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Psychological Health for Old Women and Old Me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re are gender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 experience and psychological health. In addition, I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experiences on psychological well-being, depression, and generativity of old women and old men. I achieved data of 705 elderly(man 332, women 373) aged 65 and over living in Seoul and Kyunggi area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follow. Firs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 experience and old men felt mor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generativity and less depression than old women. Second, for old men, social support experiences providing to significant others more effect on the psychological health than social support experiences receiving from them. On the other hands, for old women, social support experiences receiving from significant others had important effects. Finally, there were differences on psychological health by social support types for old women and old me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we need detail and integrated elderly welfare interventions to promote psychological health for elderly.

keywords
social support experiences, psychological well-being, depression, generativity, gender difference, 사회적 지지 경험, 심리적 안녕감, 우울감, 생산감, 성별 차이, social support experiences, psychological well-being, depression, generativity, gender difference

Reference

1.

고보선, 유용식 (2002). 제주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2002 겨울호, 49-72.

2.

고성희 (1990). 한국인의 정신건강개념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김순이, 이정인(2009). 노인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학대가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9(1), 231-242.

4.

김윤정 (2003). 노인이 제공받는 사회적 지지의 효과성 분석. 노인복지연구, 21, 123- 140.

5.

김정석, 김익기 (2000). 세대간 지원교환의 형태와 노인의 생활만족도. 한국노년학, 20, 155-168.

6.

민기채, 이정화 (2008). 비공식적 관계망에 대한 지원 제공이 노인의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성차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8 (3), 515-533.

7.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백지은 (2006). 한국노인들이 기대하는 성공적인 노화의 개념, 유형 및 예측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3), 1-16.

9.

백지은 (2008). 한국노인의 전통적 가치관에 따른 성공적 노화 인식 차이. 한국노년학, 28(2), 227-249.

10.

신학진 (2010). 노인의 차별경험이 자아통합감을 매개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0(2), 551-565.

11.

안정신, 한경혜, 차승은 (2004). 한국 중년성인의 심리적 복지감 척도구조와 문항정보. 인간발달연구, 11(4), 75-94.

12.

윤순덕 (2004). 농촌노인의 생산적 활동과 심리적 복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윤순덕, 한경혜 (2004). 농촌노인의 생산적 활동과 심리적 복지. 한국노년학, 24(2), 57- 77.

14.

이은희, 김금운, 한규석, 주리애 (2004). 노인의 안녕감에 미치는 생성감의 역할. 한국노년학, 24(3), 131-152.

15.

이익섭, 김서원 (2005). 저소득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원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29, 285- 308.

16.

이형석, 김도관, 고혜정, 구형모, 권의정, 김지혜 (2003). 노인 삶의 질척도의 표준화.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4), 859-881.

17.

이형실 (2003). 농촌 노인의 세대간 사회적 지원의 교환과 생활만족; 성별 및 연령집단별 비교. 대한가정학회지, 41(4), 57-69.

18.

전해숙 (2010). 초고령 노인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안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미국 중서부 지역의 초고령 노인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47, 51-69.

19.

전혜정 (2004a). 한국노인의 비공식적 지원제공과 정신건강. 노인복지연구, 26, 337-361.

20.

전혜정 (2004b). 미국노인의 사회적 지원제공과 정신건강: 종단적 자료분석. 한국노년학, 24(1), 89-107.

21.

최혜경, 백지은, 서선영 (2005). 노인들의 인식을 통한 한국적인 성공적 노화의 개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2), 1-10.

22.

통계청 (2009). 통계청 DB.

23.

홍은진 (2010). 장․노년기 지원활동 유형과 생성감의 관계: 연립방정식모형의 활용. 한국노년학, 30(2), 515-534.

24.

홍주우 (1999). 노인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지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Becker, G., Beyene, Y., Newsom, E., & Mayen, N. (2003). Creating continuity through mutual assistance. Journal of Gerontology, 58B, S151- S159.

26.

Chou, K. L., & Chi, I. (2003).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chinese elderly. Aging & mental health, 7(3), 224-231.

27.

Erikson, E. H. (1982). The life cycle completed.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28.

Gottlieb, B. H. (1983). Social support strategies. Beverly Hills, CA: Sage.

29.

John, D., & Catherine, T. (1995-1996). NATIONAL SURVEY OF MIDLIFE DEVELOPMENT IN THE UNITED STATES (MIDUS).

30.

Lee, G., Netzer, J., & Coward, R. (1995). Depression among older parents. The role of intergenerational exchang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7, 823-833.

31.

Lincoln, K. D., Chatters, L.M., & Taylor, R. J. (2003).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black and white Americans: Differential effects of social support, negative interaction and personal control.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44(3), 390.

32.

McAdams, D. P., & de St. Aubin, E. (1992) A theory of generativity and its assessment through self-report, behavioral acts, and narrative themes in autobiograph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 221-230.

33.

McAdams, D., de St. Aubin, E., & Logan, R. (1993). Generativity among young, midlife and older adults. Psychology and Aging, 8, 221-230.

34.

Rossi, A. S. (2001). Caring and doing for others: Social responsibility in the domains of family, work, and communit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5.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57(6), 1069-1081.

36.

Valliant, G. E. (2002). Aging Well: Surprising guideposts to a happier life. Boston: Little, Brown.

37.

Vaux, A. (1988). Social support: Theory, research and intervention. New York.: Praeger.

38.

Wang, P. S., Berglund, P., & Kessler, R. C. (2000). Recent care of common mental disorder in the United States: Prevalence and conformance with evidence-based recommendations.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15, 284-292.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