pp.195-216).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ress.

44.

Plutchik, R., & Conte, H. R. (1989). Measuring emotions and their derivative: personality traits, ego defense, and coping styles. In Wetzler, S., & Katz, M. M. (Eds.), Contemporary approaches to psychological assessment. New York: Brunner/Mazel. Inc.

45.

Vaillant, G. E. (1994). Ego mechanisms of defense and personality psychology.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3(1), 44-50.

46.

Vaillant, G. E., & Bond, M., & Vaillant, C. O. (1986). An empirically validated hierarchy of defense mechanism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3, 786-794.

47.

Vaillant, G. E., & Schnurr, P. (1988). What is a case: A 45-year study of psychiatric impairment within a college sample selected for mental health.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5, 313-319.

48.

Vaillant, G. E., & Vaillant, C. O. (1990). Natural history of male psychological health: Ⅻ. A forty-five year study of successful aging at age 65.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47, 31-37.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