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메뉴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Vocational Adjustment Program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Abstract

This study has a purpose to develop vocational adjustment program that is essential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to settle down in our society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n order to develop practical program with reflecting their unique issues and experiences comparing to other groups, many diverse ways such as questionnaire, face to face in-depth interview, and expert-interview were used. Vocational adjustment program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was consisted of six parts like understanding multi-culture, basic economical concepts and practical use, vocation and labor market comprehension, self-understanding and analysis, cultivating organization adaptation and job capacities, establishing career goal. After carrying into effect the program, the result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identity, the understanding vocational information, adaptation of vocational culture, career aspiration to women who have taken the vocational adjustment program. Through the program, marriage immigrant women will be high in self-efficacy with the real recognition of the Korean labor market and expect their positive future which might be better than now. Finally this can help them adjust our society in the positive way.

keywords
marriage immigrant women, multi-cultural family, vocational adjustment program, career identity, career inspiration, vocational information, adaptation of vocational culture, 결혼이주여성, 다문화, 직업적응 프로그램, 직업상담, 직업문화적응, 진로정체감, 진로포부, 직업정보

Reference

1.

경기도가족여성개발원 (2007). 경기도내 국제결혼이민자가족실태조사 및 정책적 지원 방안 연구.

2.

고 은 (2006). 이중 언어 사용 아동의 부모들이 갖는 모국어에 대한 가치기준과 경험적 의미. 언어치료연구, 15(3), 143-162.

3.

권미경 (2007). 다문화 사회의 교육문화과제 탐색: 여성결혼이민자의 체험에 관한 질적 연구. 동아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4.

김병숙 (2007). 직업심리학. 서울: 시그마프레스.

5.

김영하, 김정희, 이경숙 (2008). 결혼이주여성 다문화교육 전문강사 양성프로그램 매뉴얼 개발. 대구경북연구원.

6.

김영란 (2006). 한국 사회에서 이주여성의 삶과 사회문화적 적응관련 정책. 아시아여성연구, 45(1), 143-189.

7.

김오남 (2006).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부부갈등 결정요인 연구. 가족과 문화, 18(3), 63- 106.

8.

김오남 (2007). 농촌지역 결혼이민여성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2(3), 47-73.

9.

김유경 (2009). 다문화가족의 실태와 정책방안. 보건복지포럼, 151, 29-52.

10.

김이선, 김민정, 한건수 (2006). 여성 결혼이민자의 문화적 갈등경험과 소통증진을 위한 정책과제. 한국여성개발원.

11.

김이선, 양인숙, 황정임, 고혜원 (2008). 결혼이민자의 사회․경제적 통합 진전을 위한 브릿지 프로그램 추진방안. 보건복지가족부.

12.

김헌수, 장기명, 이난 (2004).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적용이 대학생의 진로 및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효과. 교육심리연구, 8(1), 261-278.

13.

김현미 (2006). 국제결혼의 전 지구적 젠더 정치학-한국남성과 베트남 여성의 사례를 중심으로. 경제와 사회, 70, 10-37.

14.

김현정 (2007). 국내거주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경제적 적응 증진 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남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김혜자 (2008).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배우자 지지, 건강교육 요구와 삶의 질. 여성건강 간호학회지, 14(1), 5-11.

16.

문화관광부 (2005). 결혼이민자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기초연구.

17.

박경동 (2008). 다문화가족 형성과 갈등에 대한 연구. 청소년 문화포럼, 18, 140-174.

18.

박수진, 이지나 (2002). 일하며 기르며 송금하며. 성평등연구, 16, 191-234.

19.

박은주 (2009).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필요성에 관한 연구.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

박정숙, 박옥임, 김진희 (2007).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가족갈등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6), 59-70.

21.

박주희, 정진경 (2007).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과 정체성.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4), 395-432.

22.

부산인적자원개발원 (2007). 여성결혼이민자 자활능력 강화를 위한 직업훈련 프로그램 “GROW”.

23.

서 혁 (2007). 다문화 가정 현황 및 한국어교육 지원 방안, 인간연구, 1(12), 1-24.

24.

설경옥 (2009).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적응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5.

설동훈, 이혜경, 조성남 (2006). 결혼이민자 가족실태조사 및 중장기 지원정책방안 연구. 여성가족부.

26.

설동훈, 윤홍식 (2008).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경제적 적응과 복지정책의 과제. 社會保障硏究, 24(2), 109-133.

27.

성미경, 이희영 (2007). 양성평등 진로교육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직업관련 양성평등의식 및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효과. 수산해양교육연구, 19(1), 121-128.

28.

안양희 (2008). 일 지역 여성결혼이민자의 건강상태 및 건강행위.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2(1), 109-133.

29.

양순미 (2006). 농촌 국제결혼부부의 적응 및 생활실태에 대한 비교 분석. 農村社會, 16(2), 151-179.

30.

양승민 (2008). 한국적 다문화상담의 모색을 위한 농촌지역 결혼이민여성들의 스트레스 요인과 반응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1.

여성가족부 (2006). 결혼이민자 가족실태조사 및 중장기 지원정책방안 연구.

32.

오성배 (2006). 한국 사회의 소수 민족(ethnic minority), ‘코시안’(Kosian) 아동의 사례를 통한 다문화 교육의 방향 탐색. 교육사회학연구, 16(4), 137-157.

33.

육주혜, 이효성, 진홍섭, 석말숙, 이준석 (2006). 장애대학생의 EDI 진로․직업탐색 프로그램 효과분석 연구.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34.

윤인진 (1999). 탈북자의 남한사회 적응실태와 정착지원의 새로운 접근. 한국사회학, 33, 511-549.

35.

윤홍식 (2004). 결혼해체를 경험한 여성의 소득수준 및 빈곤실태와 공·사적 소득이전의 역할. 한국사회복지학, 56(2), 5-27.

36.

윤홍식, 김혜영, 이은주 (2005). 절대 및 차상위 빈곤선을 통해 본 여성가구주 가구의 빈곤지위 결정에 관한 연구: 저소득 여성가구주 가구를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 21(3), 263-288.

37.

이금숙 (2001). 정신지체아동의 구조화된 사회성 기술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8.

이병준, 이동임, 최지희 (1999). 준고령자 직업훈련 프로그램.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9.

이승우 (2007). 이주여성의 혼인과 법률문제. 한국동북아논총, 44, 251-271.

40.

임용수 (1992). ‘진로사회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교육문제. 교육발전연구, 8, 81-107.

41.

장미영 (2008). 여성결혼이민자의 자기정체성 형성을 위한 한국문화교육 방안. 한국언어문학, 64. 355-379.

42.

장서영, 김이선, 이로미, 장인자, 유지영 (2009). 여성결혼이민자 취업지원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고용정보원.

43.

전경옥 (2007). 젠더 관점에서 본 다문화 사회의 사회통합. 아시아여성연구, 46(1), 7-42.

44.

정영덕 (2004). 국제 결혼한 외국인 여성들의 삶의 만족도 연구: 장수군 중심으로. 한일장신대 아시아태평양국제신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5.

정은희 (2004). 농촌지역 국제결혼가정 아동의 언어 발달과 언어 환경. 언어치료연구, 13(13), 33-52.

46.

조난영 (2006). 국내 이주 소수 민족의 직업문화 충돌이 직업적응에 미치는 영향분석.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7.

조성열, 이응수 (2005). 특수학급 학생의 직업적응훈련 프로그램 적용 효과. 장애인고용, 15(2), 105-120.

48.

행안부 (2009). 2009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조사 결과.

49.

홍달아기, 채옥희 (2006). 사례로 본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정생활실태와 갈등. 한국생활과학회지, 15(5), 729-741.

50.

Betz, N. E., Klein, K., & Taylor, K. (1996). Evaluation of a short form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4, 47-57.

51.

Boyd, Monica (1989). Family and Personal Network in International Migration: Recent Developments and New Agendas. International Migration Review, 23, 638-70.

52.

Brolin, D. E. (1992). Life-centered career education: A competency based approach, VA: The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53.

Buijs, Gina (1993). Migrant Women, Crossing Boundaries and Identities, Berg Publishers.

54.

Cole, Ellen, eds (1992). Refugee Woman and Their Mental Health. Harrington Park Press.

55.

Drever, A. I.; Hoffmeister, O. (2008). Immigrants and Social Networks in a Job-Scarce Environment: The Case of Germany. International Migration Review, 42(2).

56.

Farmer, H. S. (1985). Model of career and achievement motivation for women and for me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2, 363- 390.

57.

Holland, J. L., Gottfredson, D., & Power, P. (1980). Some diagnostic scales for research in decision-making and personality: Identity, information, and barrie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 1191-1200.

58.

Kahn, Jeffrey H., Nauta, Margaret M., Epperson, Douglas L. (1998). Multiple-groups analysis of predictors of higher level career aspirations among women in mathematics, science, and engineering major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5(4), 483-496.

59.

O'Brien, K. M. (1992). Career Aspiration Scale. Available from K. M. O'Brien, Psychology. Department,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60.

Parrenas, Rhacel Salazar. (2001). Servants of Globalization: Women, Migration and Domestic Work. Stanford University Press.

61.

Pedraza, Silvia. (1991). Women and Migration: The Social Consequences of Gender. Annual Review of Sociology, 17, 303-325.

62.

Prairie Global Management (2008), “Developing Immigrant Settlement Services: A Guide for Communities. Government of Manitoba,” Retrieved May 2, 2009 from www.manitoba.ca /labour/imigrate/asset_library/en/resources/pdf/settleGuide0208.pdf.

63.

Sitlington, P. L., Clark, G. M., & Kolstoe, o. p. (2000). Transition Education and Services for Adolescents with Disables.(3rd ed.) United States of America: Allyn & Bacon.

64.

Ward, C. & Kennedy, A. (1993). “Where's the culture in cross-cultural transition? Comparative studies of sojourner adjustment.”.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24(2), 221- 249.

65.

Wehman, P. (1996). Life Beyond the Classroom: Transition Strategies for young people with Disability 2(th). Paul. Brookes Publishing Co.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