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탈북 여성의 MMPI-2 프로파일 유형과 성격 특성에 따른 방어기제 차이

Differences of defense mechanisms according to MMPI-2 profile types and personality traits of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초록

본 연구는 하나원 탈북 여성 578명을 대상으로 MMPI-2 프로파일 유형과 성격 특성에 따른 방어기제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군집분석을 통해 MMPI-2 프로파일 유형을 분류하였고, 변량분석을 통해 MMPI-2 프로파일 유형에 따른 이화방어기제검사 척도들의 평균 차이를 검증하였으며, MMPI-2의 성격병리 5요인 척도(PSY-5)와 방어기제 척도들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탈북 여성들의 MMPI-2 프로파일은 세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Ⅰ유형(50.3%)은 타당도 척도와 임상 척도의 T점수가 보통 범위에 속하는 정상 프로파일을 보였으며, Ⅱ유형(29.2%)은 Pa, Pt, Sc, Si 척도가 55T~60T에 속하였고, Ⅲ유형(20.4%)은 D, Pt, Si 척도가 뚜렷하게 상승하였다. Ⅱ유형은 Ⅰ, Ⅲ유형에 비해 자아도취적 방어기제에서 더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Ⅱ, Ⅲ유형은 Ⅰ유형에 비해 미성숙 단계와 신경증적 단계의 방어기제 점수가 더 높았고, Ⅲ유형은 다른 유형들에 비해 성숙 단계의 방어기제 점수가 가장 낮았다. 성격병리 5요인 척도 중 공격성은 통제, 왜곡, 수동-공격과, 정신증은 투사, 해리, 행동화와, 통제 결여는 행동화, 수동-공격, 투사와, 그리고 부정적 정서성/신경증은 해리, 행동화, 투사, 신체화 방어기제와 뚜렷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내향성/낮은 긍정적 정서성은 유머, 통제, 왜곡과 뚜렷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는 탈북 여성의 MMPI-2 프로파일 유형에 따라 방어기제 사용에 차이가 있으며, 성격 특성과 방어기제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탈북 여성에 대한 치료적 제언을 하였다.

keywords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Defense mechanism, MMPI-2, PSY-5, Hanawon,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Defense mechanism, MMPI-2, PSY-5, Hanawon, 탈북 여성, 방어기제, MMPI-2, 성격병리 5요인 척도, 하나원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of defense mechanisms according to MMPI-2 profile types and personality traits of 578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educated in Hanawon (Settlement Support Center for North Korean Refugees).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of MMPI-2 subscales, these sample divided into three types. The first type meets the normal range on validity and clinical scales, accounts for 50.3%. The second type accounting for 29.2%, had 55T~60T on Pa-Pt-Sc-Si scales. The third type, represents 20.4%, showed high scores on D-Pt-Si scales. The second type had higher scores on Narcissistic Defense Mechanism than other types, the second and the third type had higher scores on Immature and Neurotic Defense Mechanism than the first type, and the third type had the lowest scores on Mature Defense Mechanism of Ewha Defense Mechanism Test. According to correlation analysis, PSY-5 scales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defense mechanisms: Aggressiveness with Controlling, Distortion, and Passive-Aggressive behavior; Psychoticism with Projection, Dissociation, and Acting Out; Disconstraint with Acting Out, Passive-Aggressive behavior, and Projection; Negative Emotionality/Neuroticism with Dissociation, Acting out, Projection, and Somatization. Introversion/Low Positive Emotionality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Humor, Controlling, and Distortion. This study showed that defense mechanisms of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had different aspect according to MMPI-2 profile types and personality trait had meaningful correlation with defense mechanisms. Finally, therapeutic approach for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were suggested.

keywords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Defense mechanism, MMPI-2, PSY-5, Hanawon,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Defense mechanism, MMPI-2, PSY-5, Hanawon, 탈북 여성, 방어기제, MMPI-2, 성격병리 5요인 척도, 하나원

참고문헌

1.

강숙정 (2008). 가양동 새터민 MMPI 검사 결과와 새터민 심리상담적 접근방안.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306- 307.

2.

권정해 (2009). 경계선 성격장애 환자군의 MMPI-2 특성 및 자아방어기제 양상: 우울증 환자군 및 정상 집단과의 비교.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연진 (2009). 여자 청소년의 성격특성과 방어기제의 상관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우석 (2004). 정서표현, 자아방어기제 및 대처방식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재은, 이근후, 김정규, 박영숙 (1991). 이화방어기제검사 실시요강. 서울: 하나의학사.

6.

김정욱 (2003). 방어기제 성숙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4), 747 -763.

7.

김중술, 한경희, 임지영, 이정흠, 민병배, 문경주 (2005). 다면적 인성검사 Ⅱ 매뉴얼. 서울: (주)마음사랑.

8.

김현아, 전명남 (2004). MMPI에 나타난 북한이탈주민의 개인차 특성. 통일연구, 7(2), 129-160.

9.

김희경 (2010). 탈북 여성의 방어기제와 정신건강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5(1), 155-173.

10.

노대균 (2001). 탈북자의 개인차 요인이 적응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문미희, 최정윤 (1996). 신체증상을 주소로 하는 정신과 환자집단의 방어기제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5(1), 117-127.

12.

민성길, 박청산, 한정옥 (1993). 홧병에 있어서의 방어기제와 대응전략. 신경정신의학, 32(4), 506-516.

13.

박상규 (2004). 마약류 의존자의 심리적 특성. 한국상담학회지: 상담학연구, 5(4), 899-910.

14.

배지연 (1993). MMPI의 하위척도가 나타내는 성격 특성과 자아의 방어기제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성에스더 (2009). 청소년의 자아방어기제 및 학업스트레스와 신체화 증상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심진현, 백상빈, 신영철, 오강섭, 노경선, 이시형 (1999). 공황장애 환자의 성격요인과 방어기제 특성에 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38(6), 1315-1323.

17.

유영수 (1995). 자아방어기제와 직무스트레스가 직장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윤여상, 김현아, 한선영 (2007).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3), 693-718.

19.

이인길, 이근후 (1991). 정신분열증 환자의 자아방어기제 연구. 신경정신의학, 30(1), 198-212.

20.

임현숙 (2006). 성격장애와 방어기제간의 관계.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전현민, 박영숙 (1995). MMPI 프로파일 유형들에 따른 자아방어기제의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4(1), 191-199.

22.

정윤경, 박은희, 전덕인, 석정호, 홍나래 (2009). 임상현장에서 MMPI-2의 진단적 유용성: 우울증 환자군과 정신분열증 환자군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8(2), 339-362.

23.

정한용, 한선호, 최의정, 김동욱 (1999). 진로 선택에서 나타난 의과대학생의 자아방어기제. 신경정신의학, 38(6), 1412-1420.

24.

정향진 (2005). 탈북 청소년들의 감정성과 남북한의 문화심리학적 차이. 비교문화연구, 11(1), 81-111.

25.

조두영, 홍택유, 백기청 (1988). 전공의의 전문 과목 선택과 성격유형에 관한 고찰. 신경정신의학, 27(1), 108-119.

26.

조성희, 신수경, 김효은 (2008). 약물남용자들의 MMPI-2 군집유형에 따른 방어기제 특징.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7(2), 529-545.

27.

조영아 (2002). 남한 내 북한이탈주민의 자아방어기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8.

최정윤, 정진복 (1991). 우울증 환자의 MMPI 프로파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0(1), 34-41.

29.

통일부 (1996). 북한주민 의식구조 및 가치관 조사. 서울: 통일교육원.

30.

한경희, 임지영, 한정원 (2002). 한국판 MMPI-2의 임상적 유용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4), 827-842.

31.

Bond, M., Gardner, S. T., Christian, J., & Sigal, J. (1983). Empirical study of self-rated defense style.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0, 333- 338.

32.

Cramer, P., Blatt, S. J., & Ford, R. Q. (1988). Defense mechanisms in the anaclitic and introjective personality configura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6, 610-616.

33.

Crowder, M. K., & Hollender, M. H. (1980). The medical student's choice of psychiatry as a career: A survey of one graduating class.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38(4), 505-507.

34.

Donnelly, E. R., Murphy, D. L., & Goodwin, R. K. (1976).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comparisons of bipolar and unipolar depressed groups on the MMPI.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4(2), 233-236.

35.

Freud, S. (1897). The neuro-psychosis of defense. In standard edition of the complete psychological work of Sigmund Freud. London: Hogarth press.

36.

Graham, J. R. (2007). MMPI-2: 성격 및 정신병리 평가 제4판[MMPI-Ⅱ: Assessing personality and psychopathology, 4/e]. (이훈진, 문혜신, 박현진, 유성진, 김지영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전은 2006에 출판).

37.

Graham, J. R., Ben-Porath, Y. S., & McNulty, J. L. (1999). MMPI-2 correlates for outpatient community mental health settings.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38.

Harkness, A. R., McNulty, J. L., Ben-Porath, Y. S., & Graham, J. R. (2002). MMPI-2 Personality Psychopathology Five(PSY-5) scales.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39.

Kaplan, H. L., & Sadock, B. J. (1989). Comprehensive textbook of psychiatry Ⅳ. Baltimore: Williams & Willkins.

40.

Lingiardi, V., Lonati, C., Delucchi, F., Fossati, A., Vanzuli, L., & Maffei, C. (1999). Defense mechanisms and personality disorders.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87(4), 224-248.

41.

Miller, M. W., Kaloupek, D. G., Dillon, A. L., & Keane, T. M. (2004).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subtypes of combat-related PTSD: A replication and extension using the PSY-5 scale.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13, 635- 645.

42.

Paris, J., Zweig-Frank, H., Bond, M., & Guzder, J. (1996). Defense styles, hostility and psychological risk factors in male patients with personality disorder.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84(3), 153-158.

43.

Perry, J. C., & Cooper, S. H. (1992). What do cross-sectional measures of defense mechanisms predict? In G. E. Vaillant (Ed.), Ego Mechanisms of defense: A guide for clinicians and researches, (pp.195-216).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ress.

44.

Trimboli, F., & Kilgore, R. B. (1983). A psychodynamic approach to MMPI interpret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7(6), 616-626.

45.

Vaillant, G. E. (1971). Theoretical hierarchy of adaptive ego mechanism.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24, 107-118.

46.

Vaillant, G. E. (1983). The natural history of alcoholism.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47.

Vaillant, G. E. (1994). Ego mechanisms of defense and personality psychology.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3(1), 44-50.

48.

Vaillant, G. E., & Bond, M., & Vaillant, C. O. (1986). An empirically validated hierarchy of defense mechanism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3, 786-794.

49.

Vaillant, G. E., & Schnurr, P. (1988). What is a case: A 45-year study of psychiatric impairment within a college sample selected for mental health.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5, 313-319.

50.

Vaillant, G. E., & Vaillant, C. O. (1990). Natural history of male psychological health: Ⅻ. A forty-five year study of successful aging at age 65.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47, 31-37.

51.

Waston, D., & Pennebaker, J. W. (1989). Health complaints, stress, and distress: Exploring the central role of negative affectivity. Psychological Review, 96, 234-354.

52.

Winster, K. C., Weintraub, S., & Neale, J. M. (1981). Validity of MMPI codetypes in identifying DSM-Ⅲ schizophrenics, unipolars, and bipolar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9(3), 486-487.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