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A Psychological Study on myths of <Saigeongbonpul-ee>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process of woman's individuation and the possibility of feminine Self-actualization represented in the myths of <Saigeongbonpul-ee>. The myths is about a goddess Jacheongbi who take care of agricultural abundance and a love story which shows the process of meeting, seperation and reunion between Jacheongbi and her Animus, Moondoreung. Jacheongbi have overcome many obstacles with dynamic liveliness for realization of her love and have traveled the ‘west heaven’ reapeatedly for saving Moondoreung and Chungsoonam from death. ‘West heaven’ is an ultimate life creating place as well as a place of death. Jacheongbi is well suited for the role of an agriculural goddess and shamanic goddess. With its basis on Karl Jung's Analytical Psychology, the myths of <Saigeongbonpul-ee> shows many achetypal images. In the process of Jacheongbi's individuation, the image of feminine Self archetype will be achieved when feminine Ego (Jacheongbi) is conscious of individual unconsciousness and collective unconsciousness and fulfills an encounter with Self (flower and seed) as her original psyche. This study help us to gain a comprehension in Jacheongbi, the symbol of Heroine Archetype, Therapist Arechetype as an shamanic goddess. Today, Jacheongbi will be recreated, worked and realized through the process of Korean feminie self-actualization as wisdom goddess.

keywords
Saigeongbonpul-ee, Jacheongbi, agriculural goddess, female achetypal images, individuation process, Ego, Persona, Shadow, Animus, Self, Self-actualization, Heroins Archetype, Therapist Arechetype, 세경본풀이, 자청비, 개성화 과정, 정수남, 문도령, 서천꽃밭, 페르소나, 그림자, 아니무스, 부모원형, 자기원형, 영웅원형, 치유자 원형, 자기실현, Saigeongbonpul-ee, Jacheongbi, agriculural goddess, female achetypal images, individuation process, Ego, Persona, Shadow, Animus, Self, Self-actualization, Heroins Archetype, Therapist Arechetype

Reference

1.

강진옥 (2005). 무속 여성신화의 농경적 생명원리- <바리공주>와 <세경본풀이>를 중심으로. 구비문학연구 20.

2.

강철중 (2008). 한국민담 <바늘 상자 속에 넣어 둔 눈알>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해석. 한국 분석심리학회지. 심성연구 37호.

3.

고은지 (1999). <세경본풀이> 여성인물의 형상화 방향과 내용구성의 특질. 한국민속학 31.

4.

김난주 (2007). 융심리학의 관점으로 본 한국의 신화. 집문당.

5.

김병주 (2009). 성경에 나타난 여성원형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김옥순, 주옥 역 (1998). Bruno Bettelheim 저. 옛이야기의 매력 1. 2. 시공주니어.

7.

박경신 (1986). 제주도 무속신화의 몇 가지 특징. 국어국문학회지. 국어국문학 96.

8.

박상학 (2009). 한국민담 ‘구복여행’의 분석심리학적 고찰. 한국분석심리학회지. 심성연구 40호.

9.

박종수 (2005). 분석심리학에 기초한 이야기 심리치료. 학지사.

10.

박현순 외 공역 (2007). Fraser Boa 저. 융학파의 꿈해석. 학지사.

11.

신동흔 (2009). 살아있는 우리신화. 한겨레출판.

12.

엘리아데, 이윤기 역 (1994). 샤머니즘. 까치.

13.

윤교임 (1996). 여성영웅신화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14.

융, C. G. (한국융연구원 역) (2002). 원형과 무의식. 융 기본저작집 2권. 솔출판사.

15.

융, C. G. (한국융연구원 역) (2004a). 인격과 전이. 융 기본저작집 3권. 솔출판사.

16.

융, C. G. (한국융연구원 역) (2004b). 연금술에서 본 구원의 관념. 융 기본저작집 6권.

17.

융, C. G. (한국융연구원 역) (2006). 영웅과 어머니 원형. 융 기본저작집 8권. 솔출판사.

18.

융, C. G. (한국융연구원 역) (2008). 인간의 상과 신의 상. 융 기본저작집 4권. 솔출판사.

19.

이경하 (1999). 제주도 무속신화에 나타난 여성서사시의 양상과 의미. 구비문학연구 9

20.

이나미 (2009). 한국 마고여신에 관한 고찰: 한국 신화의 고태적 상징. 심성연구 40호.

21.

이도희 (2006). 한국민담 <여우누이>의 분석심리학적 해석. 심성연구 33호.

22.

이문성 (2008). 한국민담 <용꿈 꾸고 얻은 두 공주>의 분석심리학적 해석. 심성연구 34호.

23.

이부영 (1987). Jung의 모성상과 모성콤플렉스론. 한국분석심리학회지. 심성연구 2.

24.

이부영 (1995). 한국민담의 심층분석. 집문당.

25.

이부영 (1998). 분석심리학 - C. G, Jung의 인간심성론 -. 일조각.

26.

이부영 (1999). 우리 마음 속의 어두운 반려자-그림자. 분석심리학의 탐구 1. 한길사.

27.

이부영 (2002). 아니마와 아니무스. 분석심리학의 탐구 2. 한길사.

28.

이부영 (2003). 자기와 자기실현. 분석심리학의 탐구 3. 한길사.

29.

이부영 외 옮김 (1993). C. G. Jung 지음. 인간과 무의식의 상징. 집문당.

30.

이수자 (1989). 제주도 무속과 신화 연구.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

31.

이수자 (1990). 농경기원신화에 나타난 여성인식과 의의. 이화어문논집 제 11집,

32.

이유경 (2002). 창조신화에 관한 분석심리학적 이해. 세계의 창조신화. 동방미디어.

33.

이유경 (2002). 영웅신화에 관한 분석심리학적 이해. 세계의 영웅신화. 동방미디어.

34.

이유경 (2004). 원형과 신화. 이끌리오.

35.

이유경 (2006). 민담 <손없는 색시>을 통한 여성심리의 이해. 심성연구 33호.

36.

이윤기 역 (1992). Joseph Campbell 저. 신화의 힘. 고려원.

37.

이은봉 역 (1998). M. Eliade 저. 신화와 현실.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38.

이은봉 역 (2005). M. Eliade 저. 심리학과 종교. 도서출판 창.

39.

이재훈 역 (1996). Ann & Barry Ulanov 공저. 종교와 무의식. 한국심리치료연구소.

40.

좌혜경 (1998). 자청비, 문화적 영웅에 대한 이미지. 한국민속학 30.

41.

한국문화상징사전 편찬위원회 (1992). 한국문화상징사전 1. 동아출판사: 서울.

42.

한국문화상징사전 편찬위원회 (1995). 한국문화상징사전 2. 동아출판사: 서울.

43.

현용준 (1980). 제주도 무속자료사전. 신구문화사.

44.

현용준 (2005). 제주도 신화. 서문당.

45.

Edinger, E. F. (1972). Ego and Archetype. Individuation and the Religious Function of the Psyche. New York: Putnam.

46.

Edinger, E. F. (1984). The Creation of Consciousness. Toronto: Inner City Books.

47.

Edinger, E. F. (1985). Anatomy of the Psyche. La Salle, Ⅲ., Open Court.

48.

Edinger, E. F. (2000). Ego and Self. The Old Testment Prophets, Toronto: Inner City Books.

49.

Eliade, M. (1963). The Sacred and the Profane. The Nature of Religion. New York: Harcourt, Brace & World: 이동하 역(1997). 종교의 본질: 성과 속. 학민사.

50.

Jung, C. G. (1921). Psychological Types. C. W. 6, Bollingen Series.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1974).

51.

Jung, C. G. (1934). The Developement of Personality. C. W. 17, Bollingen Series.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1974).

52.

Jung, C. G. (1940). Psychology and Religion. C. W. 11, Bollingen Series.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1973).

53.

Jung, C. G. (1944b). Psychology and Alchemy. C. W. 12, Bollingen Series.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1974).

54.

Jung, C. G. (1950b). The Archetypes and the Collective Unconscious. C. W. 9-1, Bollingen Series.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1971).

55.

Jung, C. G. (1950c). Aion. Christ, a Symbol of the Self. C. W. 9-2, Bollingen Series.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1973).

56.

Jung, C. G. (1950f). Aion. The Structure and Dynamics of the Self. C. W. 9-2, Bollingen Series.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1973).

57.

Jung, C. G. (1954a). The Structure and Dynamics of the Psyche. C.W. 8, Bollingen Series.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1972).

58.

Jung, C. G. (1964). Man and His Symbols. ed. C. G. Jung, M. L. von Franz. London: Aldus Books; 이부영 외 공역(1995). 인간과 무의식의 상징. 집문당: 서울.

59.

Jung, Emma (1957). Animus and Anima; translated by C. F. Baynes and H. Nagel. Analytical Psychology Club of New York; 박해순 역(1995). 아니무스와 아니마. 동문선.

60.

Neumann, E. (1955). The Great Mother. An Analysis of the Archetype, Princeton University Press.

61.

Ulanov, A. B. (1971). The Feminine in Jungian Psychology and in Christian Theology. Evanston: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62.

Ulanov, A. B. (1975). Religion and the Unconscious. Philadelphia, Pennsylvania: The Westminster Press.

63.

Ulanov, A. B. (1988). The Wisdom of the Psyche. Cambridge, Massachusetts: Cowley Publications.

64.

Von Franz, M. L. (1980). Alchemy, An Introduction to the Symbolism and the Psychology. Toronto: Inner City Books.

65.

Von Franz, M. L. (1993). The Feminine in Fairy Tales. Boston: Shambhala.

66.

Von Franz, M. L. (1995). Creation Myths, Boston: Shambhala.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